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蒙求(몽구)502-韋平相延(위평상연) 본문

蒙求(몽구)

蒙求(몽구)502-韋平相延(위평상연)

耽古樓主 2023. 3. 28. 01:15

蒙求(몽구) 韋平相延(위평상연)

by 古岸子

韋平相延- 韋賢과 平當은 父子가 재상이 되었다

 

前漢韋賢及子玄成皆爲丞相.
前漢韋賢과 아들 玄成은 모두 丞相이 되었다.

 

平當字子思 平陵人.

平當子思이니 平陵人이다.

 

以明經爲博士.

明經으로 博士가 되었다.

 

公卿薦當 論議通明. 給事中.

公卿들이 平當을 천거하며 그의 論議가 아주 밝다고 하여 給事中이 되었다.

 

每有災異 輒傅經術言得失.

그는 天災地異가 있을 때마다 經術을 가르쳐 주고 得失을 말해 주었다.

經術: 經學

 

文雅雖不及蕭望之‧匡衡 然指意略同.

문장의 고상함은 비록 蕭望之匡衡에 미치지 못해도 뜻은 대략 같았다.

 

哀帝時爲丞相.

哀帝 丞相이 되었다.

 

上召欲封當. 當病篤不應召.

임금이 불러 평당을 列侯에 봉하려고 했으나 평당은 병이 위독하여 부름에 응하지 못하였다.

 

或謂當

不可强起受侯印爲子孫邪.

어떤 사람이 평당에게 말하였다.
억지로 일어나서 侯印을 받음이 자손을 위해 옳지 않겠는가?”

 

當曰

吾居大位 已負素餐責矣.

起受侯印 還臥而死 死有餘罪.

今不起者 所以爲子孫也.

평당은 말하였다.
내가 승상의 자리에 있으니, 이미 헛되게 녹을 받는 책임을 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일어나서 侯印을 받고, 돌아와서 누웠다가 죽는다면, 죽어도 남는 죄가 있을 것이다.

그러니 지금 일어나지 않는 것이 자손을 위하는 방법이다.”

素餐: 没有鱼肉等,只有瓜果蔬菜等的饭食. 不劳而食,多指无功受禄

 

遂乞骸骨. 上賜養牛一‧上尊酒十石.

이에 사직을 청하자 임금은 養牛 한 마리와 上尊酒 10을 하사하였다.

 

月餘卒.

한 달 남짓 되자 하였다.

 

子晏以明經歷位大司徒.

아들 平晏明經科로 임관하여 지위가 大司徒에 이르렀다.

 

漢興惟韋平父子至宰相.

한이 興起한 이래 위현과 평당 父子만이 재상에 이르렀다.

 

[註解]
前漢- 韋賢의 기사는 <漢書> <列傳> 43, 平當의 기사는 <열전> 41 의 기사임.
蕭望之- 나라 蘭陵 사람. 宣帝 때 벼슬이 太子太傅에 이르렀는데 뒤에 石顯 등의 참소로 해를 당함.

匡衡- 前漢 東海 사람. 成帝 太子少傅·丞相을 역임하고 樂安侯에 봉해짐. 당시 儒學者들이 그를 匡說詩解人頤라고 하였음. 匡衡鑿壁 고사의 주인공.
素餐(소찬)-공로가 없이 높은 지위에 있어 그저 녹만 타먹음.

上尊酒- 醇酒, 전국술. 고급 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