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論語集註 八佾 第三(논어집주 팔일 제삼) 第九章 본문
반응형
▣ 第九章
子曰:
「夏禮吾能言之,杞不足徵也;殷禮吾能言之,宋不足徵也。文獻不足故也,足則吾能徵之矣。」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夏나라의 禮制를 내가 말할 수 있으나 <그 후손의 나라인> 杞나라에서 충분히 증거를 대주지 못하며, 殷나라의 禮制를 내가 말할 수 있으나 <그 후손의 나라인> 宋나라에서 충분히 증거를 대주지 못함은 文獻이 부족하기 때문이니, <文獻이> 충분하다면 내가 그 나라의 예제에 증거를 댈 수 있을 것이다.”
杞,夏之後。宋,殷之後。
起는 夏나라의 후손이고, 宋은 殷나라의 후손이다.
徵,證也。
徵은 증거를 대는 것이다.(徵驗)
文,典籍也。獻,賢也。
文은 典籍이고, 獻은 예를 아는 어진 사람이다.
言
二代之禮,我能言之,而二國不足取以為證,以其文獻不足故也。
文獻若足,則我能取之,以證君言矣。
말하였다.
“두 시대의 禮制를 내가 말할 수 있으나, 두 나라에서 취하여 증거로 삼을 수 없으니, 이는 文獻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文獻이 만일 충분하다면 내가 그것을 취하여 내 말을 증거댈 수 있다.”
반응형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集註 八佾 第三(논어집주 팔일 제삼) 第七章 (0) | 2023.03.12 |
---|---|
論語集註 八佾 第三(논어집주 팔일 제삼) 第八章 (0) | 2023.03.12 |
論語集註 八佾 第三(논어집주 팔일 제삼) 第十章 (0) | 2023.03.12 |
論語集註 八佾 第三(논어집주 팔일 제삼) 第十一章 (0) | 2023.03.11 |
論語集註 八佾 第三(논어집주 팔일 제삼) 第十二章 (0) | 202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