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집주

論語集註 泰伯 第八(논어집주 태백 제팔) 第二十一章

구글서생 2023. 3. 5. 00:35

第二十一章

子曰:
「禹,吾無間然矣。
菲飲食,而致孝乎鬼神;惡衣服,而致美乎黻冕;卑宮室,而盡力乎溝洫。
禹,吾無間然矣。」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禹임금에게는 내 비난할 데가 없다.
평소의 飮食은 간략하게 하시면서도 <祭祀에는> 鬼神에게 孝性를 다하시고, 衣服은 검소하게 하시면서도 黻•冕의 祭服에는 아름다움을 다하시고, 宮室은 낮게 하시면서도 <백성을 위한> 治水사업에는 힘을 다하셨다.
禹임금은 내 비난할 데가 없으시다.”
溝洫물을 빼는 것과 물을 대는 것치수사업

閒,罅隙也,謂指其罅隙而非議之也。
은 틈이니, 그 틈을 지적하여 비난하는 것이다.

菲,薄也。
[간략]한 것이다.

致孝鬼神,謂享祀豐潔。
鬼神에게 孝性을 다한다 함은 先祖에게 제사 지낼 때 풍부하고 깨끗하게 하는 것이다.

衣服,常服。
의복이란 平常服이다.

黻,蔽膝也,以韋為之。
은 무릎을 가리는 것인데, 가죽으로 만든다.

冕,冠也,皆祭服也。
이니, 이 두 가지는 모두 祭服이다.

溝洫,田間水道,以正疆界、備旱潦者也。
구혁(溝洫)田畓 사이의 물길水道이니, 경계를 바르게 하고 가뭄과 장마를 대비한 것이다.


或豐或儉,各適其宜,所以無罅隙之可議也,故再言以深美之。
혹 풍부하게 하기도 하고, 혹 검소하게 하기도 하여, 각각 그 마땅함에 맞게 하였으니, 비난할 만한 틈[]이 없는 까닭이다.
그러므로 두 번 말씀하시어 깊이 贊美하였다.

楊氏曰:
「薄於自奉,而所勤者民之事,所致飾者宗廟朝廷之禮,所謂有天下而不與也,夫何間然之有。」
楊氏가 말하였다.
자기를 받드는 데는 박하게 하면서 부지런히 한 것은 백성의 일이었고, 꾸밈을 지극히 한 것은 宗廟朝廷였으니, 이른바 天下를 소유하고도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어찌 흠잡아 비난할 만한 것이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