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집주

論語集註 陽貨 第十七(논어집주 양화 제십칠) 第十五章

구글서생 2023. 2. 21. 04:44
반응형

▣ 第十五章

子曰:
「鄙夫可與事君也與哉?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비루한 사람과 함께 임금을 섬길 수 있겠는가?

鄙夫,庸惡陋劣之稱。
鄙夫는 재능이 범상하고() 마음이 모질고() 행위가 잡되며 좀스럽고() 의지가 흐릿하고 나약한() 사람을 일컫는다.

 

其未得之也,患得之;
既得之,患失之。
부귀를 얻기 전에는 얻을 것을 걱정하고,
얻고 나서는 잃을까 걱정한다.

何氏曰:
「患得之,謂患不能得之。
何氏가 말하였다.

얻을 것을 걱정한다는 것은 얻을 수 없을까 걱정하는 것을 말한다.”

 

苟患失之,無所不至矣。」
구차하게 부귀를 잃을까 걱정하면 못하는 짓이 없게 된다.”

小則吮癰舐痔,大則弒父與君,皆生於患失而已。
작게는 등창을 빨고 치질을 핥으며 크게는 아비와 임금을 시해하는데, 이것은 모두 그가 얻은 것을 잃을까 걱정하는 데서 생길 뿐이다.
吮癰舐痔: 종기를 빨고 치질의 환부를 핥음. 권세에 몹시 아첨하는 것을 비유한 말. 吮癰柔惡이고 舐痔剛惡이라 한다


胡氏曰:
「許昌靳裁之有言曰:士之品大概有三:志於道德者,功名不足以累其心;志於功名者,富貴不足以累其心;志於富貴而已者,則亦無所不至矣。
志於富貴,即孔子所謂鄙夫也。」

胡氏가 말하였다.

許昌靳裁之는 말하였다. ‘선비의 등급이 대개 세 가지가 있으니, 道德에 뜻을 둔 자는 功名이 그 마음을 얽맬 수 없고, 功名에 뜻을 둔 자는 富貴가 그 마음을 얽맬 수 없고, 富貴에만 뜻을 둔 자는 못하는 짓이 없다.’

富貴에 뜻을 두는 자는 바로 孔子께서 말씀하신 鄙夫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