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21.同從弟南齋翫月憶山陰崔少府(동종제남재완월억산음최소부)-王昌齡(왕창령)

耽古樓主 2023. 8. 23. 11:02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同從弟南齋翫月憶山陰崔少府(동종제남재완월억산음최소부)
王昌齡(왕창령)

高臥南齋時
남재에 편안히 누워 있을 때
開帷月初吐
휘장 걷으니 달 막 떠오른다
淸輝淡水木
맑은 빛은 물가 나무에 담박하고
演漾在窗戶
창 앞에 달빛이 넘실거리네
苒苒幾盈虛
흐르는 세월 속에 몇 번이나 차고 기울었는가
澄澄變今古
저 맑은 빛 속에 고금은 수없이 변하였네
美人淸江畔
미인은 맑은 강가에서
是夜越吟苦
이 밤 괴롭게 고향 생각 하겠지
千里其如何
천리 길은 그 얼마나 먼가
微風吹蘭杜
미풍이 난초와 두약의 향기 불어온다네

 
 

2.通釋

 
내가 南齋에서 편히 누워 있을 때창의 주렴을 걷어 올리니 처음으로 둥글고 밝은 달이 얼굴을 드러낸다.
달빛은 물 위와 숲의 나무를 비추는데물에 비친 달빛은 내 창가에 넘쳐흐른다.
시간은 흘러 흘러 달 또한 몇 번이나 차고 기울었던가.
그 맑은 빛 가운데서 고금의 변화는 얼마나 많았던가.
그대는 맑은 강가에 살고 있으니생각건대 오늘밤 달빛 아래에서 월나라의 노래를 구슬프게 읊조리고 있겠지.
그대와 나 떨어진 거리가 천리나 되니 어떻게 하면 그 얼굴을 다시 볼 수 있으리오만.
바람에 실려 그대의 인품 같은 난초와 두약의 향기가 이곳에까지 불어오는구나.
 
 

3.解題

 
이 시는 달을 보며 친구를 그리워하는 시이다.
王昌齡은 南齋에서 종제와 함께 달을 감상하며 산음에 있는 벗 최소부를 그리워한다.
앞의 여섯 구는 남재에서 달을 완상하는 모습을 묘사하였다달이 찼다가 또 기우는 것을 보고 고금의 변화가 무상함을 느낌과 동시에 인간사 역시 이와 같다는 것을 말해준다.
뒤의 네 구는 산음에 사는 최소부를 그리워하는 작자의 심정을 묘사하였다.
여기서는 자신이 얼마만큼 친구를 그리워하는지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미인은 맑은 강가에서이 밤 괴롭게 고향 생각 하겠지.[美人淸江畔 是夜越吟苦]’라고 표현하여 그리움을 한층 더 배가시켰다.
 
 

4.集評

 
○ 高人對月時 每有盈虛古今之感 淸 沈德潛《唐詩別裁集》 卷1
高士는 달을 마주 대할 때매양 차고 기우는 고금의 감회를 느낀다.
 
 

5.譯註

 

▶ 從弟 : 堂弟이다. 從弟 뒤에 銷字가 있는 본도 있으니, 王昌齡의 從弟인 王銷이다. 生平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 山陰 : 옛날의 懸名으로, 지금의 浙江省 紹興이다.
▶ 王昌齡 : 698~757?. 長安사람으로 字는 少白이다. 진사급제 후, 하남성 氾水縣의 尉가 되었다가 博學宏詞科에 합격, 秘書省 校書郞이 되었다. 안녹산의 난이 일어나자 향리로 돌아갔다가 刺史 閭丘曉에게 미움받아 살해되었다. 邊塞詩와 閨怨詩에 뛰어났으며, 저서로 《詩格》‧《詩中密旨》‧《古樂府解題》 등이 있다.
▶ 淡水木 : ‘滔水土’라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演漾 : 본래는 물결이 요동치는 모습이지만, 이 시에서는 달빛이 물결처럼 넘실대는 모습이다.
▶ 苒苒 : 시간이 점점 흘러가는 것을 가리킨다.
▶ 盈虛 :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이다.
▶ 澄澄 : 맑고 깨끗한 것이다.
▶ 美人 : 山陰의 崔小府를 가리킨다. 小府는 관직명으로 縣尉를 일컫는다.
▶ 越吟 : 월나라의 노래라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하는 것을 이른다. 《史記》 〈張儀列傳〉에, “越人 莊舃(석)이 楚 執圭의 벼슬을 하게 되었는데, 오래지 않아 병이 들었습니다. 초왕은 ‘장석은 본래 월의 미천한 사람이다. 지금은 초나라에서 집규의 벼슬로 부귀하게 되었는데, 여전히 월을 생각할까?’라 하니, 중사가 대답하기를 ‘무릇 사람은 병이 났을 때 고향을 생각하는 법입니다.’라 하였습니다.[越人莊舃 仕楚執珪 有頃而病 楚王曰 舃故越之鄙細人也 今仕楚執珪貴富矣 亦思越不 中謝對曰 凡人之思故在其病也]”라는 구절이 보인다. 여기서는 산음의 최소부를 장석에 비유한 것인데, 산음은 본래 옛 월 땅에 속한 곳이다.
▶ 蘭杜 : 蘭草와 杜若으로 모두 향기 나는 풀이다. 최소부의 인품을 이 향초에 비유하였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