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學集註(소학집주)

8-5-3-76. 외편 - 가언 - 광경신 - 第七十六章

耽古樓主 2024. 1. 15. 03:21

소학집주

張思叔座右銘曰
凡語 必忠信 凡行 必篤敬 飮食 必愼節 字畫 必楷正 《宋名臣言行錄》
張思叔의 좌우명에 말하였다.
모든 말을 반드시 성실하게 하며모든 행실을 반드시 돈후하고 공경하게 하며음식을 반드시 삼가고 절제하며글자의 획을 반드시 해정하게 하며,

【集說】
陳氏曰
思叔 名繹 河南人 伊川弟子.
銘者 自警之辭.
愼 謂不苟食 節 謂不恣食.
楷 謂不草率 正 謂不偏邪.
陳氏가 말하였다.
思叔은 이름이 이요, 河南 사람이니, 伊川의 제자이다.
은 스스로 경계하는 말이다.
은 구차히 먹지 않음을 이르고, 은 마음대로 먹지 않음을 이른다.
는 흘려쓰거나 거칠게 쓰지 않음을 이르고, 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음을 이른다.”

容貌 必端莊 衣冠 必肅整 步履 必安詳 居處 必正靜
용모를 반드시 단정하고 장엄하게 하며의관을 반드시 엄숙하고 가지런하게 하며걸음걸이를 반드시 편안하고 자상하게 하며거처함을 반드시 바르고 고요하게 하며,

【集解】
容貌 擧一身而言 端莊 端正莊嚴也.
용모는 한 몸을 들어 말한 것이요, 端莊은 단정하고 장엄함이다.

衣冠 所以正容儀 肅整者 嚴肅齊整也.
의관은 容儀를 바르게 하는 것이요, 肅整은 엄숙하고 정제함이다.

足容重 故 當貴乎安詳 居處恭 故 必在乎正靜也
발 모양은 무거워야 하매 마땅히 편안하고 자상함을 귀하게 여기고, 거처함은 공손해야 하매 반드시 바르고 고요함에 있어야 한다.

作事必謀始 出言必顧行 常德必固持 然諾必重應 見善如己出 見惡如己病
일함에 반드시 시작을 도모하며말을 냄에 반드시 행실을 돌아보며떳떳한 을 반드시 굳게 지키며승낙을 반드시 신중히 응하며을 보면 마치 자기에게서 나온 듯이 여기고을 보면 마치 자기의 병처럼 여겨야 한다.

【集說】
陳氏曰
事謀於始則無後悔 言顧其行則非空言.
常德 平常之德 持之固則不失 然諾 皆應辭 應之重則思踐.
如己出 冀己亦有是善也 如己病 恐己亦有是惡也
陳氏가 말하였다.
일은 시작에 도모하면 후회가 없고, 말은 그 행실을 돌아보면 빈말이 아니다.
常德平常이니, 지키기를 굳게 하면 잃지 않을 터이요, 은 모두 응답하는 말이니, 응답하기를 신중히 하면 실천을 생각하게 된다.
자기에게서 나온 듯이 여김은 자기에게도 이러한 이 있기를 바람이요, 자기의 병처럼 여김은 자기에게도 이러한 이 있을까 염려함이다.”

凡此十四者 我皆未深省.
書此當坐隅 朝夕視爲警.
무릇 이 열네 가지를 내가 깊이 살피지 못하였다.
이것을 써서 자리 모퉁이에 대면하게 하여 아침저녁으로 보고 경계하노라.”

【集解】
熊氏曰
座右銘凡十四言 不過卽其日用言動之間, 出入起居之際 大要 以敬爲主.
曰愼節, 曰楷正, 曰端莊, 曰肅整, 曰安詳, 曰正靜, 曰固持, 曰重應 非敬 其能然乎?
作事謀始 一動不忘敬也 出言顧行 一語不忘敬也.
程門敎人 以敬爲先 思叔此銘 學者所當佩服而深省也
熊氏가 말하였다.
좌우명의 모두 열네 가지 말은 그 일상 생활하는 言行의 사이와 출입하고 기거하는 즈음에 나아감에 지나지 않으니, 큰 요점은 을 주장으로 삼는다.
愼節·楷正·端莊·肅整·安詳·正靜·固持·重應이 아니면 능히 그렇게 할 수 있겠는가?
일함에 시작을 도모함은 한 가지 행동이라도 을 잊지 않음이요, 말을 냄에 행실을 돌아봄은 한마디 말이라도 을 잊지 않음이다.
程子의 문하에서 사람을 가르침에 으로써 우선하였으니, 思叔의 이 좌우명을 배우는 자들은 마땅히 가슴속에 간직하여 깊이 살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