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한문의 허사(虛詞) 儻 본문
한문의 허사(虛詞) 儻 |
儻(倘) 黨(党) 儻或 儻若 儻使 “儻혹시 당”은 “黨무리 당”과 통한다. 부사나 접속사로 쓰인다. 부사로 쓰일 때는 추측, 예측 등을 나타낸다. 접속사로 쓰일 때는 가설을 나타낸다. |
(1) 儻은 부사로서 확실치 않은 것을 나타낸다. “아마도”
蓋周文武起豊鎬而王, 今費雖小, 儻庶幾乎! 《史記 孔子世家》
-주나라의 문왕·무왕은 풍과 호처럼 작은 지방에서 왕업을 일으켰다. 지금 費 땅은 비록 작지만 아마도 풍과 호와 같지 않겠는가!
余聞光黃間多異人, 往往佯狂垢汚, 不可得而見, 方山子儻見之歟? 《蘇軾: 方山子傳》
-나는, 광주와 황주 사이에 이인이 많이 있는데, 왕왕 미치고 더러운 체하여, 쉽게 만나볼 수 없다고 들었다. 方山子께서 혹시 이런 사람들을 만난 일이 있는가?
會傕送饋, 妻乃以豉爲藥. 汜將食, 妻曰: “食從外來, 儻惑有故!” 《三國志 魏志 董卓傳 注引典略》
-마침 이각이 식품을 보내와서, 곽사의 아내가 메주를 써서 약을 만들었다. 곽사가 막 먹으려 하자 아내가 말했다: “음식이 외부에서 들어오면, 문제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儻은 黨으로도 쓰인다.
舍人弟上變,告信欲反狀於呂后。呂后欲召,恐其黨不就,乃與蕭相國謀 《史記 淮陰侯列傳》
-[한신의 舍人 가운데 한신에게 죄를 지은 자가 있어 붙잡아다 죽이려고 하자,] 그 사인의 동생이 여후에게 사변을 아뢰고 한신이 모반을 기도하고 있다는 것을 밀고했다. 여후는 한신을 불러들이려 했으나, 부름에 응하지 않을지도 모르므로 상국 소하와 의논했다.
(2) 儻은 접속사로서 가설을 나타낸다. “만약”
儻急難有用, 敢效微軀. 《李白: 與韓荊州書》
-만일 급한 곤경을 당하여 쓰일 일이 있다면, 저는 감히 미천한 몸이나마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儻遭不世明達君子, 安可不攀附景仰之乎? 《顔氏家訓 慕賢篇》
-만약 불세명달의 군자를 만났다면, 어찌 그에게 매달리고 경앙하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儻若果歸言, 共陶暮春時. 《文選 謝靈運: 酬從弟惠連詩》
-만약 과연 돌아갈 수 있다면, 함께 늦은 봄의 정취를 즐길 수 있으련만.
儻或可采, 瑜死不朽矣. 《三國志 吳志 魯肅傳 注引周瑜與孫權笺》
-만약 저의 계책이 채용된다면, 저 주유는 죽어도 한이 없겠습니다.
'한자 한문 공부 > 한문의 허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허사(虛詞) 獨 (0) | 2022.12.21 |
---|---|
한문의 허사(虛詞) 徒 (0) | 2022.12.21 |
한문의 허사(虛詞) 當 (0) | 2022.12.21 |
한문의 허사(虛詞) 但 (1) | 2022.12.21 |
한문의 허사(虛詞) 寧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