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十六章 본문
반응형
▣ 第十六章
曾子曰:
「堂堂乎張也,難與並為仁矣。」
曾子가 말씀하였다.
“당당하구나, 子張이여! 함께 仁을 하기는 어렵다.”
堂堂,容貌之盛。
堂堂은 용모가 성대한 것이다.
言其務外自高,不可輔而為仁,亦不能有以輔人之仁也。
그가 외면에 힘쓰고 자신을 고원하게 여기기 때문에, (남이) 도와 仁을 행할 수 없으며, 또한 남의 仁을 도와줄 수 없음을 말하였다.
范氏曰
「子張外有餘而內不足,故門人皆不與其為仁。
子曰:剛、毅、木、訥近仁。
寧外不足而內有餘,庶可以為仁矣。」
范氏가 말하였다.
“子張은 외면의 문식은 有餘하였으나 내면의 修德이 不足하였다. 그러므로 門人들이 모두 仁을 행한다고 허여하지 않았다.
孔子께서 ‘강하고 굳세며 질박하고 굼뜬 것이 仁에 가깝다.’라고 하셨다.
차라리 외면의 문식이 부족하나 내면의 수덕이 유여하면 거의 仁을 할 수 있을 터이다.”
반응형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十四章 (0) | 2023.02.20 |
---|---|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十五章 (0) | 2023.02.19 |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十七章 (0) | 2023.02.19 |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十八章 (0) | 2023.02.19 |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十九章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