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古岸子
備失匕箸- 劉備가 수저를 놓침으로써 놀란 척하다.
蜀志
<蜀志>의 記事이다.
先主劉備字玄德 𣵠郡𣵠縣人. 漢中山靖王勝之後.
先主 劉備의 字는 玄德이니 𣵠郡 𣵠縣人이고, 漢의 中山靖王 劉勝의 후손이다.
少孤 與母販履織席爲業.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와 함께 짚신을 팔고 자리를 짜는 것을 業으로 삼았다.
舍東南角籬上有桑樹生. 高五丈餘. 遙望見童童如小車蓋.
집 동남쪽 모퉁이 울타리 위에 뽕나무가 자라는데, 높이가 五丈 남짓 되니, 멀리서 바라보면 무성하여 조그만 수레의 지붕인 듯하였다.
或謂當出貴人.
누군가 이르기를, 마땅히 貴人이 나겠다고 하였다.
先主少時 與諸小兒於樹下戱言.
吾必當乘此羽葆蓋車.
선주가 어렸을 때 어린이들과 나무 아래에서 놀다가 농담하였다.
“나는 반드시 이런 깃털 장식이 있는 葆蓋車를 탈 터이다.”
先主垂手下膝 顧自見其耳.
선주는 손을 내리면 무릎에 닿았고 돌아다보면 자기의 귀가 보였다.
好交結 豪俠年少爭附之.
結交(친구를 사귐)를 좋아하여 豪俠하는 젊은이가 다투어 그을 붙좇았다.
靈帝末黃巾起 州郡各擧義兵. 先主率其屬 討賊有功.
靈帝 말년에 黃巾賊이 일어나자, 州郡에서 각각 義兵이 일으켰는데, 선주는 그의 族屬을 거느리고 討賊함에 공이 있었다.
除安喜尉 累遷豫州牧. 從曹公還許.
安喜尉에 제수되었다가 여러 번 옮겨 豫州牧이 되었고, 曹公(曹操)을 따라 許都로 돌아왔다.
曹公從容謂曰
今天下英雄 惟使君與操耳.
本初之徒不足數也.
조공이 조용히 말하였다.
“지금 천하의 英雄은 오직 그대와 나뿐이오.
本初의 무리는 셀 가치도 없소이다.”
先主方食失匕箸.
선주는 식사를 하다가 수저[匕箸]를 놓쳤다.
本初袁紹字.
本初는 袁紹의 字이다.
[註解]
▶蜀志- <蜀志> 권2의 기사임.
▶葆蓋車- 日傘을 덮은 수레.
▶黃巾- 黃巾賊. 後漢末에 일어난 匪賊. 黃巾을 썼으므로 이렇게 불린다. 수령은 張角.
▶曹公- 曹操를 말함.
▶使君- 劉備가 豫州牧이므로 그를 높여서 이른 말.
'蒙求(몽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蒙求(몽구)484-趙禹廉椐(조우렴거) (0) | 2023.03.29 |
---|---|
蒙求(몽구)485-亮遺巾幗(양유건괵) (0) | 2023.03.29 |
蒙求(몽구)487-張翰適意(장한적의) (0) | 2023.03.29 |
蒙求(몽구)488-陶潛歸去(도잠귀거) (0) | 2023.03.29 |
蒙求(몽구)489-魏儲南館(위저남관)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