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한문의 허사(虛詞) 方 본문

한자 한문 공부/한문의 허사

한문의 허사(虛詞) 方

耽古樓主 2022. 12. 22. 17:20
한문의 허사(虛詞) 方
方은 허사로서 부사와 전치사로 쓰인다.


(1) 은 동작이나 행위 또는 어떤 상황이 발생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대부분 시간을 나타내며, 때로는 양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주로 술어, 특히 동사 앞에 쓰인다. “때마침··바로

尹文曰: “今有人于此, 將治其國. 民有非, 則非之; 民無非, 亦非之. 民有罪, 則罰之; 民無罪, 則罰之. 而惡民之難也, 可乎?” 王曰: “不可.” 尹文曰: “竊觀下吏之治齊也, 方若此也.” 《呂氏春秋 正名篇》
-윤문이 말하기를: “이제 여기에 어떤 사람이 있어, 장차 그의 나라를 다스리고자 합니다. 백성들에게 그릇된 것이 있으면, 이를 책망하고; 백성들에게 그릇된 것이 없어도, 역시 이를 책망합니다. 백성들에게 죄가 있으면, 이를 벌주고; 백성들에게 죄가 없어도, 역시 벌을 줍니다. 그렇게 하고서도 백성들은 다스리기가 어렵다고 미워합니다. 이것이 가당한 일이겠습니까?”라고 물었다. 임금이 “가당치 않은 일이오”라고 말했다. 윤문이 말했다: “제가 보건대 임금님의 관리들이 제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바로 이와 같습니다.”

行酒次至臨汝侯, 臨汝侯方與程不識耳語. 《史記 魏其侯列傳》
-관부가 돌리는 술잔이 임여후 차례가 되었으나, 임여후는 때마침 정불식과 귓속말을 속삭이고 있었다.

秦王方環柱走, 卒惶急, 不知所爲. 《史記 刺客列傳》
-[자객 형가는 진왕을 죽이고자 쫓아다녔고,] 진왕은 마침 기둥을 돌며 도망다니면서, 도대체 이 황급함을 어찌할 바를 몰랐다.

위에 든 세 가지 예문 중에 方若此”[바로 이런 모양]자만 양태를 나타내고, 나머지 두 예문의 은 모두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2) 은 전치사로 쓰여동작이나 행위 또는 어떤 상황이 발생한 시간을 나타낸다. “때에는·때에 이르러

方其夢也, 不知其夢也. 《莊子 齊物論篇》
-그가 꿈을 꾸고 있는 동안에는, 그것이 꿈인 줄을 몰랐다.

方今唯秦雄天下. 《史記 魯仲連列傳》
-지금 천하에는 오직 진나라만이 영웅이 되어 있습니다.

 

'한자 한문 공부 > 한문의 허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허사(虛詞) 夫  (0) 2022.12.22
한문의 허사(虛詞) 凡  (0) 2022.12.22
한문의 허사(虛詞) 靡  (0) 2022.12.22
한문의 허사(虛詞) 微  (1) 2022.12.22
한문의 허사(虛詞) 未  (0) 2022.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