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한문의 허사(虛詞) 尤 본문

한자 한문 공부/한문의 허사

한문의 허사(虛詞) 尤

耽古樓主 2022. 12. 25. 05:36
한문의 허사(虛詞) 尤
尤는 상고 시대에는 오직 명사와 동사로서만 쓰였다.
《周易 卦爻辭》에는 이 글자가 없다.
《詩經》에는 이 글자가 세 차례 나오는데 명사가 아닌 동사로 쓰이고 있다. 《尙書》에서도 세 차례 나오는데 역시 虛詞로는 쓰이지는 않았다.
《論語 憲問篇》에서는 “不怨天不尤人[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이라는 구절에서 尤가 “책하다, 탓하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이고 있다.
《左傳》에서는 이 글자가 10여 차례 나오고 있는데, 거의 명사와 동사로 쓰이고,
오직 《昭公28年년》조에서만 “尤物[뛰어난 인물이나 물건]”이라는 단어에서 형용사로 쓰이고 있다.

“尤더욱 우”자가 부사로 쓰인 것은 아마도 秦시대 이후로써, 《孟子》 《荀子》후기, 《墨子》 ( 《經說上》에 “劍尤早”라고 보이는데 이 尤는 誤字로서 예문으로 쓰기에는 적합치 않다.) 에서는 모두 이와 같은 용법이 없다.


尤는 부사로서 현대 중국어의 尤其[특히, 더욱]의 뜻으로 쓰였다. 당나라 시대 사람들이 주로 썼다.

 

 

蒼本好書, 無所不觀, 無所不通, 而尤善律歷. 《史記 張丞相列傳》

-장창은 본래 책을 좋아하여, 안 본 책이 없었고 이해 못 할 바가 없었다. 특히 음악과 역법에 능통했다.

 

關中富商大賈, 大抵盡諸田: 田嗇, 田蘭, 韋家, 栗氏, 安陵, 杜杜氏, 亦巨萬. 此其章章尤異者也. 《史記 貨殖列傳》

-관중의 부유한 상인과 대상인은, 대체로 전씨 일족었는데, 전장과 전란 등이 그들이다. 그 밖에 위가와 율씨 및 안릉과 두릉 양 지역의 두씨도 또한 거만의 부를 지녔다. 이들은 부호 중에서도 두드러진 사람들이었다.

故諸侯失國者皆是被臣逐之, 悉非其君自出, 仲尼尤其不能自安. 《左傳 襄公14年經 “乙未, 衛侯出奔齊” 正義》

-그러므로 제후 중 나라를 잃은 자는 모두 신하들에 의하여 축출당했다. 모두 다가 군주 스스로가 떠난 것이 아니다. 공자는 더욱 이러한 현상에 만족할 수 없었다.

 

'한자 한문 공부 > 한문의 허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허사(虛詞) 爰  (0) 2022.12.25
한문의 허사(虛詞) 云  (0) 2022.12.25
한문의 허사(虛詞) 于  (0) 2022.12.25
한문의 허사(虛詞) 用  (1) 2022.12.25
한문의 허사(虛詞) 庸  (1) 2022.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