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記/列傳

列傳권129-貨殖列傳(화식열전)

耽古樓主 2023. 10. 25. 10:41
반응형

이 편은 춘추시대 말기부터 漢 초기까지 재산을 늘리는 활동에 傑出한 인물에 대한 傳記이다貨殖은 재산을 늘림을 말하며 상인을 말하기도 한다.
이 편에서는 사마천의 經濟思想과 物質觀을 피력하였으며 중국 각지의 지형과 산물 풍토를 기술하고春秋時代의 大商人으로 꼽히는 范蠡子贛白圭猗頓과 漢 초기의 大商人인 卓氏程鄭孔氏任氏 등의 行蹟을 간략히 기술하였다.
<太史公自序>에서 사마천은 정치를 방해하지 않고 백성의 생활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시기를 놓치지 않고 물건을 사고팔아 재산을 늘린 벼슬 없는 보통 사람들을 貨殖列傳에 기술하였다.’라고 하였다.

 

老子曰:
「至治之極,鄰國相望,雞狗之聲相聞,民各甘其食,美其服,安其俗,樂其業,至老死,不相往來。」
老子가 말하였다.
치세의 극치는 이웃한 나라가 서로를 바라보면서 닭과 개의 소리가 서로에게 들리고백성은 자신의 음식을 달게 먹으며 옷을 잘 차려입고자기 나라의 풍속을 편히 여기고자신의 사업을 즐거워하고늙어 죽을 때까지 서로 왕래하지 않는 것이다.”

必用此為務,輓近世涂民耳目,則幾無行矣。
이 방법을 사용함을 기어이 근세에 끌어와서 백성의 耳目을 막으면거의 실행할 수 없을 터이다.

老子曰 : 老子 道德經 80장에서 인용하였다.

“나라가 작고 백성이 적으면 수많은 도구가 있어도 사용하지 않고 생명을 소중히 여기도록 하여 멀리 떠나는 일이 없게 하면, 배와 수레가 있어도 타는 일이 없을 터이고, 비록 무기가 있어도 그것을 쓸 일이 없을 터이다. 백성에게 새끼줄을 묶어서 약속의 표시로 사용하게 하고, 음식을 달게 먹게 하고, 의복을 아름답게 입게 하고, 사는 곳을 편안히 여기게 하고, 그 풍속을 즐기게 한다. 이웃한 나라가 서로를 바라보며 닭과 개의 소리가 서로 들리는 곳에 있을지라도 늙어 죽을 때까지 서로 왕래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小國寡民。使有什伯之器而不用;使民重死而不遠徙。雖有舟輿,無所乘之,雖有甲兵,無所陳之。使民復結繩而用之,甘其食,美其服,安其居,樂其俗。鄰國相望,雞犬之聲相聞,民至老死,不相往來.” <노자 도덕경 제80장>
▶ 至治 : 잘 다스려진 세상. 治는 治世, 태평성세.
▶ 甘其食 : 자기 집의 음식을 달게 먹음.
▶ 美其服 : 자신의 옷을 잘 차려입음.
▶ 必 : 만약.
▶ 用 : 以. 이러한 것.
▶ 務 : 추구하다.
▶ 涂 : 막히다. 가로막다.

 

太史公曰:
태사공은 말한다.

夫神農以前,吾不知已。
神農氏 이전의 일에 대하여는 나는 알지 못한다.

至若詩書所述虞夏以來,耳目欲極聲色之好,口欲窮芻豢之味,身安逸樂,而心誇矜勢能之榮使。
<詩經>이나 <書經>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夏 이래 耳目은 聲色의 좋음을 궁극으로 추구하고입은 각종 가축의 맛을 궁극으로 추구하고몸은 편하고 즐거움을 좋아하고마음으로는 권세와 재능의 茂盛을 자랑하였다.

俗之漸民久矣,雖戶說以眇論,終不能化。
이러한 풍속이 백성에 스며든 지 오래되어 비록 미묘한 논리로 집집마다 설득하여도 결코 교화시킬 수 없다.

故善者因之,其次利道之,其次教誨之,其次整齊之,最下者與之爭。
그러므로 좋은 방법은 순리에 따름이고그다음은 이익으로 이끎이고그다음은 가르쳐 깨우침이고그다음은 백성을 整齊함이고최하의 방법은 백성과 다툼이다.

夫山西饒材、竹、穀、纑、旄、玉石;
山東多魚、鹽、漆、絲、聲色;
江南出枏、梓、薑、桂、金、錫、連、丹沙、犀、瑁、珠璣、齒革;
龍門、碣石北多馬、牛、羊、旃裘、筋角;
銅、鐵則千里往往山出棋置:
此其大較也。
무릇 山西지방은 목재대나무玉石이 풍부하고,
山東지방은 물고기소금과 가무와 여색이 많으며,
江南지방에서는 생강계수나무금과 주석丹砂무소뿔玳瑁주옥상아와 호피 등이 나고,
龍門과 碣石의 북쪽에는 말모직물과 가죽짐승의 힘줄과 뿔이 많고,
구리와 철은 사방 천 리 곳곳의 산에서 바둑돌을 놓은 것처럼 산출되니이것이 대략적인 형세이다.

皆中國人民所喜好謠俗被服飲食奉生送死之具也。
모두 중원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으로 풍속으로 입는 옷음식양생장례에 필요한 용품이다.

故待農而食之,虞而出之,工而成之,商而通之。
그러므로 농부는 음식물을 생산하고산림과 水澤을 관리하는 사람은 산림과 못 등에서 産出하고장인은 물건을 제조하고상인은 유통하게 한다.

此寧有政教發征期會哉?
이런 일에 어찌 政令과 徵發로 모으기를 기약하겠는가?

人各任其能,竭其力,以得所欲。
사람은 각자 자기의 재능에 맡기고 힘을 다하여 원하는 것을 얻는다.

故物賤之徵貴,貴之徵賤,各勸其業,樂其事,若水之趨下,日夜無休時,不召而自來,不求而民出之。
그러므로 물건이 싸면 귀해질 징조이고귀하면 값이 싸질 징조이다.
각자가 생업에 힘쓰고 사업을 즐김이 물이 낮은 곳으로 흐름과 같아서밤낮에 쉬는 시간이 없으매부르지 않아도 알아서 오고 요구하지 않아도 백성이 내놓는다.

豈非道之所符,而自然之驗邪?
이 어찌 경제법칙과 부합되는 일이 아니며자연의 이치를 증명함이 아닌가?”

▶ 神農 : 중국 전설상의 제왕.
▶ 詩 : 詩經.
▶ 書 : 書經. 尙書
▶ 虞 : 虞舜. 제순 帝舜有虞氏. 중국 신화 속 군주의 이름으로, 중국의 三皇五帝 신화 가운데 오제의 마지막 군주이다
▶ 夏 : 중국 고대 왕조. 요순시대 이후 禹가 세운 왕조이다. 요순시대 천자였던 순이 禹에게 천하를 물려주었고 우에 의하여 夏왕조가 세워졌다
▶ 窮 : 다하다
▶ 芻豢 : 家畜. 芻는 초식하는 가축, 豢은 곡물을 먹는 가축. 소·양과 개·돼지 등을 말한다.
▶ 誇矜 : 자랑하거나 칭찬함.
▶ 勢能 : 권세와 재능. 輓能으로 기재된 본도 있다.
▶ 漸 : 스며들다.
▶ 戶說 : 집집마다 일러서 깨우치게 함.
▶ 眇論 : 미묘한 이론. 眇는 妙와 통한다.
▶ 善者 : 좋은 방법.
▶ 因 : 순리를 따르다.
▶ 利道之 : 이익을 이용하여 이끌다. 道는 導와 같다.
▶ 整齊之 : 백성을 가지런하게 하다. 질서 있게 하다.
▶ 與之爭 : 백성과 이익을 다투다.
▶ 饒材 : 목재가 풍부하다.
▶ 穀 : 닥나무.
▶ 纑 : 무명. 야생 마.
▶ 旄 : 긴 털을 가진 소. 깃대의 장식으로 사용한다.
▶ 聲色 : 가무와 여색.
▶ 連 : 납의 광석.
▶ 丹沙 : 丹砂. 수은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 犀 : 무소뿔.
▶ 瑁 : 玳瑁. 큰 거북.
▶ 珠璣 : 珠玉.
▶ 齒革 : 상아와 호피.
▶ 龍門 : 용문산. 西京의 河南縣에 있다.
▶ 碣石 : 갈석산. 지금의 하북성 창려현에 있는 산.
▶ 旃裘 : 털가죽 옷.
▶ 筋角 : 동물의 힘줄과 뿔. 활과 쇠뇌를 만든다.
▶ 棋置 : 바둑돌을 놓은 것처럼 빈틈없이 배치하다.
▶ 大較 : 대략. 대개.
▶ 謠俗 : 풍속. 습관.
▶ 奉生 : 양생하다.
▶ 具 : 기구. 용품.
▶ 虞 : 산과 못의 자원을 개발하는 사람. 사냥터의 관리인.
▶ 工 : 수공업자. 장인.
▶ 商 : 상인.
▶ 通之 : 화물을 유통하다.
▶ 寧 : 어찌.
▶ 政教 : 政令. 정치상의 법령.
▶ 發徵 : 징발하다.
▶ 期會 : 약속한 날짜에 모이다.
▶ 任其能 : 자기의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다.
▶ 徵 : 징조.
▶ 勸 : 노력하다.
▶ 道 : 경제 법칙.
▶ 符 : 부합하다.
▶ 自然 : 자연의 법칙.
▶ 驗 : 증명하다.

《周書》曰:
「農不出則乏其食,工不出則乏其事,商不出則三寶絕,虞不出則財匱少。」
<周書>에 일렀다.
농부가 생산하지 않으면 양식이 모자라고장인이 생산하지 않으면 器物이 모자라고상인이 장사하지 않으면 三寶의 유통이 끊어지고사냥터를 관리하는 사람이 산과 못에서 개발하지 않으면 자원이 缺乏된다.”

財匱少而山澤不辟矣。
자원이 모자라면 산림이나 하천을 개척하지 못한다.

此四者,民所衣食之原也。
이 네 가지는 백성이 입고 먹음의 원천이다.

原大則饒,原小則鮮。
원천이 크면 풍요롭고원천이 작으면 빈곤하다.

上則富國,下則富家。
위로는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아래로는 人家를 부유하게 한다.

貧富之道,莫之奪予,而巧者有餘,拙者不足。
빈부의 도리를 빼앗거나 주는 사람은 없으니기교가 있는 자가 부유하고 서툰 자는 가난하다.

故太公望封於營丘,地澙鹵,人民寡,於是太公勸其女功,極技巧,通魚鹽,則人物歸之,繦至而輻湊。
옛날 太公望이 營丘에 봉해짐에땅은 소금기가 많고 백성은 적었으므로태공이 여자들에게 길쌈을 장려하여 기술을 극대화하고 물고기와 소금을 유통하니사람과 물건이 모여듦이 繦至와 輻湊같았다.

故齊冠帶衣履天下,海岱之閒斂袂而往朝焉。
그리하여 의 모자허리띠신발이 천하를 風靡하였고東海와 泰山 사이의 제후가 소매를 여미고 에 가서 朝會하였다.

▶ 周書 : 先秦시기의 史籍을 기록한 서적. 서경의 편명
▶ 出 : 생산하다. 농사짓다.
▶ 三寶 : 식량, 물건, 富.
▶ 匱 : 모자라다. 결핍되다.
▶ 辟 : 개척하다.
▶ 原 : 원천.
▶ 鲜 : 드물다. 빈곤하다.
▶ 拙者 : 서툰 사람. 어리석은 사람.
▶ 太公望 : 太公. 姜太公.
▶ 澙鹵 : 鹽地.
▶ 寡 : 적다.
▶ 女功 : 여자들이 만들어 낸 물건. 즉 여자들이 하는 길쌈.
▶ 通 : 교류하다.
▶ 人物 : 사람과 물건.
▶ 歸 : 귀순하다.
▶ 繦至 : 끈으로 동전을 꿰다. 繦은 돈꿰미.
▶ 輻湊 : 바퀴살이 바퀴통에 모이다. 즉 사방에서 사람과 물건이 모인다는 뜻. 輻은 바퀴살. 凑는 모이다.
▶ 海岱之閒 : 지금의 山東半島. 海는 지금의 발해이며 岱는 泰山을 말한다.
▶ 斂袂 : (경의를 표하려고) 옷매무새를 고치다.
▶ 朝 : 조현하다. 입조하여 황제를 알현하다.

其後齊中衰,管子修之,設輕重九府,則桓公以霸,九合諸侯,一匡天下;
而管氏亦有三歸,位在陪臣,富於列國之君。
그 후 가 중도에 쇠약해짐에 管子가 이를 고치고 輕重九府를 설치하여 桓公은 霸者가 되어 제후를 아홉 차례나 소집하여 단번에 천하를 바로 잡았다.
관자도 三歸를 누리며 지위가 왕을 섬기는 신하였지만 부유함이 열국의 군주와 比肩하였다.

是以齊富彊至於威、宣也。
이 때문에 는 威王宣王 때까지 부강하였다.

▶ 管仲 : 이름은 夷吾이며, 齊桓公과 적대관계였으나 환공의 신하 鮑叔의 추천에 의하여 환공의 재상이 되자 齊를 춘추시대의 5대 강국 중 제일로 만드는 공적을 세웠다.<사기 권 62.管晏列傳>
▶ 修 : 고치다.
▶ 輕重 : 나라의 물가조절 정책을 말하며, 정책 가운데 가볍게 취급할 것과 중요하게 취급할 것이 있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管子·輕重>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 九府 : 국가의 재정을 관리하는 아홉 개의 관청.
▶ 九合 : 齊桓公이 각국 상호간의 이해관계를 전쟁에 의하지 않고 각국의 제후를 회합하여 대화와 타협을 통하여 평화적으로 해결한 것을 말한다. 九는 3 이상의 많은 수를 가리킨다.
▶ 匡 : 바로잡다.
▶ 三歸 : 누대의 이름. 또는 성이 각기 다른 세 여자를 세 집에서 아내로 거느림을 말하며, 관자가 일반 대신의 재물과 권세를 초월했음을 말한다.
▶ 陪臣 : 황제가 보낸 사신을 따라가는 제후의 벼슬아치.
▶ 富於列國之君 : 于(於)는 비교를 표시하는 전치사로 쓰여 “…에 비하여”를 뜻한다.
¶ 于舜之功, 二十之一也. 《左傳 文公18年》
○ 순임금의 공적에 비교한다면, 20분의 1에 지나지 않습니다.<허사 참조>

 

 

한문의 허사(虛詞) 于

한문의 허사(虛詞) 于 于時 이때 于是 그리하여 于是乎 그리하여 于是焉 그리하여 于是乃 그리하여(迺) 于是遂 그리하여 於此 이에 于자와 於는 본래 별개의 글자였지만, 허사로 쓰이면서부터

koahn.tistory.com

▶ 威 : 전국시대의 齊威王. 성은 嬀, 씨는 田, 휘는 因齊, 또는 嬰齊이다. 이때부터 齊 군주는 후작이나 공작이 아닌 왕을 칭하였다.
▶ 宣 : 전국시대의 齊宣王. 齊의 제5대 국왕. 성은 嬀, 씨는 田, 휘는 辟彊이다.

故曰:
「倉廩實而知禮節,衣食足而知榮辱。」
그래서 <管仲말하였다.
창고가 충실하면 예절을 알게 되고 衣食이 풍족하면 榮辱을 알게 된다.”

禮生於有而廢於無。
란 부유함에서 생기고 가난함에서 폐기된다.

故君子富,好行其德;
小人富,以適其力。
따라서 군자가 부유하면 덕을 즐겨 행하고,
소인이 부유하면 자기의 능력에 맞게 행동한다.

淵深而魚生之,山深而獸往之,人富而仁義附焉。
연못이 깊어야 물고기가 살고 산이 깊어야 짐승이 깃들 듯이사람이 부유하면 인의가 따른다.

富者得埶益彰,失埶則客無所之,以而不樂。
부유한 자가 권세를 얻으면 더욱 두드러지고권세를 잃으면 빈객들도 갈 곳이 없어지므로 달가워하지 않는다.

夷狄益甚。
소수민족들은 더욱 심하다.

諺曰:
「千金之子,不死於市。」
此非空言也。
속담에 이르기를, “천금을 가진 부잣집 자식은 저자에서 죽지 않는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빈말이 아니다.

故曰:
「天下熙熙,皆為利來;
天下壤壤,皆為利往。」
그래서 일렀다.
천하 사람이 煩多하니 모두 이익을 위하여 오고,
천하 사람이 煩多하니 모두 이익을 위하여 간다.”

夫千乘之王,萬家之侯,百室之君,尚猶患貧,而況匹夫編戶之民乎!
무릇 千乘의 왕과 萬戶의 제후와 百家의 大夫도 여전히 가난을 걱정하는데하물며 호적에나 편입되는 일반 백성이랴!

▶ 倉廩實 : <管子 牧民篇>을 인용하였다. “나라에 재물이 많으면, 멀리 있는 사람도 오고, 토지가 모두 개간되면 백성이 머물러 살게 된다. 창고가 가득 차게 되면 예절을 알게 되고, 입을 옷과 먹을 양식이 풍족하면 영광과 치욕을 알게 된다.(國多財,則遠者來,地辟舉,則民留處;倉廩實,則知禮節;衣食足,則知榮辱:” <管子 牧民篇>. 倉廩은 곡물 창고.
▶ 客 : 빈객. 문객.
▶ 以而 : 그래서. 그런 까닭에.
失埶則客無所之,以而不樂 : ‘以’는 단독으로 접속사가 되어서, 어떤 상황의 결과 즉 “…으로 해서” “…때문에”라는 의미로 쓰인다. ‘以而’도 같다
¶ 昔秦穆公不從百里奚、蹇叔之言以敗其師. 《漢書 息夫躬傳》
○ 옛날 秦穆公은 百里奚와 蹇叔의 말을 듣지 않았다. 그 결과 전쟁에서 패배했다.<허사 참조>
▶ 夷狄 : 소수민족.
▶ 益彰 : 더욱 두드러지다.
▶ 千金之子 不死於市 : 천금을 가진 부잣집 자식은 저자거리에서 죽지 않는다. 돈이 많은 사람은 죄를 지어도 형벌을 면할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范蠡는 越나라 왕 勾踐의 곁을 떠난 뒤 陶 땅에 살면서 이름을 陶朱公이라 바꾸고 대부호가 되었다. 范蠡의 막내아들이 성인이 되었을 무렵, 둘째 아들이 楚에서 살인을 저질러 감옥에 갇혔다. 도주공은 “살인죄를 저질렀으니 죽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천금을 가진 부잣집 자식은 저잣거리에서 죽지 않는다(殺人而死, 職也. 然吾聞千金之子不死於市)”라고 하고는, 막내아들에게 거액을 가지고 가서 형을 구하여 보라고 시켰다.
<사기 권41. 越王句踐世家>
▶ 熙熙壤壤 : 여러 사람이 여기저기 번화하게 왕래하는 모양, 왕래가 잦은 모양.
▶ 千乘之王 : 諸候. 乘은 수레를 세는 단위. 周나라 때 戰時에 天子는 萬乘을, 諸侯는 千乘을 내도록 하였다.
▶ 萬家之侯 : 만호의 봉토를 받은 제후.
▶ 百室之君 : 백 호의 식읍을 받은 군. 大夫.
▶ 尚猶 : 여전히.
▶ 患 : 걱정하다. 우려하다.
▶ 編戶之民 : 户口册에 편입된 백성.

昔者越王句踐困於會稽之上,乃用范蠡、計然。
옛날 越王 句踐은 會稽山에서 곤경을 당하여 이에 范蠡와 計然을 기용하였다.

計然曰:
計然이 말하였다.

「知斗則修備,時用則知物,二者形則萬貨之情可得而觀已。
전쟁을 알면 전쟁 준비를 잘하게 되고물자 수급의 시기와 용도를 알면 그 물건을 알게 됩니다이 두 가지를 대조하면 모든 재화의 실정을 볼 수가 있습니다.

故歲在金,穰;水,毀;木,饑;火,旱。
따라서 그해 歲星이 서쪽에 있으면 풍년이 들고북쪽에 있으면 흉년이 들고동쪽에 있으면 기근이 생기고 남쪽에 있으면 가뭄이 듭니다.

旱則資舟,水則資車,物之理也。
가뭄이 들면 배를 준비하고수해가 나면 수레를 준비함이 사물의 이치입니다.

六歲穰,六歲旱,十二歲一大饑。
6년마다 풍년이 들고, 6년마다 가뭄이 들며, 12년마다 대기근이 닥칩니다.

夫糶,二十病農,九十病末。
무릇 곡식 값이 20전이면 농민이 손해를 보고, 90전이면 상인이 손해를 봅니다.

末病則財不出,農病則草不辟矣。
상인이 손해를 보면 재화가 유통되지 않고농민이 손해를 보면 草地를 개척하지 않습니다.

上不過八十,下不減三十,則農末俱利,平糶齊物,關市不乏,治國之道也。
값이 올라도 80전을 넘지 않고 값이 내려도 30전에 미달하지 않으면 농민과 상인이 모두 이익을 보니곡식과 물자의 값을 안정시켜 關市에 물건이 부족하지 않게 함이 治國의 바른 방법입니다.

 

積著之理,務完物,無息幣。
물자를 사재는 도리는 온전하게 보존함에 힘을 쓰되자금을 묵히지 말아야 합니다.

以物相貿易,腐敗而食之貨勿留,無敢居貴。
물자를 서로 교역함에부패하거나 좀먹는 물건은 오래 두지 말고구태여 값이 오를 때를 기다리지 말아야 합니다.

論其有餘不足,則知貴賤。
물건에 過不足이 있는지 연구하면 값이 오를지 내릴지 알 수 있습니다.

貴上極則反賤,賤下極則反貴。
비싼 것이 극에 달하면 반대로 싸지고싼 것이 극에 달하면 반대로 비싸집니다.

貴出如糞土,賤取如珠玉。
값이 오르면 糞土처럼 내다 팔고값이 내리면 주옥처럼 사들여야 합니다.

財幣欲其行如流水。」
재물과 화폐는 流水처럼 돌게 해야 합니다.”


修之十年,國富,厚賂戰士,士赴矢石,如渴得飲,遂報彊吳,觀兵中國,稱號「五霸」。
그가 다스리기 10나라가 부유하여 병사에게 후하게 보상하니병사들은 矢石에 나감을 목이 말라 물을 구하듯 하였으며마침내 强大國 吳에 보복하고 중원을 향하여 무력을 떨치니 五霸로 불리었다.

▶ 越王句踐 : 춘추시대 말기의 월나라의 왕. 오왕 합려와 싸워 그를 죽였고 부차에게 패하였다. 그 후 부차를 꺾어 자살하게 하고 서주에서 제후와 회맹하여 패자가 되었다
▶ 范蠡 : 范少伯. 춘추시대 越王 구천의 책사이자 중국 최초의 大商人이다.
▶ 計然 : 字는 文子이며 姓이 辛이고 이름은 計然이다. 濮上 사람이며 老子의 제자라고도 한다. 저서 12편을 남겼는데 <通玄眞經>이라 부른다.
▶ 斗 : 싸우다.
▶ 修備 : 잘 준비하다.
▶ 形 : 對照하다.
▶ 歲 : 歲星. 木星. 星은 五星으로 木星을 歲星이라 하고 火星을 熒惑이라 하고 金星을 太白이라 하며 水星을 辰星이라 하고 土星을 鎮星이라 한다.
▶ 金水木火 : 五行에 금은 서쪽, 수는 북쪽, 목은 동쪽, 화는 남쪽이다.
▶ 穰 : 풍년. 풍성하다.
▶ 毁 : 흉작.
▶ 旱 : 가뭄.
▶ 資舟 : 배를 준비하다.
▶ 糶(쌀팔 조) : 쌀로 돈을 사다. 양식을 팔다.
▶ 二十病農 : 곡식 한 말의 가격이 이십 전이면 농민이 손해를 본다. 病은 손해.
▶ 九十病末 : 곡식 한말의 가격이 구십 전이면 상인이 손해를 본다. 末은 상공업을 말한다.
▶ 草不辟 : 농지가 황폐하여 지다. 辟은 개간하다.
▶ 平糶 : 곡식 가격을 조절하다.
▶ 關市 : 시장. 변경의 시장.
▶ 積著 : 축적하다. 즉, 물건을 사재다. 著는 비축하다.
▶ 務 : 반드시 ~하도록 애쓰다.
▶ 完物 : 온전하고 견고한 물품.
▶ 無息幣 : 자금을 머물게 하지 않다.
▶ 腐敗而食 : 부패하거나 상하기 쉬운 것. 食은 蝕.
▶ 論 : 연구하다.
▶ 修 : 다스리다.
▶ 赴矢石 : 전쟁터에 나서다. 矢는 화살. 고대에는 전쟁할 때 화살과 돌을 사용했으므로 시석이라고 한 것이다.
▶ 報 : 보복하다.
▶ 中國 : 중원지역을 말한다.
▶ 五霸 : 春秋五覇를 말하며, 춘추시대 5인의 패자를 일컫는 말로 五伯이라고도 한다. 荀子에 의하면 오패라 함은 齊桓公, 晋文公, 楚莊王, 吳王 闔閭, 越王 勾踐을 가리키는데, 한편 秦의 穆公, 宋襄公이나 吳王 夫差 등을 꼽는 경우도 있다.

 

范蠡既雪會稽之恥,乃喟然而嘆曰:
「計然之策七,越用其五而得意。
既已施於國,吾欲用之家。」
范蠡가 회계의 수치를 설욕한 후서글프게 탄식하였다.
計然의 계책 7개에서 월은 5개를 써서 뜻을 이루었다.
나라에서 시행하여 보았으니 나는 집에서 적용해보겠다!”

乃乘扁舟浮於江湖,變名易姓,適齊為鴟夷子皮,之陶為朱公。
그리고는 조각배를 타고 강호를 떠다니며 성명을 바꾸었다가에 가서는 鴟夷子皮라 하고 에 가서는 朱公이라 하였다.

朱公以為陶天下之中,諸侯四通,貨物所交易也。
朱公은 陶 땅이 천하의 중심으로 제후국과 사방으로 통하매화물을 교역하기 쉽다고 판단하였다.

乃治產積居。
이에 재산을 관리하면서 奇物을 쌓아 두었다.

與時逐而不責於人。
때맞추어 내다 팔아서 이익을 거두되 남에게 청구하지는 않았다.

故善治生者,能擇人而任時。
그러므로 장사를 잘하는 사람은 현명한 사람을 고르고 시세 파악을 잘해야 한다.

十九年之中三致千金,再分散與貧交疏昆弟。
范蠡는 19년 사이에 세 차례 천금을 모아 두 번은 가난한 친구들과 먼 친척 형제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此所謂富好行其德者也。
이것이 소위 부자가 그의 덕을 실행하기를 좋아함(富好行其德)’이다.

後年衰老而聽子孫,子孫修業而息之,遂至巨萬。
그 뒤 年老力衰하자자손에게 일을 맡기니 자손이 사업을 발전시켜마침내 재산이 억만 금에 이르렀다.

故言富者皆稱陶朱公。
이 때문에 후세에 부자를 담론함에 모두 陶朱公을 칭송한다.

▶ 雪 : 洗雪. 씻다.
▶ 喟然 : 한숨을 쉬며 서글프게 탄식함
▶ 扁舟 : 조각배.
▶ 適 : 가다.
▶ 鴟夷子皮 : 가죽부대의 모양이 마치 솔개와 같다고 하여 생긴 말로 가죽 주머니로 만든 술 담는 부대를 말한다. 吳를 멸망시킨 후 范蠡는 구천이 어려운 일을 함께하고도 그 공을 나누지는 못하는 성격임을 알고, 그와 오래도록 함께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그는 모든 것을 버리고 월을 떠났다. 范蠡는 스스로 이름을 치이자피로 바꾸고 사업에 종사하여 재물을 크게 모았는데, 이것을 모두 사람들에게 나누어 준 후 陶 땅에 가서 은거하며 호를 陶朱公이라 하고 크게 장사를 벌였다.
▶ 交 : 交流하다.
▶ 易 : 용이하다.
▶ 與時逐 : 수시로 이익을 추구하다.
▶ 責 : 요구하다.
▶ 治生 : 장사하다.
▶ 擇人 : 현명한 사람을 골라 쓰다.
▶ 貧交 : 가난한 친구.
▶ 疏昆弟 : 먼 친척 형제.
▶ 聽 : 맡기다.
▶ 息 : 利息을 늘리다. 즉, 발전하다.
▶ 巨萬 : 막대하다. 억만 금.
▶ 稱 : 칭송하다.

 

子贛既學於仲尼,退而仕於衛,廢著鬻財於曹、魯之閒,七十子之徒,賜最為饒益。
子贛은 공자에게서 배우고 나서 물러나 에서 벼슬하였으며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방식으로 와 에서 장사하였다공자의 70 제자 중에서 자공이 가장 부유하였다.

原憲不厭糟糠,匿於窮巷。
原憲은 술지게미나 쌀겨조차 물리지 않았으며 후미진 골목에 숨어 살았다.

子貢結駟連騎,束帛之幣以聘享諸侯,所至,國君無不分庭與之抗禮。
자공은 사두마차와 기병을 거느리고 비단을 폐백으로 들고 제후를 만나 바쳤는데가는 곳마다 국군에 자공과 대등한 예를 차리지 않는 자가 없었다.

夫使孔子名布揚於天下者,子貢先後之也。
무릇 공자의 명성을 천하에 펴고 선양함도 자공이 돌보았기 때문이다.

此所謂得埶而益彰者乎?
이것이 소위 세력을 얻으면 더욱 두드러진다.’가 아니겠는가?

▶ 子贛 : 子貢. 孔子의 제자. 端木賜. 衛 사람으로 성은 端木이고, 이름은 賜이며, 字가 子貢이다. 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齊·吳·晉·越 등 여러 나라에 가서 유세하여 吳로 하여금 齊를 공격하게 하여 魯를 구하였다.<사기 권 67. 권67 仲尼弟子列傳 >
▶ 廢著 : 싸게 사서 비싸게 팔다. 廢는 팔다. 著는 사재다.
▶ 鬻財 : 장사하다.
▶ 七十子之徒 : 공자의 70여 제자들. 孔門七十二賢
▶ 饒益 : 부유하다.
▶ 原憲 : 宋 사람으로 자는 子思이고, 春秋時代 공자의 제자로 孔門七十二賢 중의 한 사람이다. 집안이 가난하였지만 절의를 지키고, 安貧樂道의 생활을 하였다.
▶ 不厭 : 물리지 않다. 厭은 (배가 불러) 물리다.
▶ 匿 : 숨어 살다.
▶ 結駟連騎 : 네 마리의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기마 호위병을 거느리다.
▶ 束帛 : 禮로서 주고받는 禮幣. 한 묶음의 비단으로, 비단 5필을 각각 양 끝에서 마주 만 것이 한 묶음임. 聘問할 때 예물로 사용하였다.
▶ 享 : 바치다.
▶ 無分庭與之抗禮 : 대등한 지위나 예의로써 대하다. 고대에는 빈객과 주인이 정원 가운데에서 양쪽으로 나누어 서서 예의를 치렀다.
▶ 先后 : 보조하다. 거들어 주다.
▶ 益彰 : 더욱 두드러지다.



白圭,周人也。
白圭는 나라 사람이다.

當魏文侯時,李克務盡地力,而白圭樂觀時變,故人棄我取,人取我與。
魏文侯 때 李克이 토지 자원을 개발함에 힘을 다하였으나백규는 시세의 변화를 살피기를 즐겼기 때문에 사람들이 버리면 취하고 사람들이 취하면 내다 팔았다.

夫歲孰取穀,予之絲漆;
繭出取帛絮,予之食。
매년 수확 때는 곡식을 사들이고 실과 옻을 내다 팔았고,
누에고치가 나오면 비단과 솜을 사들이고 식량을 내다 팔았다.

太陰在卯,穰;
明歲衰惡。
木星이 에 있는 해에는 풍년이 들며 이듬해는 작황이 좋지 않다.

至午,旱;
明歲美。
에 있는 해에는 가뭄이 들며 이듬해에는 작황이 좋아진다.

至酉,穰;
明歲衰惡。
에 있는 해에는 풍년이 들며 이듬해에는 작황이 좋지 않다.

至子,大旱;
明歲美,有水。
에 있는 해에는 큰 가뭄이 들며
이듬해에는 작황이 좋아지며 비가 내린다.

至卯,積著率歲倍。
다시 에 있는 해가 되면 買占했던 물건이 대략 배로 늘어났다.

欲長錢,取下穀;
長石斗,取上種。
수입을 늘리려 할 때는 하등 곡식을 사들이고,
용량을 늘리려 할 때는 상등 품종을 사들였다.

能薄飲食,忍嗜欲,節衣服,與用事僮仆同苦樂,趨時若猛獸摯鳥之發。
음식을 박하게 하고嗜好를 억제하고의복을 절약하고고용된 노복들과 고락을 함께하였으나돈을 버는 시기를 잡음은 맹수나 맹금의 출발처럼 동작이 재빨랐다.

故曰:
「吾治生產,猶伊尹、呂尚之謀,孫吳用兵,商鞅行法是也。
그래서 그가 말하였다.
내가 장사하여 치부함은 伊尹·呂尙의 謀略孫子·吳子의 用兵商鞅의 行法과 같다.

是故其智不足與權變,勇不足以決斷,仁不能以取予,彊不能有所守,雖欲學吾術,終不告之矣。」
따라서 그의 지혜가 임기응변하기에 부족하거나용기가 결단하기에 부족하거나자애로써 주고받지 못하거나강건함이 지킬 바를 잘하지 못하면비록 나의 상술을 배우려 하여도 끝내 알려주지 않을 터이다.”

蓋天下言治生祖白圭。
대체로 천하 사람이 장사하여 치부함을 말함에 모두 백규를 본받는다.

白圭其有所試矣,能試有所長,非茍而已也。
백규에게 시험함이 있었을 터이나시험함에 성취가 있음은 아무렇게나 되는 것이 아니다.

 

▶ 李克 : 전국시대 魏 사람. 子夏의 제자다.
▶ 盡地力 : 토지 자원을 개발함에 힘을 다함.
▶ 歲孰 : 매년 곡물을 수확하다.
▶ 繭 : 누에고치. 잠견.
▶ 食 : 식량.
▶ 太陰 : 木星.
▶ 在卯 : 太陰이 卯에 있을 때는 그 해를 ‘單閼’이라고 한다. 歲星은 須女·虛·危 사이에 있으며, 이로써 12월과 더불어 새벽녘에 동방에 나타난다.(太陰在卯, 歲名曰單閼, 歲星舍須女虛危, 以十二月, 與之晨出東方. <淮南子 天文訓>
▶ 穰 : 풍년.
▶ 衰惡 : 작황이 좋지 않다.
▶ 至午 : 목성이 午宫에 있을 때는 그 해를 ‘敦牂’이라고 한다. 歲星은 胃·昴·畢 사이에 있으며, 이로써 3월과 더불어 새벽녘에 동방에 나타난다.(太陰在午, 歲名曰敦牂, 歲星舍胃昴畢, 以三月, 與之晨出東方.<淮南子 天文訓>
▶ 至酉 : 太陰이 酉에 있을 때는 그 해를 ‘作鄂’이라고 한다.
▶ 至子 : 太陰이 亥에 있을 때는 그 해를 ‘大淵獻’이라고 한다.
▶ 積著 : 축적하다. 즉, 물건을 사재다. 著는 비축하다.
▶ 率 : 대략.
▶ 上種 : 상등품의 곡물.
▶ 薄 : 輕視하다.
▶ 趨時 : 시세에 순응하다. 때를 잡다.
▶ 擊 : 사납다.
▶ 發 : 분발하다. 동작이 재빠르다.
▶ 治生產 : 장사하여 치부하다.
▶ 權變 : 임기응변.
▶ 祖 : 본받다.
▶ 苟 : 진지하지 않다.

猗頓用盬鹽起。
猗頓은 염업으로 盬 지방에서 집안을 일으켰다.

而邯鄲郭縱以鐵冶成業,與王者埒富。
邯鄲의 郭縱은 철광 제련으로 가업을 성취하였는데그들은 제왕과 대등하게 부유하였다.

▶ 猗頓 : 춘추시대 魯 사람. 大富豪. 이름은 頓이다. 猗氏라는 고을에서 재산을 일으켰기 때문에 의돈으로 불린다.
▶ 盬 : 옛날의 鹽池 이름. 지금의 山西省 臨猗縣 남쪽.
▶ 起 : 집안을 일으키다.
▶ 郭縱 : 전국시대 대상인. 趙 한단 출신이다. 제련업으로 거부가 되었다.
▶ 鐵冶 : 철광석을 제련하다.
▶ 成業 : 가업을 성취하다.
▶ 埒 : 동등하다. 같다.

 

烏氏倮牧,及眾,斥賣,求奇繒物,閒獻遺戎王。
烏氏의 는 목축업을 하였는데 가축의 수가 많아지면 이를 팔아 버리고 珍奇한 물건과 비단을 구하여 남몰래 戎王에게 바쳤다.

戎王什倍其償,與之畜,畜至用谷量馬牛。
융왕은 열 배로 보상하여 가축을 주었다가축의 양을 계산함에 심지어 골짜기를 단위로 소와 말을 계량하였다.

秦始皇帝令倮比封君,以時與列臣朝請。
진시황제가 를 封君과 대등하게 대우하게 하니봄과 가을에 列侯인 대신과 함께 조회하였다.

而巴蜀寡婦清,其先得丹穴,而擅其利數世,家亦不訾。
그리고 巴蜀의 과부 은 그 선조가 단사가 나는 동굴을 발견하여 몇 대째 그 이익을 독점하여 가산이 헤아릴 수 없었다.

清,寡婦也,能守其業,用財自衛,不見侵犯。
청은 과부였으나 가업을 잘 지키고 재산으로 자신을 지켜내 침범당하지 않았다.

秦皇帝以為貞婦而客之,為筑女懷清臺。
진시황제가 그녀를 정절이 있는 부인이라 여겨 빈객으로 대우하고 그녀를 위하여 女懷淸臺를 지어주었다.

夫倮鄙人牧長,清窮鄉寡婦,禮抗萬乘,名顯天下,豈非以富邪?
무릇 烏氏의 는 시골 사람인 畜牧主였고은 두메산골의 과부였지만 예우가 萬乘의 천자와 대등하였고 천하에 명성을 떨쳤으니 어찌 부유했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 倮 : 秦 때 목축업을 크게 하였다.
▶ 斥賣 : 팔아 버리다. 매각하다.
▶ 奇繒物 :진기한 물건과 견직물.
▶ 閒 : 몰래.
▶ 用谷量馬牛 : 산골짜기의 단위로 말과 소의 수량을 계산하다.
▶ 朝請 : 고대에 제후가 봄과 가을에 경성에 와서 황제를 알현하는 일로 春天은 ‘朝’, 秋天은 ‘請’이라 한다.
▶ 丹穴 : 丹砂가 나오는 곳.
▶ 擅 : 독점하다.
▶ 家 : 家産.
▶ 不訾 : 헤아릴 수 없다. 訾는 貲와 통하여 측량하다.
▶ 見 : 당하다.
▶ 鄙人 : 시골 사람.
▶ 牧長 : 畜牧主.
▶ 窮鄉 : 두메산골.
▶ 禮抗 : 대등한 예우를 받다.


漢興,海內為一,開關梁,弛山澤之禁,是以富商大賈周流天下,交易之物莫不通,得其所欲,而徙豪傑諸侯彊族於京師。
이 건국되어 천하가 하나가 되니 關門과 다리를 개방하고 산과 못에 대한 채취 금지령을 해제하였다이때문에 富商大賈가 천하를 두루 돌아다니며 교역된 물자가 유통되지 않는 곳이 없으매 원하는 것을 얻었으며호걸과 제후와 대부호들을 京師로 이사하게 하였다.

關中自汧、雍以東至河、華,膏壤沃野千里,自虞夏之貢以為上田,而公劉適邠,大王、王季在岐,文王作豐,武王治鎬,故其民猶有先王之遺風,好稼穡,殖五穀,地重,重為邪。
關中은 과 에서 동쪽으로 황하와 華山에 이르기까지 기름진 땅과 비옥한 들판이 사방 천 리에 펼쳐져 있어 순임금과 우임금 때부터 조세를 바치는 상급의 田地였고公劉는 邠 땅으로 이주하였고周太王과 王季는 岐 땅에 살았고文王은 豐 땅에서 일어났고武王은 鎬京을 다스렸다이 때문에 그곳의 백성은 아직도 선왕의 유풍을 간직하여 농사를 잘 지었는데 오곡을 심고 땅을 소중하게 여기면서 사악한 짓을 엄중하게 여겼다.

及秦文、德、繆居雍,隙隴蜀之貨物而多賈。
의 文公德公繆公 때는 에서 살았는데 蜀 사이의 화물이 유통되고 상인이 많았다.

獻公徙櫟邑,櫟邑北卻戎翟,東通三晉,亦多大賈。
獻公 때 櫟邑으로 도읍을 옮겼는데 역읍은 북쪽으로 戎翟을 물리칠 수 있는 곳이었고동쪽으로 三晉과 통하여 역시 큰 상인이 많았다.

孝、昭治咸陽,因以漢都,長安諸陵,四方輻湊并至而會,地小人眾,故其民益玩巧而事末也。
孝公과 昭公 때 咸陽을 다스렸고 이로 인하여 이 도읍으로 삼았는데장안에는 황제의 무덤이 있어 사방에서 사람과 물자가 몰려들었으며땅은 좁은데 인구가 많았기 때문에 그곳의 백성이 갈수록 약아져서 상업에 종사하게 되었다.

南則巴蜀。
관중의 남쪽은 巴蜀이다.

巴蜀亦沃野,地饒炧、薑、丹沙、石、銅、鐵、竹、木之器。
파촉 역시 땅이 기름진 들판으로 땅에서 치자생강단사구리쇠와 대나무 그릇나무 그릇 등이 풍부하게 생산되었다.

南御滇僰,僰僮。
그 남쪽으로 과 을 방어하고 있었는데 에는 노예들이 많았다.

西近邛笮,笮馬、旄牛。
서쪽으로는 과 에 가까웠는데작에서는 말과 들소가 난다.

然四塞,棧道千里,無所不通,唯褒斜綰轂其口,以所多易所鮮。
사방이 막혀있지만잔도가 천 리이매 통하지 않는 곳이 없고단지 褒斜에서 길 입구를 통제하여 이곳을 통하여 많이 나는 물자와 모자란 물자를 교역하였다.

天水、隴西、北地、上郡與關中同俗,然西有羌中之利,北有戎翟之畜,畜牧為天下饒。
天水隴西北地上郡 등은 관중과 같은 풍속이나 서쪽으로 羌中의 유리함이 있고북쪽으로 목축 지역인 戎翟이 있는데 목축업은 천하에서 제일이었다.

然地亦窮險,唯京師要其道。
그러나 지역이 역시 구석지고 험하여 오로지 수도인 장안에서만 그 길을 통과할 수 있다.

故關中之地,於天下三分之一,而人眾不過什三;
然量其富,什居其六。
그리하여 관중의 땅은 천하의 3분의 1에 인구는 10분의 3에 지나지 않지만
그 부유함을 따져보면 10분의 6을 차지한다.

昔唐人都河東,殷人都河內,周人都河南。
옛날 요임금은 河東에 도읍하였고나라 盤庚은 河內에 도읍하였으며나라 평왕은 河南에 도읍하였다.

夫三河在天下之中,若鼎足,王者所更居也,建國各數百千歲,土地小狹,民人眾,都國諸侯所聚會,故其俗纖儉習事。
대개 이 三河 지역은 천하의 중심으로 마치 세발솥처럼 왕들이 돌아가며 도읍으로 정하여 나라를 세운 지 제각각 수백 년에서 천 년이 되었고땅은 좁고 인구는 많지만 각국의 제후가 모여드는 곳이라 그 풍속이 인색하고 검소하며 세상 물정에 밝았다.

楊、平陽陳西賈秦、翟,北賈種、代。
과 平陽 사람들은 서쪽으로 戎翟과 장사를 하였고북쪽으로는 와 장사를 하였다.

種、代,石北也,地邊胡,數被寇。
과 는 石邑의 북쪽으로 흉노와 가까워 자주 약탈당하였다.

人民矜懻忮,好氣,任俠為姦,不事農商。
백성은 강직함을 숭상하고 승부욕이 강하고 의협심이 강하여 간악한 일을 서슴없이 하고 농사나 장사는 하지 않는다.

然迫近北夷,師旅亟往,中國委輸時有奇羨。
그러나 북쪽 오랑캐와 가까워 군대가 자주 출동하므로 중원에서 물자가 운송되어 오면 이익이 남는다.

其民羯羠不均,自全晉之時固已患其僄悍,而武靈王益厲之,其謠俗猶有趙之風也。
그곳의 백성은 사나워 밭을 갈기 어려우며전성기의 晉 때부터 그 날쌔고 용맹스러움 때문에 걱정거리였고趙 武靈王 때는 더욱 조장하였으므로 그 풍속에 아직도 의 유풍이 있다.

故楊、平陽陳掾其閒,得所欲。
그래서 과 平陽 사람들은 이런 형세를 쫓아 원하는 바를 얻었다.

溫、軹西賈上黨,北賈趙、中山。
과 軹 지역 사람들은 서쪽으로 上黨과 장사하였고북쪽으로는 와 中山일대에서 장사를 하였다.

中山地薄人眾,猶有沙丘紂淫地餘民,民俗懁急,仰機利而食。
중산은 땅은 척박한데 인구가 많다.
아직도 沙丘에는 음탕하였던 紂王의 자손이 남아 있다.
백성의 습속은 성격이 조급하고 교묘하게 이익을 취하여 먹고 산다.

丈夫相聚游戲,悲歌慨,起則相隨椎剽,休則掘冢作巧姦冶,多美物,為倡優。
남자들은 함께 모여 놀이를 하며비분강개하며 노래를 부른다.
아침에 일어나면 서로 규합하여 몽둥이로 재물을 노략질하고밤에는 무덤을 파헤치고 위조품을 만들며 사적으로 화폐를 주조하며잘생긴 남자가 많아 배우가 되기도 한다.

女子則鼓鳴瑟,跕屣,游媚貴富,入後宮,遍諸侯。
여자들은 거문고를 뜯고 신발을 끌고 다니며부귀한 자에게 아양을 떨어 후궁으로 들어가서서 제후국마다 두루 퍼졌다.

▶ 弛 : 늦추다. 개방하다.
▶ 禁 : 禁令.
▶ 大賈 : 大商. 巨商.
▶ 周流 : 통행하다. 두루 돌아다니다.
▶ 彊族 : 대부호.
▶ 京師 : 國都.
▶ 河華 : 黄河와 華山.
▶ 虞夏 : 虞나라와 夏나라. 虞는 제순 帝舜 有虞氏를 말하며, 夏는 요순시대 이후 禹가 세운 왕조이다
▶ 貢 : 租稅.
▶ 上田 : 상급의 경작지.
▶ 公劉 : 周나라의 건설자라고 이르는 后稷 棄의 증손자이자 不窋의 손자. 공류는 비록 戎狄의 땅에 가까이 살았으나 다시 后稷의 業을 일으켜서 백성이 넉넉하게 되었으므로 마땅한 땅을 잘 살펴서 豳谷에 나라를 세웠다.
▶ 邠 : 豳谷.
▶ 大王 : 周太王. 古公亶父.
▶ 王季 : 주나라 태왕의 서자였던 계력으로 주문왕의 아버지이다.
▶ 作豐 : 豐邑에서 일어서다.
▶ 治鎬 : 鎬京을 다스리다.
▶ 稼穑 : 농사. 파종과 수확.
▶ 秦文德缪 : 秦文公, 秦德公, 진 秦穆公.
▶ 隙 : 사이. 틈.
▶ 獻公 : 秦獻公.
▶ 却 : 물리치다.
▶ 戎翟 : 戎狄과 통한다. 중국에서 서쪽 이민족을 戎이라 하고, 북쪽 이민족을 狄이라고 하였다.
▶ 三晉 : 韓, 趙, 魏의 3국. 項羽가 秦을 멸망시킨 후 그 땅을 각기 나누어 셋으로 만들어 분봉하고 雍王, 塞王, 翟王이라 이름하고는 三秦이라 불렀으니, 三晉과 구별하라.〈秦始皇本紀〉
▶ 孝昭 : 秦孝公과 秦昭王.
▶ 輻湊 : 바퀴살이 바퀴통에 모이다. 즉 사방에서 사람과 물건이 모인다는 뜻. 輻은 바퀴살. 凑는 모이다.
▶ 玩巧 : 교묘하다.
▶ 末 : 商業.
▶ 炧 : 栀子.
▶ 御 : 막아내다. 방어하다.
▶ 僰僮 : 僰에는 노예가 많다. 漢 때 북 사람들은 노예로 판매되었었다.
▶ 邛, 筰 : 西南夷의 고대 부족명.
▶ 笮馬, 旄牛 : 작 땅에서 산출되는 말과 들소.
▶ 棧道 : 험한 산의 낭떠러지와 낭떠러지 사이에 다리를 놓아 만든 길.
▶ 褒斜栈道 : 산시성 한중에 위치한 풍치지구. 고대 巴蜀과 漢中을 연결해주는 중요한 역로이다. 전국시대에 만들어졌으며 세계에서 최초로 수레와 말의 통행이 가능한 길을 만들었다.
▶ 綰轂 : 통제하다.
▶ 所多 : 여분의 물자.
▶ 所鮮 : 모자라는 물자.
▶ 窮險 : 지세가 험준하고 중요하다.
▶ 要 : 약속하다.
▶ 唐 : 陶唐氏를 말한다. 고대 堯 임금은 하동 晋陽을 도읍으로 정하였다.
▶ 殷 : 왕위에 오른 盤庚은 湯王 때의 도읍인 亳으로 다시 천도를 하고, 혼란스러운 정치를 바로잡으려 하였다.
▶ 周 : 東周의 平王은 하남 낙양에 도읍하였다.
▶ 三河 : 河東, 河内, 河南을 말한다.
▶ 纖儉 : 인색하고 검소하다.
▶ 习事 : 세상사를 상세히 알다.
▶ 矜 : 과시하다. 숭상하다.
▶ 懻忮 : 강직하다.
▶ 好氣 : 승부욕이 강하다. 성을 잘 내다.
▶ 任俠 : 의협심이 강하다.
▶ 師旅 : 군대.
▶ 亟 : 누차. 자주.
▶ 委輸 : 운송하다.
▶ 奇羨 : 흑자가 되다. 남다.
▶ 羯羠 : 사납다.
▶ 均 : 밭 갈고 김을 맴.
▶ 全晋 : 漢, 魏, 趙로 분리되기 전의 晋.
▶ 僄悍 : 날쌔고 용맹스러움.
▶ 武靈王益厲之 : 趙 무령왕은 胡服騎射를 장려하였다. 胡服騎射는 전국시대 때 조 무령왕이 기원전 306년부터 실시한 군제 및 복제개혁이다.<사기 권43. 趙世家>
▶ 謠俗 : 풍속.
▶ 陳掾 : 형세를 쫓다.
▶ 沙丘紂淫地 : 은나라 주왕은 沙丘의 苑臺를 넓혀 주지육림 속에서 술을 마시고 놀았다. <사기 권3. 殷本紀>
▶ 懁急 : 성급하다. 조급하다.
▶ 仰 : 의지하다.
▶ 機利 : 교묘한 수단으로 사리사욕을 취하다.
▶ 椎 : 방망이로 때리다.
▶ 剽 : 재물을 노략질하다.
▶ 作巧 : 위조품을 만들다.
▶ 姦冶 : 사적으로 화폐를 주조하다.
▶ 美物 : 기이하고 아름다운 물건. 잘생긴 남자.
▶ 倡優 : 광대. 기생과 배우.
▶ 瑟 : 거문고와 비슷한 악기.
▶ 跕屣 : 신발을 질질 끌며 길을 가다.
▶ 游媚 : 알랑거리다. 아첨하다.
▶ 遍 : 골고루 퍼지다.

 

然邯鄲亦漳、河之閒一都會也。
그렇지만 邯鄲은 漳水와 황하 사이에 있는 도시이다.

北通燕、涿,南有鄭、衛。
북쪽으로는 과 涿으로 통하고남쪽으로는 과 가 있다.

鄭、衛俗與趙相類,然近梁、魯,微重而矜節。
정과 위의 풍속은 와 비슷하지만 과 와도 가까워 다소 정중하고 절조를 중히 여긴다.

濮上之邑徙野王,野王好氣任俠,衛之風也。
복상의 읍은 野王 지역으로 옮겼는데야왕 지역도 승부욕이 강하고 의협심이 강한 것은 의 유풍이다.

▶ 漳 : 漳水.
▶ 微重 : 다소 단정하고 정중함.
▶ 矜節 : 절조를 중하게 여기다.
▶ 濮上之邑 : 帝丘를 말하며 전국시대 복양으로 개명하였다.

夫燕亦勃、碣之閒一都會也。
燕 역시 渤海와 碣石山 사이에 있는 도회지이다.

南通齊、趙,東北邊胡。
남쪽으로는 와 에 통하고동북쪽은 흉노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上谷至遼東,地踔遠,人民希,數被寇,大與趙、代俗相類,而民雕捍少慮,有魚鹽棗栗之饒。
上谷에서 遼東에 이르는 지역은 아득히 멀어 인구가 적고 자주 침략을 당하였다와 代 지역의 풍속과 대체로 비슷하다백성은 독수리처럼 사납지만 생각이 부족하고물고기·소금·대추·밤이 많이 생산된다.

北鄰烏桓、夫餘,東綰穢貉、朝鮮、真番之利。
북쪽으로는 烏桓과 夫餘와 이웃하고동쪽으로는 穢貉朝鮮眞番이 집결되어 있어 유리한 위치에 있다.

▶ 燕 : 战国七雄의 하나로 현재의 허베이성 동북지방 남부를 영토로 하고, 蓟(:현재 北京市)에 도읍을 정했었다.
▶ 勃 : 渤海.
▶ 碣 : 碣石山.
▶ 踔遠 : 아득히 멀다.
▶ 希 : 적다. 稀와 통한다.
▶ 雕捍 : 독수리처럼 무섭고 사납다.
▶ 烏桓 : 漢 때 東胡族 가운데 내몽골 동쪽에 있던 부족.
▶ 綰 : 집결하다.

洛陽東賈齊、魯,南賈梁、楚。
洛陽은 동쪽으로 와 교역하고남쪽으로 와 교역한다.

故泰山之陽則魯,其陰則齊。
태산의 남쪽은 의 옛 땅이며 태산의 북쪽은 의 옛 땅이기 때문이다.

▶ 陽 : 泰山의 남쪽.
▶ 陰 : 泰山의 북쪽.

齊帶山海,膏壤千里,宜桑麻,人民多文綵布帛魚鹽。
齊 땅은 산과 바다가 둘러싸여 있고 기름진 땅이 천 리에 이르며 뽕과 삼 농사에 적합하다백성은 채색 비단직물물고기소금 등을 많이 생산한다.

臨菑亦海岱之閒一都會也。
臨菑 역시 바다와 태산 사이의 도회지이다.

其俗寬緩闊達,而足智,好議論,地重,難動搖,怯於眾鬬,勇於持刺,故多劫人者,大國之風也。
그 풍속은 너그럽고 활달하며아는 것이 많고 토론을 좋아하며땅을 중시하여 쉽게 타지로 떠나지 않으며무리지어 싸움을 겁낸다사람을 암살하는데 용감한 까닭에 남을 겁박하는 자가 많음은 大國의 유풍이다.

其中具五民。
제 땅에는 선비·농민·기술자·상인·병사들이 두루 산다.

▶ 帶山海 : 산과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
▶ 文彩 : 채색 비단.
▶ 布帛 : 직물의 총칭. 布는 면직물 帛은 견직물.
▶ 地重 : 땅을 중시한다.
▶ 難動搖 : 쉽게 타지로 떠나지 않는다.
▶ 持刺 : 암살하다. 사람을 몰래 해치다.
▶ 五民 : 선비ㆍ농민ㆍ기술자ㆍ상인ㆍ병사를 이르는 말.

 

而鄒、魯濱洙、泗,猶有周公遺風,俗好儒,備於禮,故其民齪齪。
와 는 洙水와 泗水 가에 있고아직도 周公의 유풍을 보존하고 있다儒家를 좋아하고 예를 잘 갖추는 풍속 때문에 백성은 조심스럽고 고지식하다.

頗有桑麻之業,無林澤之饒。
뽕과 삼을 업으로 많이 삼고 산림과 못에서 나는 자원이 없다.

地小人眾,儉嗇,畏罪遠邪。
땅은 좁고 인구는 많아 검소하고 인색하며 죄지음을 두려워하여 奸邪를 멀리한다.

及其衰,好賈趨利,甚於周人。
나라가 쇠퇴해지면서 장사를 좋아하고 이익을 좇는 것이 주나라 백성보다 심해졌다.

▶ 洙 : 강 이름.
▶ 遺風 :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풍습.
▶ 齪齪 : 조심스럽고 고지식하다.
▶ 周人 : 주나라의 백성. 즉 낙양 사람들을 말한다.

夫自鴻溝以東,芒、碭以北,屬巨野,此梁、宋也。
鴻溝의 동쪽과 芒山碭山 북쪽까지는 巨野에 서로 잇닿으며과 의 땅이었다.

陶、睢陽亦一都會也。
와 睢陽 역시 도회지이다.

昔堯作於成陽,舜漁於雷澤,湯止于亳。
옛날 임금은 成陽에서 일어났고舜 임금은 雷澤에서 물고기를 잡았으며임금은 에 거주하였다.

其俗猶有先王遺風,重厚多君子,好稼穡,雖無山川之饒,能惡衣食,致其蓄藏。
그 풍속에는 아직도 선왕의 유풍이 남아 있어 중후한 군자들이 많고농사를 잘 짓고 비록 산과 하천에서 나는 것이 풍요롭지는 않지만 험하고 거친 옷과 음식도 견디며 재산을 축적한다.

▶ 鴻溝 : 河南省 開封府의 지명. 項羽와 劉邦이 이 홍구를 경계로 하여, 서쪽은 漢으로, 동쪽은 楚로 하기로 약속했었다.
▶ 芒 : 芒山.
▶ 碭 : 碭山.
▶ 屬 : 서로 잇닿다. 연접하다.
▶ 作 : 일어나다.
▶ 雷澤 : 舜은 冀州 사람으로 歷山에서 농사를 짓고, 雷澤에서 물고기를 잡고, 황하 가에서 그릇을 만들었다. 순이 뇌택에서 물고기를 잡을 때는 뇌택 사람들이 모두 자리를 양보하였다.<사기 권1. 오제본기>
▶ 亳 : 탕은 처음에 亳에 거주하였는데 선왕이 거주하였던 곳이다.<사기권3. 은본기> 일설에 현재 랴오닝성 서부에 이르는 허베이성 동북부 일대라 한다.
▶ 惡衣食 : 아껴먹고 아껴 쓰다. 절약하여 생활하다.
▶ 蓄藏 : 저축하다. 축적하다.


越、楚則有三俗。
과 楚 지역에는 서초동초남초 세 지역의 풍속이 있다.

夫自淮北沛、陳、汝南、南郡,此西楚也。
淮水 북쪽에서 汝南南郡까지가 西楚지역이다.

其俗剽輕,易發怒,地薄,寡於積聚。
그곳 풍속은 거칠고 경박하여 성을 잘 내며땅은 척박하고 저축함이 적다.

江陵故郢都,西通巫、巴,東有雲夢之饒。
江陵은 본래 楚 도읍인 인데 서쪽은 와 로 통하고동쪽은 雲夢의 풍요로움이 있다.

陳在楚夏之交,通魚鹽之貨,其民多賈。
은 와 가 교차하는 곳으로 물고기와 소금 등이 교역되므로 그곳 백성에 장사꾼들이 많다.

徐、僮、取慮,則清刻,矜己諾。
取慮의 백성은 청렴하나 각박하고 약속을 지킴을 자랑으로 여긴다.

▶ 清刻 : 청렴하고 각박하다.
▶ 矜 : 중시하다.
▶ 己諾 : 약속을 지킴
▶ 三俗 : 西楚, 東楚, 南楚 세 지역의 다른 풍속.
▶ 剽輕 : 거칠고 경박함.
▶ 雲夢 : 전국시대 楚의 七澤 중 하나로서 屈原의 楚辭에 이곳을 소재로 하기도 하였다.
▶ 陳在楚夏之交 : 陳의 남쪽에는 楚 땅이 있고 북쪽에는 夏땅이 있다.

彭城以東,東海、吳、廣陵,此東楚也。
彭城의 동쪽으로 東海廣陵은 東楚 지역이다.

其俗類徐、僮。
이곳의 풍속은 과 비슷하다.

朐、繒以北,俗則齊。
繒 북쪽의 풍속은 齊 지역과 같다.

浙江南則越。
浙江 남쪽의 풍속은 越 지역과 같다.

夫吳自闔廬、春申、王濞三人招致天下之喜游子弟,東有海鹽之饒,章山之銅,三江、五湖之利,亦江東一都會也。
吳 지역은 闔廬春申君오왕 濞 세 사람이 유세를 좋아하는 천하의 젊은이들을 불러 모은 곳이다.
동쪽으로는 풍부한 바다 소금이 있고章山에서는 구리三江과 五湖의 자원으로 江東 또한 도회지가 되었다.

▶ 俗則齊 : 풍속이 齊와 같다.
▶ 浙江 : 錢塘江의 별칭.
▶ 王濞 : 吳王 劉濞. <사기 권106, 吳王濞列傳>


衡山、九江、江南、豫章、長沙,是南楚也,其俗大類西楚。
衡山九江江南豫章長沙가 南楚 지역으로 그 풍속은 대체로 西楚와 비슷하다.

郢之後徙壽春,亦一都會也。
가 도읍 을 잃은 후 壽春으로 옮겼으며 수춘 또한 도회지이다.

而合肥受南北潮,皮革、鮑、木輸會也。
合肥는 남쪽으로 長江이 있고 북쪽으로 淮水가 있어 가죽건어물목재가 모여드는 곳이다.

與閩中、干越雜俗,故南楚好辭,巧說少信。
閩中과 干越의 풍속이 섞여 있기 때문에 남초 사람들은 말을 잘하고 교묘하게 꾸며대지만 믿음은 부족하다.

江南卑溼,丈夫早夭。
강남 지역은 지대가 낮고 습하며 남자가 단명한다.

多竹木。
대나무가 많다.

豫章出黃金,長沙出連、錫,然堇堇物之所有,取之不足以更費。
豫章에서는 황금이 나고 長沙에서는 납과 주석이 나지만 매장량이 많지 않아 채굴할 때의 비용을 충당하기 부족하다.

九疑、蒼梧以南至儋耳者,與江南大同俗,而楊越多焉。
九疑山과 蒼梧의 남쪽으로 儋耳에 이르는 지역은 강남과 풍속이 대체로 같지만 楊越의 풍속이 허다하다.

番禺亦其一都會也,珠璣、犀、瑁、果、布之湊。
番禺 역시 도회지의 하나인데 구슬물소뿔玳瑁과일갈포의 집산지이다.

▶ 南北潮 : 남쪽의 장강과 북쪽 회수의 潮水.
▶ 輸會 : 집산지.
▶ 辭 : 言辭.
▶ 巧說 : 교묘하게 꾸며대는 말.
▶ 丈夫早夭 : 당시 강남의 남자들은 수명이 짧았다.
▶ 堇堇 : 겨우.
▶ 更费 : 비용을 변상하다.
▶ 九疑 : 九疑山.
▶ 大 : 대체로.
▶ 布 : 葛布.
▶ 凑 : 집산지.

潁川、南陽,夏人之居也。
穎川과 南陽은 원래 나라 사람들이 살던 곳이다.

夏人政尚忠樸,猶有先王之遺風。
하나라 사람의 정치는 충실과 질박함을 숭상하였고 아직 선왕의 유풍이 남아 있다.

潁川敦願。
영천 사람들은 돈후하고 성실하다.

秦末世,遷不軌之民於南陽。
秦 말기에는 반역을 저지른 사람들을 남양으로 옮겨 살게 하였다.

南陽西通武關、鄖關,東南受漢、江、淮。
남양은 서쪽으로 武關鄖關과 통하고 동남쪽으로 漢水長江淮水에 접하여 있다.

宛亦一都會也。
宛 역시 도회지이다.

俗雜好事,業多賈。
풍속은 혼잡하고 일 만들기를 좋아하여 장사꾼이 많다.

其任俠,交通潁川,故至今謂之「夏人」。
그곳의 사람들은 협객을 자처하며 영천과 서로 왕래하므로 지금도 夏人이라 부른다.

▶ 敦願 : 돈후하고 성실함.
▶ 不軌之民 : 불법을 저지른 사람들. 不軌는 법을 위반하여 반역하다.
▶ 漢, 江, 淮 : 漢水, 長江, 淮水.

夫天下物所鮮所多,人民謠俗,山東食海鹽,山西食鹽鹵,領南、沙北固往往出鹽,大體如此矣。
무릇 천하의 생산물은 적기도 하고 많기도 하며백성의 풍속도 각자 달라서山東은 海鹽을 먹지만 山西는 巖鹽을 먹으며嶺南과 사막의 북쪽은 원래 곳곳에서 소금이 나오므로 지역에 따른 형편이 대체로 이와 같다.

總之,楚越之地,地廣人希,飯稻羹魚,或火耕而水耨,果隋蠃蛤,不待賈而足,地埶饒食,無饑饉之患,以故呰窳偷生,無積聚而多貧。
총괄적으로 말하면 와 越 지역은 땅이 넓고 인구는 드물고쌀밥에 생선국을 먹으며간혹 화전을 일구고 논에 물을 대고 김을 매며과실과 조개 등은 외지에서 사들일 필요 없이 풍족하고지세가 유리하여 먹을 것이 풍족하여 굶주릴 염려가 없고그 때문에 그럭저럭 살아가며 저축이 없어서 가난한 자가 많다.

是故江淮以南,無凍餓之人,亦無千金之家。
이 때문에 장강과 회수 남쪽에는 얼어 죽거나 굶어 죽는 자도 없지만 천금의 부잣집도 없다.

沂、泗水以北,宜五穀桑麻六畜,地小人眾,數被水旱之害,民好畜藏,故秦、夏、梁、魯好農而重民。
沂水와 泗水 북쪽은 오곡가축을 기르기에 알맞다땅은 좁고 사람이 많으며누차 수해와 가뭄의 피해를 보았기 때문에 백성은 저축을 좋아한다그래서 魯 지역은 농업을 권장하고 백성을 중시한다.

三河、宛、陳亦然,加以商賈。
三河지역과 과 陳 등지도 이와 같으며 장사와 무역에도 힘을 기울인다.

齊、趙設智巧,仰機利。
와 趙 지역 사람들은 총명하고 약아서 투기로 이익을 꾀한다.

燕、代田畜而事蠶。
과 代 지역 사람들은 농사를 짓고 목축과 누에치기를 한다.

▶ 鹽鹵 : 호수나 돌에서 나는 소금.
▶ 領南 : 五嶺의 남쪽.
▶ 沙北 : 사막의 북쪽.
▶ 水耨 : 물을 대고 풀을 제초하는 방법의 일종.
▶ 果隋 : 과일.
▶ 蠃蛤 : 소라와 대합.
▶ 地埶 : 지리적 형세.
▶ 饒食 : 풍족함.
▶ 呰窳偷生 : 구차하게 살아가다. 그럭저럭 살아가다.
▶ 六畜 : 집에서 기르는 대표적인 여섯 가지 家畜. 소, 말, 양, 개, 닭, 돼지.
▶ 三河 : 河東, 河内, 河南을 말한다.
▶ 智巧 : 지혜롭고 공교로움. 재주가 있고 슬기로움.
▶ 田畜而事蠶 : 농사짓고 목축과 누에치기를 한다.

由此觀之,賢人深謀於廊廟,論議朝廷,守信死節隱居巖穴之士設為名高者安歸乎?
이것으로 미루어 보면 어질고 재능 있는 사람이 조정에서 일을 꾀하거나 의논함에믿음을 지키고 절개를 위하여 죽음과 바위 동굴에 사는 선비가 명성을 높이려 함은 어디로 귀착하는가?

歸於富厚也。
결국은 부귀에 歸着한다.

是以廉吏久,久更富,廉賈歸富。
따라서 청렴한 관리라도 오래도록 그 자리에 있으면 더욱 부유해질 수 있고청렴한 상인이라도 마침내 부자로 歸結된다.

富者,人之情性,所不學而俱欲者也。
라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라 배우지 않아도 누구나 원하게 되는 것이다.

故壯士在軍,攻城先登,陷陣卻敵,斬將搴旗,前蒙矢石,不避湯火之難者,為重賞使也。
그래서 壯士가 전장에서 성을 공격함에 먼저 올라 적진을 함락시키고 적군을 물리치고적장을 베고 깃발을 빼앗고矢石을 무릅쓰며 끓는 물과 불의 어려움을 피하지 않음은후한 상이 그렇게 만든다.

其在閭巷少年,攻剽椎埋,劫人作姦,掘冢鑄幣,任俠并兼,借交報仇,篡逐幽隱,不避法禁,走死地如騖者,其實皆為財用耳。
마을의 少年이 노략질하고 죽여서 땅에 묻고남을 겁박하고 간사한 짓을 하고남의 무덤을 파헤치고 사사로이 돈을 주조하며협객을 자처하며 남의 것을 가로채고패거리의 도움을 받아 복수하고눈에 띄지 않는 후미진 곳에서 재물을 탈취하고법이 금함을 피하지 않고 죽을 처지에서도 질주함도 사실은 모두 재물을 위함일 뿐이다.

今夫趙女鄭姬,設形容,揳鳴琴,揄長袂,躡利屣,目挑心招,出不遠千里,不擇老少者,奔富厚也。
지금 나 鄭 지역의 미녀가 몸치장을 한 채 거문고를 뜯고긴 옷소매를 나부끼고무도용 신발을 신고 추파를 던지고不遠千里하며 감에 노소를 가리지 않음도부유하기에 분주한 것이다.

游閒公子,飾冠劍,連車騎,亦為富貴容也。
할 일 없는 공자들이 모자와 검으로 장식하고 車騎를 줄지어 따르게 함도 역시 부귀를 과시하기 위함이다.

弋射漁獵,犯晨夜,冒霜雪,馳阬谷,不避猛獸之害,為得味也。
주살로 새를 잡고 물고기를 잡으면서 새벽과 밤을 가리지 않고서리와 눈을 무릅쓰며 깊은 골짜기를 내달리며 맹수의 해침을 마다하지 않음도 맛있는 음식을 얻기 위함이다.

博戲馳逐,鬬雞走狗,作色相矜,必爭勝者,重失負也。
도박경마닭싸움개싸움에 얼굴을 붉혀가며 서로 뽐내고 다투면 반드시 이기려 함은 져서 돈을 잃음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醫方諸食技術之人,焦神極能,為重糈也。
의사방사 등 기술로 먹고사는 사람들이 노심초사하며 역량을 다함은 수입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吏士舞文弄法,刻章偽書,不避刀鋸之誅者,沒於賂遺也。
관리가 공문서를 조작하고 법을 농락하며도장과 문서를 위조하고斬首와 발꿈치를 베는 형벌도 피하지 않음은 뇌물에 빠졌기 때문이다.

農工商賈畜長,固求富益貨也。
농민공인행상좌상이 저축하고 재물을 불림은아무래도 재물을 늘려 부유함을 추구하는 것이다.

此有知盡能索耳,終不餘力而讓財矣。
이렇게 지혜를 쓰고 역량을 다하여 얻어 낼 뿐이니결국 盡力하여 재물을 침탈함이 된다.

▶ 廊廟 : 朝廷.
▶ 設爲 : 設使成爲。~하게 함
▶ 安歸 : 歸於何處 어디로 귀속되는가? 목적이 무엇인가?
▶ 搴旗 : 적의 깃발을 빼앗다.
▶ 閭巷 : 마을.
▶ 攻剽 : 재물을 노략질하다.
▶ 椎埋 : 사람을 죽여서 묻다.
▶ 劫人作姦 : 남을 겁박하고 나쁜 짓을 하다.
▶ 篡逐幽隱 : 후미진 곳에서 재물을 강탈함. 篡은 불법으로 탈취함.
▶ 騖 : 질주하다.
▶ 姬 : 미녀.
▶ 設形容 : 몸치장을 하다. 形容은 몸매와 용모.
▶ 揳 : 연주하다.
▶ 揄 : 끌다.
▶ 躡利屣 : 무도용 신발을 신다. 利屣는 무도용 신발.
▶ 目挑心招 : 이성에게 눈짓으로 정을 전하다. 추파를 던지다.
▶ 弋射 : 날짐승을 활로 쏘아 잡음.
▶ 犯晨夜 : 아침 일찍 일어나고 밤 늦게 자다.
▶ 阬 : 구덩이. 갱도.
▶ 味 : 野味. 사냥한 짐승.
▶ 博戲 : 도박.
▶ 馳逐 : 경마.
▶ 作色 : 얼굴을 붉힘.
▶ 相矜 : 서로 앞 다투어 뽐내다.
▶ 失負 : 져서 돈을 잃다. 실패하여 손실을 보다.
▶ 焦神 : 지나치게 신경을 쓰다.
▶ 糈 : 양식. 즉 수입.
▶ 刻章 : 사적으로 官印을 새기다.
▶ 畜長 : 저축하여 재물을 늘리다.
▶ 知 : 지혜.
▶ 索 : 얻어 내다.
▶ 讓財 : 재물을 빼앗다. 讓은 攘과 통하여 빼앗다.

諺曰:
「百里不販樵,千里不販糴。」
속담에 일렀다.
백 리 먼 곳에 땔나무를 팔지 말고천 리 먼 곳에 곡식을 팔지 말라.”

居之一歲,種之以穀;
十歲,樹之以木;
百歲,來之以德。
1년을 살려거든 곡식을 심고,
10년을 살려거든 나무를 심고,
100년을 살려거든 덕을 베풀어라.

德者,人物之謂也。
덕이란 사람의 명망과 재물을 말한다.

今有無秩祿之奉,爵邑之入,而樂與之比者 命曰「素封」。
그런데 주어지는 녹봉도 없고 爵邑의 수입도 없으나즐겁게 살기가 그들과 비등한 사람을 素封이라 한다.

封者食租稅,歲率戶二百。
이란 조세로 먹고사는 것이며, 1년에 대개 1호당 200을 걷는다.

千戶之君則二十萬,朝覲聘享出其中。
1천 호를 가진 대부는 20만 전을 거두는 셈인데조정의 조회와 접대의 비용은 그중에서 지출한다.

庶民農工商賈,率亦歲萬息二千,百萬之家則二十萬,而更傜租賦出其中。
서민인 농민공인행상좌상에게도 역시 1만 전의 1년 이자가 대략 2천 전이므로, 100만 전을 가진 집이라면 20만 전의 수입이 되니徭役을 갈음함과 세금이 그중에서 지출된다.

衣食之欲,恣所好美矣。
이들은 衣食의 慾求와 嗜好를 마음 내키는 대로 충족할 수 있다.

故曰陸地牧馬二百蹄,牛蹄角千,千足羊,澤中千足彘,水居千石魚陂,山居千章之材。
그래서 말하기를육지에서 말 50마리(200개의 말굽)를 기르고소 약 167마리양 250마리를 키우고습지에 돼지 250마리연못에 1천 의 물고기를 기르고산에 1천 그루의 나무가 있는 산림을 가진다고 한다.

安邑千樹棗;燕、秦千樹栗;
蜀、漢、江陵千樹橘;
淮北、常山已南,河濟之閒千樹萩;
陳、夏千畝漆;
齊、魯千畝桑麻;
渭川千畝竹;
及名國萬家之城,帶郭千畝畝鐘之田,若千畝卮茜,千畦薑韭:
此其人皆與千戶侯等。
安邑의 대추나무 1천 그루과 의 밤나무 1천 그루,
蜀郡漢水江陵 지역의 귤나무 1천 그루,
淮北과 常山 남쪽 및 황하와 濟水 사이의 가래나무 1천 그루,
과 의 옻나무 밭 1천 ,
와 의 뽕나무나 삼밭 1천 무,
渭川의 대나무 숲 1천 무,
그리고 나라에서 이름난 1만 호가 있는 도성의 교외에 1당 곡식 1이 나는 땅 1천 무,
또는 치자나무와 꼭두서니를 심을 수 있는 1천 의 땅,
생강이나 부추밭 5만 이랑을 가지면,
이에 그 사람은 모두 1천 호를 가진 제후와 같다.

然是富給之資也,不窺市井,不行異邑,坐而待收,身有處士之義而取給焉。
그런데 이러한 것은 부유함을 주는 자산이라 저잣거리를 기웃거리지 않고다른 고장을 다니지 않고앉아서 수입을 기다리고몸은 處士의 명분을 지키면서도 수입을 거둔다.

若至家貧親老,妻子軟弱,歲時無以祭祀進醵,飲食被服不足以自通,如此不慚恥,則無所比矣。
만약 집이 가난하고어버이는 늙고 처자식은 연약하고명절에 제사 때 술을 올리지 못하고음식과 피복이 부족해도 스스로 만족하면서도 이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면비교할 가치가 가 없다.

是以無財作力,少有鬬智,既饒爭時,此其大經也。
그래서 재산이 없으면 힘써 일하고재산이 조금 있으면 지혜를 짜내고이미 넉넉하면서도 때를 다툼이 재산을 모으는 일반적인 이치인 것이다.

今治生不待危身取給,則賢人勉焉。
지금 생계를 꾸리면서 몸을 위태롭게 하지 않고 수입을 얻음은 賢人이 권면하는 방법이다.

是故本富為上,末富次之,姦富最下。
그래서 농사로 부를 얻음을 으뜸이라 하고장사로 부를 얻음이 그다음이며간사한 방법으로 부를 얻음이 最下이다.

無巖處奇士之行,而長貧賤,好語仁義,亦足羞也。
바위틈에 사는 비범한 선비의 품행도 없으면서오래도록 빈천하며 인의를 말하기를 즐김도 부끄러워하기에 족하다.

▶ 百里不販樵 : 백 리 먼 곳에 땔나무를 팔지 않고 천 리 먼 곳에 쌀을 팔지 않는다. 먼 곳을 왕래하여 장사하지 않는다는 말.
▶ 販糴 : 곡식을 다른 곳에 가서 팔다.
▶ 德 : 덕행.
▶ 人物 : 사람과 재물.
▶ 秩祿 : 관리의 녹봉.
▶ 奉 : 공급하다.
▶ 爵邑之入 : 작위와 봉지의 조세 수입.
▶ 素封 : 작위나 封地가 없는 큰 富者. 素는 없다.
▶ 率 : 대략. 표준.
▶ 二百 : 이백 錢.
▶ 千户之君 : 1천 호의 封地를 가진 군주.
▶ 朝覲 : 朝見. 제후가 천자를 배알하다.
▶ 聘 : 고대에 제후가 천자에게 안부의 사절을 보내는 일.
▶ 享 : 대접하다.
▶ 萬息二千 : 1만 전으로 이천 전의 이자를 얻다.
▶ 更 : 교체하다. 漢 때 병역을 대신 나가는 제도.
▶ 恣 : 마음 내키는 대로 하다.
▶ 二百蹄 : 말은 4개의 발굽이 있으므로 50마리의 말을 말한다.
▶ 牛蹄角千:소 한 마리는 발굽이 4개이며 뿔이 2개이므로 蹄角이 1,000이라 함은 대략 167마리의 소를 말한다.
▶ 千足羊 : 양은 다리가 4개 이므로 250마리의 양을 말한다.
▶ 澤 : 草澤.
▶ 彘 : 돼지. 돼지는 다리가 4개이므로 1000족은 250마리이다.
▶ 千石魚陂 : 연못에서 매년 얻는 천 石의 물고기. 石은 漢 때 무게의 단위로 1석은 120근이다. 陂는 연못.
▶ 章 : 큰 나무를 章이라 한다.
▶ 已南 : 以南과 같다.
▶ 萩 : 楸와 통한다. 가래나무.
▶ 渭川 : 渭河 平原.
▶ 帶郭 : 성 부근의 밭.
▶ 畝鐘 : 매 1畝 당 생산량. 鐘은 6斛 4斗.
▶ 若 : 혹.
▶ 栀 : 치자나무.
▶ 茜 : 茜草. 꼭두서니. 붉은색의 염료를 만들 수 있다.
▶ 薑韭 : 생강과 부추.
▶ 畦 : 밭두렁. 50이랑.
▶ 富給 : 풍족하다.
▶ 市井 : 옛날의 저자거리.
▶ 義 : 名義. 명분과 의리.
▶ 取給 : 공급받다.
▶ 歲時 : 명절.
▶ 醵 : 돈을 추렴하여 술을 마시다. 술잔치.
▶ 自通 : 자기 스스로 만족하다.
▶ 慚恥 : 부끄러워하다.
▶ 無所比 : 비교할 가치가 없다.
▶ 既饒 : 이미 넉넉하다.
▶ 大經 : 일반적인 이치.
▶ 治生 : 생계를 모색하다.
▶ 勉 : 권면하다. 장려하다.
▶ 本富 : 농사로 치부하다.
▶ 末富 : 상공업으로 치부하다.
▶ 姦富 : 간사한 방법으로 이익을 구하다.
▶ 巖處奇士 : 벼슬을 하지 않고 산속에 숨어 사는 선비.



凡編戶之民,富相什則卑下之,伯則畏憚之,千則役,萬則仆,物之理也。
무릇 호적에 겨우 이름이나 올린 사람은 부가 자기보다 열 배이면 그 사람에게 굴복하고백 배이며 그를 두려워하고 꺼리며천 배가 되면 그의 일을 해주고만 배가 되면 그의 노복이 되니이것이 사물의 이치이다.

夫用貧求富,農不如工,工不如商,刺繡文不如倚市門,此言末業,貧者之資也。
대체로 가난으로부터 부유해지려면 농업이 공업만 못하고공업이 상업만 못하고비단에 수를 놓음이 시장에서 장사함만 못하다 하니이것은 장사가 가난한 사람의 밑천이라는 말이다.

通邑大都,酤一歲千釀,醯醬千瓨,漿千甔,屠牛羊彘千皮,販穀糶千鐘,薪槁千車,船長千丈,木千章,竹竿萬,其軺車百乘,牛車千兩,木器髤者千枚,銅器千鈞,素木鐵器若炧茜千石,馬蹄蹾千,牛千足,羊彘千雙,僮手指千,筋角丹沙千斤,其帛絮細布千鈞,文采千匹,榻布皮革千石,漆千斗,糱麹鹽豉千荅,鮐鮆千斤,鯫千石,鮑千鈞,棗栗千石者三之,狐鼦裘千皮,羔羊裘千石,旃席千具,佗果菜千鐘,子貸金錢千貫,節駔會,貪賈三之,廉賈五之,此亦比千乘之家,其大率也。
교통이 발달한 대도시라면 1년에 술 1천 항아리식초 1천 병옅은 술 1천 병과 도살한 소··돼지의 껍질 1천 개판매용 곡식 1천 , 1천 수레의 땔감 1천 丈 길이의 배목재 1천 장대 1만 개간편한 수레 1백 승소가 끄는 수레 1천 량칠기 1천 개구리그릇 1천 칠이 없는 나무그릇과 철기에 담은 염료 1천 말 2백 마리소 250마리양이나 돼지 각 2천 마리노비 1백 명짐승 힘줄과 뿔과 단사 1천 근, 1천 의 명주실과 모시색이 있는 비단 1천 필거친 삼베와 피혁 1천 옻 1천 말누룩과 메주 각 1천 복어와 갈치 각 1천 근건어물 1천 자반 1천 균대추와 밤 각 3천석여우와 담비의 갖옷 각 1천 장염소와 양의 갖옷 각 1천 석담요 1천 장과일과 야채 각 1천 과 돈 꾸러미 1천 을 자금으로 이자를 놓으면서 관리하는 중개상이나 욕심 많은 상인에게는 1/3을 이자로 취하고 양심 있는 상인에게는 1/5을 이자로 취하면이런 것들 역시 천승의 왕에 비할 수 있으며 대체적인 정황이 이렇다.

佗雜業不中什二,則非吾財也。
기타 잡일에서도 2할의 이윤을 남기지 못하면 내가 말하는 좋은 치부사업이 아니다.

▶ 富相什 : 재산이 비교하여 10배가 되다.
▶ 伯 : 百과 같다.
▶ 畏憚 : 두려워하고 꺼림.
▶ 仆 : 노복.
▶ 倚市門 : 문에 기대어 웃음을 팔다. 옛날 기생의 생활을 형용함.
▶ 通邑大都 : 교통이 발달한 대도시.
▶ 酤 : 술.
▶ 醯醬 : 식초.
▶ 瓨 : 항아리.
▶ 漿千甔 : 옅은 술 1천 병.
▶ 糶 : 양식을 팔다.
▶ 薪槁 : 땔감.
▶ 船長千丈 : 길이가 千丈이 되는 배를 소유함.
▶ 木千章 : 큰 목재의 뿌리가 1천 章.
▶ 軺車 : 소형의 간편한 마차.
▶ 兩 : 輛과 같다.
▶ 髤 : 髹와 같다. 옷칠을 한 그릇.
▶ 素木 : 옷칠을 하지 않는 나무 그릇.
▶ 炧茜 : 염료.
▶ 馬蹄蹾千 : 말 2백 마리. 발굽과 항문이 100개이므로 말 2백 마리를 말함. 蹾은 말의 항문.
▶ 千雙 : 2천 마리.
▶ 僮手指千 : 노비 100명.
▶ 榻布 : 거친 삼베.
▶ 糱麹 : 누룩.
▶ 鹽豉 : 메주.
▶ 荅 : 그릇의 단위. 1말 6되.
▶ 鲐 : 복어.
▶ 鮆 : 갈치.
▶ 鲰 : 송사리. 작은 물고기를 말한다.
▶ 千石者三之 : 1,000석의 3배. 3,000석.
▶ 貂 : 담비.
▶ 裘 : 갖옷. 짐승의 털가죽을 안에 댄 옷.
▶ 旃席 : 담요.
▶ 子 : 이자.
▶ 貫 : 고대의 동전 꾸러미. 동전 1천 개가 1貫이다.
▶ 節 : 절제. 관리하다.
▶ 駔會 : 거간. 중간상.
▶ 大率 : 대체로.


請略道當世千里之中,賢人所以富者,令後世得以觀擇焉。
이 시대에 천 리 안에 살았던 賢人들이 치부한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여 후세의 사람들이 살펴서 선택할 수 있게 하겠다.

▶ 略道 : 간략히 설명함.
▶ 令 : ~하게 하다.
▶ 觀擇 : 관찰하다. 선택하다.

蜀卓氏之先,趙人也,用鐵冶富。
蜀 땅의 卓氏의 선조는 趙 사람으로 제철업으로 부자가 되었다.

秦破趙,遷卓氏。
이 를 쳐부수었을 때 탁씨를 옮겨 살도록 하였다.

卓氏見虜略,獨夫妻推輦,行詣遷處。
탁씨는 재산을 약탈당했기 때문에 오직 부부 두 사람이 손수레를 끌고서 이주지로 갔다.

諸遷虜少有餘財,爭與吏,求近處,處葭萌。
재산을 약탈당하고 이주한 사람으로 재물이 조금이라도 남은 자들은 다투어 관리에게 뇌물을 바치고 가까운 곳을 요구하여 葭萌縣에 거주하였다.

唯卓氏曰:
「此地狹薄。
吾聞汶山之下,沃野,下有蹲鴟,至死不饑。
民工於市,易賈。」
오직 탁씨는 말하였다.
이곳의 땅이 좁고 척박하다.
내가 듣기에 汶山 아래는 땅이 기름져 큰 토란이 많이 나서 굶어 죽을 일은 없다.
백성은 교역에 능숙하여 장사하기 쉽다.”

乃求遠遷。
그래서 먼 곳으로 이주시켜달라고 청구하였다.

致之臨邛,大喜,即鐵山鼓鑄,運籌策,傾滇蜀之民,富至僮千人。
臨邛으로 보내지자 몹시 기뻐하며 곧 철광산에서 쇠를 녹여 철기를 만들며여러 가지 계책을 운용하여 과 蜀 지역의 백성을 돈과 권세로 끌어들이니 그 부가 노복 1천 명에 이르렀다.

田池射獵之樂,擬於人君。
전원과 연못에서 사냥하고 고기잡이 하는 즐거움이 군주와 비교될 정도였다.

▶ 用鐵冶富 : 철광석을 제련하여 부자가 되다.
▶ 見 : 당하다.
▶ 虜略 : 약탈하다.
▶ 輦 :손수레.
▶ 詣 : 이르다. 도착하다.
▶ 諸遷虜 : 이주하는 사람들.
▶ 處 : 거주하다.
▶ 汶山 : 岷山. 사천성에 있는 산.
▶ 蹲鴟 : 큰 토란. 올빼미가 쪼그리고 앉아있는 형상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
▶ 工於市 : 교역에 능숙하다. 工은 ~에 능숙하다.
▶ 鼓鑄 : 쇠를 녹여 철기를 만들다.
▶ 運籌策 : 분석 연구하고 계획하다.
▶ 傾 : 돈과 권세로 사람을 억누르다.
▶ 擬於人君 : 군주와 비교되다. 擬는 비유하다.

程鄭,山東遷虜也,亦冶鑄,賈椎髻之民,富埒卓氏,俱居臨邛。
程鄭은 산동에서 이주한 포로로 역시 철을 제련하였고서남지역의 소수민족과 거래하였으며가 탁씨와 견줄 만하였고 임공에서 함께 살았다.

▶ 賈椎髻之民 : 西南夷의 소수 민족과 거래를 하다. 椎髻는 魋結. 상투. 한 줌으로 묶은 상투의 모양이 椎와 같은 것이다.<사기 권116. 西南夷열전>
▶ 埒 : 동등하다. 같다.

宛孔氏之先,梁人也,用鐵冶為業。
宛 땅의 孔氏의 선조는 梁 사람으로 철의 제련을 직업으로 삼았다.

秦伐魏,遷孔氏南陽。
이 를 정벌하고 공씨를 南陽으로 이주시켰다.

大鼓鑄,規陂池,連車騎,游諸侯,因通商賈之利,有游閒公子之賜與名。
그는 대규모 제련업과 저수지 사업을 하였으며마차를 줄줄이 몰고 나가 제후와 놀면서 이 기회를 틈타 장사의 이익을 얻었는데游閑公子라는 명성을 하사받았다.

然其贏得過當,愈於纖嗇,家致富數千金,故南陽行賈盡法孔氏之雍容。
그러나 이익을 지나치게 챙겼기 때문에 인색한 장사치보다 더하였으며집안의 재산은 수천 금에 이르렀고그 때문에 남양의 장사꾼들은 모두 공씨의 대범함을 본받았다.

▶ 規 : 기획하다. 계획하다.
▶ 陂池 : 저수지.
▶ 遊閑公子 : 놀기만 하는 한가한 公子라는 뜻으로,  衣食의 걱정 없이 閑暇한 사람을 말한다.
▶ 贏得過當 : 과다하게 이익을 얻음.
▶ 愈於纖嗇 : 인색한 상인을 넘어서다. 좀스럽고 인색하다.
▶ 法 : 본받다.
▶ 雍容 : 온화하고 점잖다. 거동이 대범하다.

魯人俗儉嗇,而曹邴氏尤甚,以鐵冶起,富至巨萬。
魯 사람의 풍속은 검소하고 인색하였는데曺 땅의 邴氏는 특히 심하였으며제련업으로 시작하여 재산이 수만 전이 되었다.

然家自父兄子孫約,俛有拾,仰有取,貰貸行賈遍郡國。
그러나 집안의 부형과 자손들은 서로 약속하기를 허리를 굽히면 물건을 줍고고개를 들면 물건을 취하라라고 하여 행상을 하면서 천하에 두루 돈을 빌려주었다.

鄒、魯以其故多去文學而趨利者,以曹邴氏也。
와 魯 지역은 이 때문에 儒學을 버리고 이익을 좇는 자가 많았는데 이것은 조 땅의 병씨 탓이었다.

▶ 邴 : 姓이 병이다.
▶ 起 : 시작하다.
▶ 巨萬 : 막대하다. 엄청나다.
▶ 俛 : 俯와 같다. 숙이다. 굽히다.
▶ 貰貸 : 돈을 빌려주다.
▶ 郡國 : 郡과 제후국.
▶ 去 : 떠나다.
▶ 文學 : 여기서는 儒學을 말한다.
▶ 以 : ~ 때문에.

齊俗賤奴虜,而刀閒獨愛貴之。
의 풍속은 노예를 천시하였으나 刁閑만은 노예를 아끼고 귀하게 여겼다.

桀黠奴,人之所患也,唯刀閒收取,使之逐漁鹽商賈之利,或連車騎,交守相,然愈益任之。
흉포하고 교활한 노예를 사람들이 우려하였는데 유독 조한이 그들을 거두어 생선과 소금 장사를 시켜 이익을 보게 하니 어떤 자는 말과 수레를 줄지어 몰고 가서 지방관들과 교류할 정도였으나 조한은 노예들을 더욱 신임하였다.

終得其力,起富數千萬。
결국은 그들의 힘을 빌려 수천만 금의 부를 쌓았다.

故曰「寧爵毋刀」,言其能使豪奴自饒而盡其力。
이 때문에 차라리 관직의 자리를 구할지언정 조한의 노예는 되지 마라.’라 하였는데이것은 조한이 호탕한 노예들을 잘 부려 그들의 힘을 다하게 함으로써 자신도 부자가 되었다는 말이다.

▶ 刀閒 : 서한 초기의 대상인으로 刁閑, 刁間이라고도 하였다.
▶ 桀黠奴 : 흉포하고 교활한 노예.
▶ 患 : 걱정하다. 우려하다.
▶ 交 : 교제하다.
▶ 守相 : 지방관. 守는 郡守, 相은 제후국의 재상.
▶ 起富 : 부자가 되다.
▶ 自饒 : 자신이 풍족해지다.

周人既纖,而師史尤甚,轉轂以百數,賈郡國,無所不至。
周 지역 사람들은 본래 인색하였는데 師史는 더욱 심하여수레 백여 대에 물건을 실어 나르며 군국을 돌면서 장사를 하였는데 이르지 않는 곳이 없었다.

洛陽街居在齊秦楚趙之中,貧人學事富家,相矜以久賈,數過邑不入門,設任此等,故師史能致七千萬。
낙양의 거리는 와 통하는 중심에 위치하여 가난한 사람은 부잣집에서 일을 배우고오랫동안 외지에서 장사함 서로 과시하고낙양을 몇 차례 지나면서도 자기 집에 들르지 않았는데이런 사람들에게 일을 맡겨서 이로 인하여 師史는 칠천만 금을 치부할 수 있었다.

▶ 既纖 : 본래 인색하다.
▶ 師史 : 姓이 師이며 이름이 史이다.
▶ 轉轂 : 화물을 수레에 실어 팔아서 돈을 벌다.
▶ 相矜以久賈 : 장기간 외지에서 장사한 것을 서로 과시하다.
▶ 此等 : 이 사람들.

宣曲任氏之先,為督道倉吏。
宣曲의 任氏의 선조는 督道 창고를 지키는 관리였다.

秦之敗也,豪傑皆爭取金玉,而任氏獨窖倉粟。
이 패망하자 호걸들은 모두 금과 옥을 쟁취하였으나임씨는 유독 창고의 곡식을 굴속에 감추어 두었다.

楚漢相距滎陽也,民不得耕種,米石至萬,而豪傑金玉盡歸任氏,任氏以此起富。
와 이 滎陽에서 서로 맞서자 백성은 농사를 지을 수 없었고쌀 한 섬이 만 이 되어서 호걸들의 금과 옥은 모두 임씨 차지가 되었고임씨는 이로 인하여 부자가 되었다.

富人爭奢侈,而任氏折節為儉,力田畜。
부자들이 다투어 사치를 일삼을 때 임씨는 신분을 낮추고 근검절약하면서 농사와 목축에 힘썼다.

田畜人爭取賤賈,任氏獨取貴善。
농사짓고 목축하는 사람들은 값이 싼 것을 쟁취하였지만 임씨 만은 귀하고 좋은 것을 샀다.

富者數世。
그리하여 몇 대 동안 부유하였다.

然任公家約,非田畜所出弗衣食,公事不畢則身不得飲酒食肉。
그러나 임공의 집안은 약속하였다.
내 밭과 가축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면 먹고 입지 않고公事가 끝나지 않으면 술과 고기를 먹지 않겠다.”

以此為閭里率,故富而主上重之。
이 때문에 마을의 모범이 되었으므로 富者로서 황제의 존중을 받았다.

▶ 督道 : 창고 이름.
▶ 窖 : 움. 땅굴.
▶ 距 : 저항하다. 맞서다.
▶ 耕種 : 논밭을 갈고 씨를 뿌려 가꾸다.
▶ 米石至萬 : 쌀 한 섬이 일만 전이 되다.
▶ 折節 : 자신의 신분을 낮추다.
▶ 折節為儉 : 절제하여 검약하게 되다.
▶ 賤賈 : 값이 싸다.
▶ 率 : 모범. 귀감.
▶ 主上 : 황제를 말한다.
▶ 重 : 존중하다. 중시하다.

塞之斥也,唯橋姚已致馬千匹,牛倍之,羊萬頭,粟以萬鐘計。
이 변방을 개척할 무렵 오로지 橋姚만이 말 1천 마리소 2천 마리양 1만 마리와 매우 많은 양의 곡식을 갖고 있었다.

吳楚七國兵起時,長安中列侯封君行從軍旅,齎貸子錢,子錢家以為侯邑國在關東,關東成敗未決,莫肯與。
吳楚 7국의 난이 일어나자장안의 제후와 봉국의 귀족들이 토벌군을 따라 출정하면서 이자 돈을 얻으려고 하였는데대금업자는 제후의 봉국이 關東에 있고 관동의 성패가 확실치 않아서 돈을 빌려주려고 하지 않았다.

唯無鹽氏出捐千金貸,其息什之。
오직 無鹽氏 만이 천금을 풀어서 빌려주었는데 그 이자는 원금의 열 배로 하였다.

三月,吳楚平,一歲之中,則無鹽氏之息什倍,用此富埒關中。
석 달 만에 오초의 난이 평정되었으므로 1년도 못 되어 무염씨는 원금의 10배의 이자를 받아 이것으로 그의 재산은 관중의 부호와 필적하게 되었다.

▶ 塞 : 변새. 변방.
▶ 斥 : 개척하다.
▶ 橋姚 : 姓은 桥, 이름은 姚.
▶ 致 : 취득하다.
▶ 萬鐘 : 아주 많은 양.
▶ 吳楚七國兵起時 : 오초칠국의 난은 前漢 景帝 치세인 기원전 154년 전한의 제후국 吳의 왕 劉濞가 주축이 되어 중앙 정부에 일으킨 반란이다. <사기 권106.吳王濞列傳>
▶ 軍旅 : 군대.
▶ 齎貸子錢 : 이자를 받고 돈을 빌려주다.
▶ 子錢家 : 돈놀이꾼. 대금업자. 子錢은 利子.
▶ 無鹽氏 : 무염은 復姓.
▶ 捐 : 내놓다.
▶ 其息什之 : 이자가 원금의 10배.
▶ 富埒關中 : 부가 관중의 부호와 필적하다. 埒(랄)은 동등하다.

關中富商大賈,大抵盡諸田,田嗇、田蘭。
관중의 富商大賈는 대부분 田氏 집안으로 田嗇田蘭 등이다.

韋家栗氏,安陵、杜杜氏,亦巨萬。
그 밖에 韋家의 栗氏安陵과 杜縣의 杜氏 역시 재산이 억만 금이었다.

▶ 富商大賈 : 巨商. 大商
▶ 諸田 : 姓이 田인 집안.

 

此其章章尤異者也。
여기에 기술한 이들은 모두 두드러지고 특별한 인물들이다.

皆非有爵邑奉祿弄法犯姦而富,盡椎埋去就,與時俯仰,獲其贏利,以末致財,用本守之,以武一切,用文持之,變化有概,故足術也。
모두 작위나 봉읍과 봉록을 받는 것도 아니고 법률을 악용하거나 나쁜 짓으로 부자가 된 것도 아니다.
모두 사물의 이치를 헤아려 행동하고시기의 변화에 맞게 대처하여 그 이익을 얻얻고장사로 재물을 모으고 농사로 그것을 지키고강한 역량으로 일체를 탈취하고 법적인 방법으로 그것을 지켰으니그 변화가 대략 이와 같았기 때문에 기술할 가치가 있다.

若至力農畜,工虞商賈,為權利以成富,大者傾郡,中者傾縣,下者傾鄉里者,不可勝數。
그들은 농업목축업수공업벌목상업에 온 힘을 기울여 치부함으로써 권세와 이익을 취하매크게는 을 흔들고중간은 하나의 을 압도하고작게는 한 마을을 압도한 자들로서 수를 이루 헤아리지 못한다.

▶ 章章 : 彰彰. 현저하다. 두드러지다.
▶ 尤異 : 특별하고 보통 사람과 다르다.
▶ 椎埋 : 추리하다.
▶ 去就 : 진퇴.
▶ 與時俯仰 : 시기의 변화에 맞추어 대처하다.
▶ 本 : 농업.
▶ 以武一切 : 강력한 수단으로 모든 것을 탈취하다.
▶ 用文持之 : 법률 등의 문자를 사용하여 유지하다.
▶ 有概 : 大略如此
▶ 故足術也 : 그런 까닭에 기술할 가치가 있다. 術은 述과 통하여 기술하다.
▶ 若 : 그들. 너.
▶ 至力 : 진력하다. 힘쓰다.
▶ 權利 : 권세와 이익.
▶ 傾 : 초과하다. 압도하다.

夫纖嗇筋力,治生之正道也,而富者必用奇勝。
무릇 검소하게 아끼면서 힘을 다함이 생계를 유지하는 正道이나부자는 필시 남다른 방법으로 승리한다.

田農,掘業,而秦揚以蓋一州。
농사는 졸렬한 업종이지만 의 씨는 이것으로 한 의 으뜸이 되었다.

掘冢,姦事也,而田叔以起。
도굴은 奸詐한 짓이지만 田叔은 이것으로 치부하였다.

博戲,惡業也,而桓發用富。
도박은 나쁜 사업이지만 桓發은 그것으로 출발하여 부자가 되었다.

行賈,丈夫賤行也,而雍樂成以饒。
장사는 남자로서는 천한 일이지만 지방의 樂成은 그것으로 부유해졌다.

▶ 纖嗇筋力 : 면밀하게 계산하며 힘을 다하다.
▶ 掘業 : 우둔한 직업.
▶ 蓋 : 압도하다. 뛰어나다.
▶ 起 : 致富하다.
▶ 用富 : 그것으로 부자가 되었다.
▶ 雍樂成 : 雍 지방의 樂成. 성이 樂이고 이름은 成이다.

販脂,辱處也,而雍伯千金。
油脂 판매는 부끄러운 직업이지만 雍伯은 그것으로 천금을 벌었다.

賣漿,小業也,而張氏千萬。
술장사는 보잘것없는 직업이지만 張氏는 그것으로 천만금을 벌었다.

灑削,薄技也,而郅氏鼎食。
칼 가는 일은 하찮은 기술이지만 郅氏는 그것으로 제후처럼 솥을 늘어놓고 식사하였다.

胃脯,簡微耳,濁氏連騎。
양의 를 파는 일은 단순하고 미천한 일이지만 濁氏는 그것으로 기마행렬을 거느렸다.

馬醫,淺方,張裏擊鐘。
馬醫는 천박한 기술이지만 張里는 그것으로 종을 울려 식구를 모아 식사하였다.

此皆誠壹之所致。
이것들은 모두 心志가 한결같음의 所致이다.

▶ 販脂 : 油脂를 판매하다.
▶ 灑削 : 칼을 갈다.
▶ 薄技 : 하찮은 기술.
▶ 鐘鳴鼎食 : 擊鐘鼎食. 끼니때 종을 쳐서 식구를 모으고 솥을 늘어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부귀한 집의 생활을 이르는 말.
▶ 胃脯 : 양의 밥통을 삶아서 말려 파는 것.
▶ 簡微 : 간단하고 하찮은 일.
▶ 連騎 : 말의 대열이 서로 잇닿다. 위풍당당하다.
▶ 淺方 : 천박한 작은 기술.
▶ 誠壹 : 심지가 한결같다.

由是觀之,富無經業,則貨無常主,能者輻湊,不肖者瓦解。
이로 인하여 살펴보건대에는 정해진 직업이 없으며 재물에 정해진 주인이 있음도 아니다능력이 있는 자에게는 재화가 사방에서 폭주하고능력이 없는 자는 瓦解된다.

千金之家比一都之君,巨萬者乃與王者同樂。
천금의 부자는 한 都城의 군주와 비교되고억만금의 부자는 군왕과 함께 즐거움을 누린다.

豈所謂「素封」者邪?非也?
이것이 소위 素封인가아닌가?

▶ 經業 : 늘 하는 일. 정해진 일.
▶ 輻湊 : 바퀴살이 바퀴통에 모이다. 사방에서 모여들다.
▶ 瓦解 : 붕괴하다. 가산이 파탄되다.
▶ 素封 : 작위나 封地가 없는 큰 富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