논어집주

論語集註 學而 第一(논어집주 학이 제일) 第十四章

구글서생 2023. 3. 13. 00:21
반응형

▣ 第十四章

子曰:
「君子食無求飽,居無求安,敏於事而慎於言,就有道而正焉,可謂好學也已。」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는 먹음에 배부름을 추구하지 않으며거처할 때에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으며덕행을 힘써 실천하면서 말을 삼가며가 있는 이에게 찾아가서 質正한다면 學問을 좋아한다고 이를 만하다.”
君子군자의 도를 추구하는 사람
빠르다명민하다노력하다

不求安飽者,志有在而不暇及也。
不求安飽란 뜻이 있는 곳이 (따로 학문에) 있어서, 미칠 겨를이 없다는 것이다.

敏於事者,勉其所不足。
敏於事란 자신이 不足한 것(덕행)을 힘쓰는 것이다.

慎於言者,不敢盡其所有餘也。
慎於言이란 자신이 有餘한 것()을 감히 다하지 못하는 것이다.
부족한 것은 덕행이고 유여한 것은 말이다.

然猶不敢自是,而必就有道之人,以正其是非,則可謂好學矣。
그러나 그래도 감히 자신이 옳다 여기지 않고, 반드시 가 있는 사람에게 찾아가서 자신의 옳고 그름을 質正한다면 學問을 좋아한다고 이를 만하다.

凡言道者,皆謂事物當然之理,人之所共由者也。
무릇 라고 말하는 것은 모두 事物當然理致이니, 사람이 누구나 함께 행하여야 할 것이다.

尹氏曰:
「君子之學,能是四者,可謂篤志力行者矣。
然不取正於有道,未免有差,如楊墨學仁義而差者也.
其流至於無父無君,謂之好學可乎?」
尹氏가 말하였다.
君子學問함에 이 네 가지(不求安飽 敏事愼言)에 능하다면 뜻이 독실하고 행동을 힘쓰는 자라고 이를 만하다.
그러나 가 있는 이에게 質正을 취하지 않는다면 잘못이 있음을 면치 못하니, 예컨대 楊朱墨翟仁義를 배우다가 잘못된 것과 같다.
그 흐름의 폐단이 無父無君에까지 이르렀으니, 학문을 좋아한다고 말하는 것이 하겠는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