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第二十章
子曰:
「關雎,樂而不淫,哀而不傷。」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詩經》 〈關雎篇〉은 즐거우면서도 지나치지 않고, 슬프면서도 和를 해치지 않는다.”
關雎,周南國風詩之首篇也。
〈關雎〉는 周南 國風이니, 《詩經》의 첫 편이다.
淫者,樂之過而失其正者也。
淫은 즐거움이 지나쳐 그 바름을 잃는 것이다.
傷者,哀之過而害於和者也。
傷은 슬픔이 지나쳐 和를 해치는 것이다.
關雎之詩,言
后妃之德,宜配君子。求之未得,則不能無寤寐反側之憂;求而得之,則宜其有琴瑟鐘鼓之樂。
〈關雎〉의 詩는 말하였다.
“后妃의 德이 마땅히 君子에 짝할 만하니, 구하여 얻지 못하면 자나깨나 생각하며 몸을 뒤척거리는 근심이 없을 수 없고, 구하여 얻으면 그에게 琴瑟과 鍾鼓의 즐거움이 있는 것이 마땅하다.”
蓋其憂雖深而不害於和,其樂雖盛而不失其正,故夫子稱之如此。
그 근심이 비록 깊으나 和를 해치지 않고, 그 즐거움이 비록 성대하나 그 바름을 잃지 않았다. 그러므로 夫子께서 칭찬하시기를 이와 같게 하셨다.
欲學者玩其辭,審其音,而有以識其性情之正也。
배우는 자들이 그 가사를 음미해 보고 그 곡조를 살펴서 사람의 性情이 바름을 인식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集註 八佾 第三(논어집주 팔일 제삼) 第十八章 (0) | 2023.03.11 |
---|---|
論語集註 八佾 第三(논어집주 팔일 제삼) 第十九章 (0) | 2023.03.11 |
論語集註 八佾 第三(논어집주 팔일 제삼) 第二十一章 (1) | 2023.03.11 |
論語集註 八佾 第三(논어집주 팔일 제삼) 第二十二章 (0) | 2023.03.11 |
論語集註 八佾 第三(논어집주 팔일 제삼) 第二十三章 (0) | 202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