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의 허사

한문의 허사(虛詞) 夫

耽古樓主 2022. 12. 22. 17:24
한문의 허사(虛詞) 夫
夫子

① 夫는 예를 들면 夫妻,丈夫처럼 쓸 때는 ‘사나이’ 또는 ‘성년 남자’를 뜻하지만, 夫人과 같이 쓸 때는 ‘귀부인’을 뜻한다. 이때 중국어에서는 夫fū와 같이 1성으로 읽는다.

② 한편 허사로 쓰이는 夫는 夫fú와 같이 2성으로 읽는다.

 

(1) 는 인칭 대명사로서 먼 곳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킨다양한 시대 이후에는 이와 같은 용법으로는 쓰이지 않았다. “” “그러한


¶ 范氏之臣王生惡張柳朔, 言諸昭子, 使爲柏人. 昭子曰: 夫非而讎乎?” 《左傳 哀公5年》
○ 범소자의 신하 왕생은 장유삭을 미워했다. 그런데도 왕생은 범소자에게 말하여, 장유삭을 백인현의 현장으로 추천했다. 그러자 범소자가 말하기를, “그 사람은 너의 원수가 아닌가?”라고 했다.

¶ 彼且爲我死, 故吾得與之俱生; 彼且爲我亡, 故吾得與之俱存; 夫將爲我危, 故吾得與之皆安. 《漢書 賈誼傳》
○ 그들은 나를 위해 죽을 각오가 되어 있었으므로, 나는 그들과 함께 살아남아 있을 수가 있었고; 그들은 나와 함께 도망했으므로, 나는 그들과 함께 여기에 살고 있으며; 그들은 장차 나를 위해 위험을 무릅쓸 것이기 때문에, 나는 그들과 함께 안전하게 있는 것이다.

(2) 는 지시 형용사로 쓰여명사 또는 명사 상당 어구 앞에 놓인다와 같이 근칭지시사로 쓰이거나자와 같이 원칭지시사로 쓰이는데 상하 문의에 따라 그 뜻이 정해진다.

¶ 顔淵死, 子哭之慟. 從者曰: “子慟矣!”

曰: “有慟乎? 非夫人之爲慟而誰爲?” 《論語 先進》
○ 안연이 죽자, 공자께서 곡하시기를 심히 슬피 하셨는데, 시종이 말하기를, “선생님께서 지나치게 애통해하십니다.”

말씀했다. “지나치게 애통함이 있었느냐? 저 사람을 위해 애통해하지 않고 누구를 위해 애통해하겠는가?”

¶ 魯人爲長府. 閔子騫曰 “仍舊貫 如之何? 何必改作?”

子曰: “夫人不言, 言必有中.” 《論語 先進》
○ 노나라 사람이 장부라는 창고를 짓자, 민자건이 말했다: “옛것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 어떻겠는가? 하필 고쳐 지어야 하는 것인가?”

선생님께서 말씀했다: “저 사람이 말을 하지 않을지언정 말을 하면 반드시 (도리에) 들어맞는다.”

¶ 長沮、桀溺耦而耕, 孔子過之, 使子路問津焉 長沮曰: “夫執輿者爲誰?” 《論語 微子》
○ 장저와 걸닉이 함께 밭을 갈고 있었는데, 공자께서 지나가실 적에 자로를 시켜 이들에게 나루를 묻게 하셨다. 장저가 말하기를: “저 수레 고삐를 잡고 있는 분이 누구신가?”

(3) 는 문장의 첫머리에 쓰여 문장을 이끄는 어기를 나타낸다보통 발어사라고 부른다보통 해석하지 않는다.


¶ 夫人必自侮, 然後人侮之. 《孟子 離婁上》
○ 사람은 반드시 스스로 자중하지 않는 사람에 대하여, 뒤에 남들도 그를 업신여기게 된다.

¶ 夫斯乃上蔡布衣, 閭巷之黔首. 《史記 李斯列傳》
○ 나는 초나라 상채 땅의 검은 맨머리의 일반 백성이었다.

(4) 는 어기사로서 문장의 끝에 쓰인다. “감탄” “찬탄의 의미로 쓰인다.


어떤 경우에는 문장의 중간에 놓이기도 하는데, 이는 형식상으로는 중간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끝이나 다름이 없다. 이 경우 술어가 앞에 놓임으로써 어기를 강조해주는 효과가 있다. 어떤 이들은 오늘날의 ba”의 전신이라고도 말하지만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 子在川上曰: “逝者如斯夫! 不舍晝夜.” 《論語 子罕》
○ 선생님께서 시냇가에서 말씀하셨다: “가는 것이 이와 같구나! 주야로 쉬지 않도다.”

¶ 仁夫公子重耳! 《禮記 檀弓下》
○ 공자 ‘중이’는 인덕이 깊구나!

“夫대저부”는 또한 확실하지 않은 “추측”의 어기를 나타내며, 심지어는 “의문”의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 齊貌辨見宣王. 王曰: “子, 靖郭君之所聽愛夫!” 《戰國策 齊策1》
○ 제모변이 선왕을 뵈었다. 왕이 말했다: “그대는 정곽군이 무엇이든지 들어주는 아끼는 인물이라 하던데!”

¶ 吾歌, 可夫? 《史記 孔子世家》
○ 내가 노래를 하나 부르겠습니다. 그래도 되겠습니까?

(5) 자와 관련하여 부대적으로 夫子라는 말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글자 그대로 말하자면 그 사람이란 뜻이지만, “는 본래 고대인들이 경칭으로 썼기 때문에 夫子는 곧 제3인칭 敬稱대명사가 되어 그 어르신이란 말이 된다.
논어에서는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를 지칭할 때 선생님이란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말을 대화체에서 쓰면 2인칭 경칭대명사가 된다.

¶ 子問公叔文子於公明賈曰: “信乎? 夫子不言、不笑、不取乎?” 《論語 憲問》
○ 공자께서 공숙문자를 공명가에게 물어 말씀하시기를: “정말인가? 그분께서는 말씀도 하지 않으시고, 웃지도 않으시고, (남의 물건을) 받지도 않으시는가?” 하셨다.

¶ 公孫丑問曰: “夫子當路於齊, 管仲晏子之功, 可復許乎?” 《孟子 公孫丑上》
○ 공손추가 물어 말하기를: “선생님께서 제나라에서 요직을 맡게 되신다면, 관중과 안자의 공적을 다시 보여주실 수 있겠습니까?”

 

'한문의 허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허사(虛詞) 尙  (1) 2022.12.22
한문의 허사(虛詞) 否  (1) 2022.12.22
한문의 허사(虛詞) 凡  (0) 2022.12.22
한문의 허사(虛詞) 方  (0) 2022.12.22
한문의 허사(虛詞) 靡  (0) 2022.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