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맹자집주 이루장구 하 제30장 본문
公都子曰:
「匡章, 通國皆稱不孝焉.
夫子與之遊, 又從而禮貌之, 敢問何也?」
公都子가 말하였다.
“匡章을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不孝한다 稱합니다.
夫子가 그와 交遊하시고 또 좇아서 禮遇하시니, 감히 묻노니 무엇 때문입니까?”
匡章, 齊人.
匡章은 齊나라 사람이다.
通國, 盡一國之人也.
通國은 온 나라 사람을 다함이다.
禮貌, 敬之也.
禮貌는 그를 공경하는 것이다.
孟子曰:
孟子가 말하였다.
「世俗所謂不孝者五:
惰其四支, 不顧父母之養, 一不孝也;
博弈好飮酒, 不顧父母之養, 二不孝也;
好貨財, 私妻子, 不顧父母之養, 三不孝也;
從耳目之欲, 以爲父母戮, 四不孝也;
好勇鬪很, 以危父母, 五不孝也.
章子有一於是乎?
“世俗에서 이르는바 不孝라는 것이 다섯 가지이다.
자신의 四肢를 게을리하여 父母 봉양을 돌보지 않음이 첫 번째 不孝이다.
바둑 두며 술 마시기를 좋아하여 父母 봉양을 돌보지 않음이 두 번째 不孝이다.
財物을 좋아하며 妻子만을 사랑하여 父母 봉양을 돌보지 않음이 세 번째 不孝이다.
耳目의 욕구만을 좇아서 父母를 욕되게 함이 네 번째 不孝이다.
勇猛을 좋아하고 싸우며 사나워서 父母를 위태롭게 함이 다섯 번째 不孝이다.
章子에게 이 중의 한 가지라도 있는가?
戮, 羞辱也.
戮은 부끄럽고 욕됨이다.
很, 忿戾也.
狠(한)은 분하고 어그러짐이다.
▲狠: 動輒發怒(움직이기만 하면 화를 냄)
夫章子, 子父責善而不相遇也.
저 章子는 아들이 아버지에게 責善(善을 권하다)하다가 뜻이 서로 맞지 못하였다.
遇, 合也.
遇는 合함이다.
相責以善而不相合, 故爲父所逐也.
서로 善을 권하되 뜻이 서로 合하지 못하여 아버지에게 축출을 당하였다.
責善, 朋友之道也; 父子責善, 賊恩之大者.
責善은 朋友의 道이므로, 父子간에 責善함은 恩愛를 해치는 큰 까닭이 된다.
賊, 害也.
賊은 해침이다.
朋友當相責以善. 父子行之, 則害天性之恩也.
朋友는 서로 善을 권해야 하지만, 父子간에 이를 행하면, 天性의 恩愛를 해친다.
夫章子, 豈不欲有夫妻子母之屬哉?
저 章子가 어찌 夫妻와 子母의 家屬을 가지기를 원하지 않겠는가?
爲得罪於父, 不得近.
아버지에게 죄를 얻어 가까이할 수 없었다.
出妻屛子, 終身不養焉.
이 때문에 아내를 내보내고 자식을 물리쳐서 종신토록 봉양을 받지 않았다.
其設心以爲不若是, 是則罪之大者, 是則章子已矣.
그가 마음을 씀에 이렇게 하지 않으면 죄가 크다고 여겼으니, 章子만이 그럴 수 있었다.”
言
이런 말이다
章子非不欲身有夫妻之配·子有子母之屬, 但爲身不得近於父, 故不敢受妻子之養, 以自責罰.
“章子는 자신에게 夫妻의 配匹이 있고, 자식에게 子母의 가속이 있기를 원하지 않은 것은 아니건마는, 다만 자신이 아버지를 가까이할 수 없었기 때문에, 감히 妻子들의 봉양을 받지 못하여, 자신을 꾸짖고 벌하였다.
其心以爲不如此, 則其罪益大也.
그의 마음에 이렇게 하지 않으면 그 罪가 더욱 크다고 여겼다.”
此章之旨, 於衆所惡而必察焉, 可以見聖賢至公至仁之心矣.
이 章의 뜻은 사람들이 미워하는 것을 반드시 살펴야 한다는 것이니, 聖賢의 至公至仁하신 마음을 알 수 있다.
楊氏曰:
「章子之行, 孟子非取之也, 特哀其志而不與之絶耳.」
楊氏가 말하였다.
‘章子의 행실을 孟子가 取한 것이 아니요, 다만 그의 뜻을 애닯게 여겨 그와 더불어 絶交하지 않았을 뿐이다.’
'맹자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집주 이루장구 하 제28장 (1) | 2023.03.20 |
---|---|
맹자집주 이루장구 하 제29장 (0) | 2023.03.20 |
맹자집주 이루장구 하 제31장 (1) | 2023.03.20 |
맹자집주 이루장구 하 제32장 (0) | 2023.03.20 |
맹자집주 이루장구 하 제33장 (1)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