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十九章 본문
반응형
▣ 第十九章
孟氏使陽膚為士師,問於曾子。
孟氏가 陽膚를 士師로 임명하자, <陽膚가> 曾子에게 <獄事 처리에 관하여> 물었다.
曾子曰:
「上失其道,民散久矣。
如得其情,則哀矜而勿喜。」
曾子께서 말씀하였다.
“윗사람이 다스리는 법도를 잃어 백성들이 離叛한 지가 오래되었다.
만일 <犯法한> 사정을 파악했으면 불쌍히 여기고 기뻐하지 말아야 한다.”
陽膚,曾子弟子。
陽膚는 曾子의 弟子이다.
民散,謂情義乖離,不相維繫。
民散은 情義가 괴리되어 상호 유지되고 결합되지 못함을 말한다.
▶情義乖離=情離義乖(마음이 떠나고 의리가 어긋남)
謝氏曰:
「民之散也,以使之無道,教之無素。
故其犯法也,非迫於不得已,則陷於不知也。
故得其情,則哀矜而勿喜。」
謝氏가 말하였다.
“백성들이 흩어짐은 부리기를 無道하게 하고 가르치기에 바탕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의 범법은 부득이하여 핍박받은 것이 아니면, 無知에 빠져서이다.
그러므로 그 사정을 파악하면 불쌍히 여기고 기뻐하지 말아야 한다.”
반응형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十七章 (0) | 2023.02.19 |
---|---|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十八章 (0) | 2023.02.19 |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二十章 (0) | 2023.02.19 |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二十一章 (0) | 2023.02.19 |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二十二章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