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집주

맹자집주 이루장구 하 제3장

耽古樓主 2023. 3. 21. 02:16

맹자집주 이루장구 하 제3장
孟子集注

 

孟子告齊宣王曰:
「君之視臣如手足則臣視君如腹心;
君之視臣如犬馬則臣視君如國人;
君之視臣如土芥則臣視君如寇讎.」
孟子가 齊宣王에게 말하였다.
“君主가 臣下 보기를 手足처럼 여기면臣下가 君主 보기를 腹心(배와 심장)처럼 하고,
君主가 臣下 보기를 개와 말처럼 여기면臣下가 君主 보기를 國人(路人)처럼 하고,
君主가 臣下 보기를 土芥(흙과 검불)처럼 여기면臣下가 君主 보기를 도둑과 원수처럼 할 터입니다.”

孔氏曰:
宣王之遇臣下, 恩禮衰薄, 至於昔者所進, 今日不知其亡; 則其於群臣, 可謂邈然無敬矣.
故孟子告之以此.
手足腹心, 相待一體, 恩義之至也.
如犬馬則輕賤之, 然猶有豢養之恩焉.
國人, 猶言路人, 言無怨無德也.
土芥, 則踐踏之而已矣, 斬艾之而已矣, 其賤惡之又甚矣.
寇讎之報, 不亦宜乎?
孔氏가 말하였다.
“宣王이 臣下를 대우함에 恩惠와 禮가 衰하고 薄하여, 昔者에 등용한 자가 오늘에 도망한 줄 알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으니, 그가 신하들에 대하여 邈然(막연)히 공경함이 없다고 이를 수 있다.
그러므로 맹자가 이 말로써 고하였다.
手足과 腹心은 서로 대우하기를 一體로 하는 것이니, 恩惠와 義가 지극한 것이다.
如犬馬란 개와 말같이 가볍게 여기고 천하게 여기는 것이지만 그래도 길러주는 은혜는 있다.
國人은 路人이라는 말과 같으니, 원망함도 없고 恩德도 없다는 말이다.
土芥란 짓밟을 뿐이요 벨 뿐이니 천히 여기고 미워함이 더욱 甚하다.
원수로 보답함이 마땅하지 않겠는가?”

王曰:
「禮, 爲舊君有服, 何如斯可爲服矣?」
王이 말하였다.
“예법에 옛 君主를 위하여 服을 입음이 있다고 하니, 어떻게 하면 (군주를 위하여) 服을 입게 하겠습니까?”

儀禮曰:
以道去君而未絶者, 服齊衰三月.
儀禮에 일렀다.
‘忠諫之道로써 군주를 떠났으나 아직 그의 작록을 끊지 않은 자는, 齊衰三月의 복을 입는다.’

王疑孟子之言太甚, 故以此禮爲問.
王은 孟子의 말이 너무 심하다고 의심하여, 그러므로 이 禮法으로써 질문하였다.

曰:
「諫行言聽, 膏澤下於民;
有故而去, 則君使人導之出疆;
又先於其所往, 去三年不反, 然後收其田里.
此之謂三有禮焉.
如此, 則爲之服矣.
孟子가 말하였다.
“諫言이 행해지고 進言이 받아들여져 恩澤이 百姓에게 내려집니다.
그러나 연고가 있어 떠나면 君主는 사람을 시켜 그를 引導하여 국경을 나가게 합니다.
또 그가 가는 곳에 그의 才德을 먼저 알리되, 떠난 지 三年이 되어도 돌아오지 않은 뒤에 그의 田里(토지와 주택)를 회수합니다.
이것을 ‘세 번의 禮遇가 있다.’라고 말합니다.
이와 같게 하면 (그 신하는) 군주를 위하여 服을 입을 터입니다.

導之出疆, 防剽掠也.
導之出疆란 노략질을 막는 것이다.

先於其所往, 稱道其賢, 欲其收用之也.
先於其所往이란 그의 재덕을 칭찬하여, 그를 거두어 쓰기를 바라는 것이다.

三年而後收其田祿里居, 前此猶望其歸也.
三年以後收其田祿里居란 이 기간 이전이라도 그가 돌아오기를 바라는 것이다.

今也爲臣, 諫則不行, 言則不聽;
膏澤不下於民;
有故而去, 則君搏執之, 又極之於其所往;
去之日, 遂收其田里.
오늘날에는 臣下가 되어, 諫하면 시행하지 않으며 진언하면 들어주지 아니합니다.
恩澤이 백성들에게 내려지지 않습니다.
연고가 있어 떠나는데 君主가 그 친족을 拘禁하고, 또 그가 가는 곳에 困窮하게 만듭니다.
떠나는 날에 즉시 그의 田里를 환수합니다.

此之謂寇讎. 寇讎何服之有?」
이것을 원수라 이르는데, 원수에게 무슨 服 입는 것이 있겠습니까?”

, 窮也.
極은 困窮한 것이다.

窮之於其所往之國, 如晉錮欒盈也.
窮之於其所往之國이란 晉나라가 欒盈을 禁錮한 것과 같다.

潘興嗣曰:
孟子告齊王之言, 猶孔子對定公之意也;
而其言有跡, 不若孔子之渾然也.
蓋聖賢之別如此.
潘興嗣가 말하였다.
‘孟子가 齊宣王에게 한 말씀은 孔子가 魯定公에게 대답한 뜻과 같다.
맹자의 말은 자취(英氣之迹)가 있어서 孔子의 渾然함과 같지 않다.
聖賢의 구별이 이와 같다.’

楊氏曰:
君臣以義合者也.
故孟子爲齊王深言報施之道, 使知爲君者不可不以禮遇其臣耳.
若君子之自處, 則豈處其薄乎?
孟子曰
王庶幾改之, 予日望之, 君子之言蓋如此.
楊氏가 말하였다.
“君臣은 義로써 합한 자이다.
그러므로 孟子가 齊王을 위하여 報施의 道를 깊이 말하여, 君主가 된 자는 신하를 禮遇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알게 하였을 뿐이다.
君子의 自處함을 말할 것 같으면 어찌 그렇게 薄하게 처하겠는가?
孟子가 말하기를,
‘王이 고치시기를 나는 날마다 바란다.’라고 하였으니 君子의 말씀이 이와 같다.”
庶幾: 희망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