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19장 본문
貉稽曰:
「稽大不理於口.」
貉稽(맥계)가 말하였다.
“저(稽)는 크게 입에 덕을 보지 못합니다.”
趙氏曰:
「貉姓, 稽名, 爲衆口所訕.」
趙氏가 말하였다.
“貉은 姓이요 稽는 이름이니, 여러 사람의 입에 비방을 받았다.”
理, 賴也.
理는 의뢰함이다.
今按漢書無俚, 方言亦訓賴.
지금 漢書를 살펴보건대, 無俚를 揚子方言에 또한 賴라고 訓하였다.
孟子曰:
「無傷也.
士憎茲多口.
孟子가 말하였다.
“상심할 것이 없다.
선비는 더욱 이보다 口舌이 많다.
趙氏曰:
「爲士者, 益多爲衆口所訕.」
趙氏가 말하였다.
‘선비가 된 자는, 더욱 여러 사람들의 입에 비방을 받는다.’
按此則憎當從土, 今本皆從心, 蓋傳寫之誤.
이를 상고해보면 憎字는 마땅히 土部를 따라야 할 것인데(增), 지금 冊에는 모두 心部를 따랐으니(憎), 이는 傳寫의 잘못일 터이다.
詩云:
詩經에 이르기를,
『憂心悄悄, 慍于群小.』 孔子也.
‘마음에 걱정하기를 초초(悄悄)히 하거늘, 여러 小人들에게 노여움을 받는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공자의 일이다.
『肆不殄厥慍, 亦不隕厥問.』 文王也.」
‘마침내 오랑캐들의 노여움을 없애지는 못했으나, 또한 태왕의 명성을 잃지 않았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文王의 일이다.”
詩邶風柏舟, 及大雅綿之篇也.
詩는 패풍(邶風) 柏舟篇과 大雅 綿篇이다.
悄悄, 憂貌.
悄悄(초초)는 걱정하는 모양이다.
慍, 怒也.
慍은 노함이다.
本言衛之仁人見怒於群小. 孟子以爲孔子之事, 可以當之.
이것은 본래 衛나라의 仁人이 여러 小人들에게 노여움을 받음을 말한 것인데, 孟子는 孔子의 일이 여기에 해당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肆, 發語辭.
肆는 發語辭이다.
隕, 墜也.
隕은 실추함이다.
問, 聲問也.
問은 聲問(聲聞)이다.
本言太王事昆夷, 雖不能殄絶其慍怒, 亦不自墜其聲問之美. 孟子以爲文王之事, 可以當之.
이것는 본래 대왕(太王)이 昆夷를 섬길 적에 비록 그들의 성냄을 없애지는 못했으나, 또한 스스로 그 명성의 아름다움을 실추하지 않았음을 말한 것인데, 孟子는 文王의 일이 여기에 해당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尹氏曰:
「言人顧自處如何, 盡其在我者而已.」
尹氏가 말하였다.
‘사람은 自處하기를 어떻게 하는가를 돌아보아야 하니, 자기에게 있는 것을 다할 뿐이라는 말이다.’
'맹자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17장 (0) | 2023.03.15 |
---|---|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18장 (1) | 2023.03.15 |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20장 (0) | 2023.03.15 |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21장 (0) | 2023.03.15 |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22장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