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집주

맹자집주 고자장구 상 제10장

구글서생 2023. 3. 19. 03:37

孟子集注

 

孟子曰:
孟子가 말하였다.

「魚我所欲也熊掌亦我所欲也二者不可得兼舍魚而取熊掌者也.
“魚物은 내가 원하는 바이며 熊掌도 내가 원하는 바이지만이 두 가지를 겸하여 얻을 수 없다면 魚物을 버리고 熊掌을 취하리라.

亦我所欲也亦我所欲也二者不可得兼舍生而取義者也.
삶도 또한 내가 원하는 바이며 義도 또한 내가 원하는 바이지만이 두 가지를 겸하여 얻을 수 없다면삶을 버리고 義를 취하리라.

魚與熊掌皆美味, 而熊掌尤美也.
魚物과 熊掌은 다 맛이 좋되, 熊掌이 더욱 좋다.

生亦我所欲所欲有甚於生者故不爲苟得也;
삶도 또한 내가 원하는 바이지만원하는 바에 삶보다 甚한 것이 있으므로 삶을 구차히 얻으려고 하지 않는다.

死亦我所惡所惡有甚於死者故患有所不辟也.
죽음도 내가 싫어하는 바이건만싫어하는 바에 죽음보다 심한 것이 있으므로患難에는 피하지 않을 것이 있다.

釋所以舍生取義之意.
삶을 버리고 義를 취하는 뜻을 해석하였다.

, 得生也.
得은 생을 얻는 것이다.

欲生惡死者, 雖衆人利害之常情; 而欲惡有甚於生死者, 乃秉彝義理之良心.
삶을 원하고 죽음을 싫어함이 비록 衆人들의 利害에 불변의 情이나, 원하고 싫어함에 生死보다 더한 것은, 곧 義理를 秉彝(떳떳한 것을 잡음)하는 良心이다.

是以欲生而不爲苟得, 惡死而有所不避也.
이 때문에 生을 원하되 구차히 얻지 않고, 死를 싫어하되 避하지 않는 바가 있다.

如使人之所欲莫甚於生則凡可以得生者何不用也?
가령 사람들이 원하는 바에 삶보다 甚한 것이 없으면온갖 삶을 얻을 방법을 어찌 동원하지 않겠는가?

使人之所惡莫甚於死者則凡可以辟患者何不爲也?
가령 사람들이 싫어하는 바에 죽음보다 甚한 것이 없으면온갖 患難을 피할 방법을 어찌 행하지 않겠는가?

設使人無秉彝之良心, 而但有利害之私情, 則凡可以偸生免死者, 皆將不顧禮義而爲之矣.
가령 사람들이 秉彝하는 良心이 없고, 다만 利害를 따지는 私情만 있다면, 온갖 偸生免死(구차하게 삶을 구하고 죽음을 면함)하는 짓을 모든 사람들이 禮義를 돌아보지 않고 행할 터이다.

由是則生而有不用也由是則可以辟患而有不爲也.
이 때문에 살 수 있어도 (그 방법을쓰지 않음이 있으며이 때문에 患難을 피할 수 있어도 행하지 않음이 있다.

由其必有秉彝之良心, 是以其能舍生取義如此.
반드시 秉彝하는 良心을 가졌기 때문에, 삶을 버리고 義를 취하기를 이렇게 할 수 있다.

是故所欲有甚於生者所惡有甚於死者非獨賢者有是心也人皆有之賢者能勿喪耳.
이러므로 원하는 바에 삶보다 甚한 것이 있으며싫어하는 바가 죽음보다 심한 것이 있으니유독 현자만이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마다 가지고 있지만賢者는 능히 이것을 잃지 않을 뿐이다.

羞惡之心, 人皆有之, 但衆人汨於利欲而忘之, 惟賢者能存之而不喪耳.
(자신의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잘못을) 미워하는 마음을 사람마다 가지고 있지만, 衆人들은 利慾에 빠져서 이것을 잊고, 오직 賢者만이 능히 보존해서 잃지 않을 뿐이다.

一簞食一豆羹得之則生弗得則死.
한 도시락 밥과 한 그릇의 국을 얻으면 살고 얻지 못하면 죽는다.

嘑爾而與之行道之人弗受蹴爾而與之乞人不屑也.
혀를 차고 꾸짖으며 주면 길 가는 사람도 받지 않으며발로 밟고 주면 乞人도 좋게 여기지 않는다.

, 木器也.
豆는 木器이다.

, 咄啐之貌.
호(嘑)는 혀를 차고 꾸짖는 모양이다.

行道之人, 路中凡人也.
行道之人은 길 가는 一般人이다.

, 踐踏也.
蹴은 밟음이다.

乞人, 丐乞之人也.
乞人은 빌어먹는 사람이다.

不屑, 不以爲潔也.
不屑은 탐탁하게 여기지 않음이다.


雖欲食之急而猶惡無禮, 有寧死而不食者.
비록 그것을 먹고자 함이 급하더라도, 그래도 無禮함을 싫어하여 차라리 죽을지언정 먹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말이다.

是其羞惡之本心, 欲惡有甚於生死者, 人皆有之也.
이것이 羞惡의 본심이고, 원함과 싫어함에 삶과 죽음보다 더 심한 것은 사람이 모두 가지고 있다.’

萬鍾則不辨禮義而受之萬鍾於我何加焉?
萬鍾의 은 禮義를 분별하지 않고 받나니萬鍾의 祿이 나에게 무슨 보탬이 되겠는가?

爲宮室之美·妻妾之奉·所識窮乏者得我與?
宮室의 아름다움과 妻妾을 먹여 살림과내가 알고 있는 窮乏한 자가 나를 고맙게 여김을 위해서일 것이다.

萬鍾於我何加, 言於我身無所增益也.
萬鍾於我何加란 내 몸에 增益하는 바가 없다는 말이다.

所識窮乏者得我, 謂所知識之窮乏者感我之惠也.
所識窮乏者得我란 내가 알고 있는 궁핍한 자들이 나의 은혜에 감사한다는 말이다.

上言人皆有羞惡之心, 此言衆人所以喪之, 由此三者.
위에서는 사람이 모두 羞惡之心을 지녔음을 말하였고, 여기서는 衆人이 수오지심을 잃는 까닭이 이 세 가지에 연유함을 말하였다.

蓋理義之心雖曰固有, 而物欲之蔽, 亦人所易昏也.
理義의 마음이 비록 固有하다고 말하나, 物慾의 가림이 또한 사람이 쉽게 어두워지는 까닭이다.

鄕爲身死而不受今爲宮室之美爲之;
鄕爲身死而不受今爲妻妾之奉爲之;
鄕爲身死而不受今爲所識窮乏者得我而爲之是亦不可以已乎?
지난번 자신을 위함엔 죽어도 받지 않다가 이제 궁실의 아름다움을 위해서 그 짓을 하며,
지난번 자신을 위함엔 죽어도 받지 않다가 이제 처첩의 받듦을 위하여 그 짓을 하며,
지난번 자신을 위함엔 죽어도 받지 않다가 이제 알고 있는 바의 궁핍한 자가 나를 고맙게 여김을 위하여 그 짓을 하니이 또한 그만둘 것이 아닌가?

此之謂失其本心.」
이것을 일러 그 本心을 잃었다고 하는 것이다.”

爲之之爲, 並如字.
‘爲之’의 爲는 모두 如字이다. (‘할 위’자의 음으로 읽어라는 뜻 )
如字: [명사] 중국어 主音 방법의 하나. [한 글자에 두 가지 이상의 발음이 있을 때, 가장 통상적인 발음으로 읽는 것을 말함. 美好3(三聲)으로 읽는 예와 같은 것]


三者身外之物, 其得失比生死爲甚輕.
鄕爲身死猶不肯受嘑蹴之食, 今乃爲此三者而受無禮義之萬鍾, 是豈不可以止乎?
말하였다.
‘세 가지는 몸 밖의 물건이라서 그 得失이 生死에 比하면 매우 가볍다.
지난번 자신을 위함엔 죽을지라도 혀를 차고 꾸짖으며 발로 밟고 주는 음식은 받지 않다가, 이제 이 세 가지를 위해서는 禮義가 없는 萬鍾의 祿을 받으니, 이 어찌 그만두지 않겠는가?’

本心, 謂羞惡之心.
本心은 羞惡之心을 이른다.

此章言
羞惡之心, 人所固有.
或能決死生於危迫之際, 而不免計豐約於宴安之時, 是以君子不可頃刻而不省察於斯焉.
이 章은 말하였다.
‘羞惡之心이 사람에게 固有한 바이다.
或 危迫한 즈음에 死生을 決斷하면서, 宴安의 때에 豊約을 따짐을 면치 못한다. 이 때문에 君子는 頃刻이라도 이에 대하여 省察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