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집주

맹자집주 이루장구 상 제6장

구글서생 2023. 3. 22. 01:47

孟子集注(맹자집주)) 이루장구 상 제6장
孟子集注

 

孟子曰:
「爲政不難不得罪於巨室.
巨室之所慕一國慕之;
一國之所慕天下慕之;
故沛然德敎溢乎四海.」
孟子가 말하였다.
“政事를 행하기가 어렵지 않으니巨室(大臣의 집안)에게 罪를 짓지 말아야 한다.
巨室의 사모하는 바를 一國의 사람이 사모하고,
一國의 사람이 사모하는 바를 天下 사람이 사모하나니그러므로 沛然한 德敎가 四海에 넘치게 된다.”

巨室, 世臣大家也.
巨室은 世臣과 大家이다.

得罪, 謂身不正而取怨怒也.
得罪는 임금 자신이 바르지 못하여 (世臣과 大家에게) 원망과 노여움을 취함을 말한다.

麥丘邑人祝齊桓公曰:
願主君無得罪於群臣百姓.
意蓋如此.
麥丘邑 사람이 齊桓公에게 축원하기를, ‘주군은 군신과 백성들에게 罪를 짓지 마소서.’라고 하였으니,
뜻이 대개 이와 같다.

, 向也, 心悅誠服之謂也.
慕는 向함이니, 마음으로 기뻐하고 진실로 복종함을 이른다.

沛然, 盛大流行之貌.
沛然은 성대히 유행하는 (거침없이 쏟아짐) 모양이다.

, 充滿也.
溢은 充滿이다.

蓋巨室之心, 難以力服, 而國人素所取信;
今旣悅服, 則國人皆服, 而吾德敎之所施, 可以無遠而不至矣.
巨室의 마음은 힘으로 복종시키기 어렵고, 국민들이 평소 신임을 취하는 바이니,
이제 기뻐하고 복종하였다면, 국민들이 모두 복종하여 나(군주)의 德敎를 베푸는 바가, 먼곳까지 이르지 않음이 없게 된다.

此亦承上章而言, 蓋君子不患人心之不服, 而患吾身之不修;
吾身旣修, 則人心之難服者先服, 而無一人之不服矣.
이 또한 上章을 이어 말씀한 것으로, 君子는 人心이 복종하지 않음을 걱정하지 않고 나의 修身하지 못함을 걱정하나니,
내가 修身하였다면 복종시키기 어려운 인심이 먼저 복종하여, 한 사람의 불복함도 없으리라.

林氏曰:
戰國之世, 諸侯失德, 巨室擅權, 爲患甚矣.
然或者不修其本而遽欲勝之, 則未必能勝而適以取禍.
故孟子推本而言, 惟務修德以服其心.
彼旣悅服, 則吾之德敎無所留礙, 可以及乎天下矣.
裴度所謂韓弘輿疾討賊, 承宗斂手削地, 非朝廷之力能制其死命, 特以處置得宜, 能服其心故爾, 正此類也.

林氏가 말하였다.
‘戰國시대에 諸侯가 덕을 잃고 巨室이 權力을 멋대로 행사하니 患難이 심하였다.
그런데도 혹자는 그 根本을 닦지 않고 갑자기 복종시키려 하여, 반드시 복종시키지 못하고 다만 화를 취할 뿐이었다.
그러므로 孟子가 근본을 미루어 말하기를, [오직 덕을 닦아서 백성의 마음을 服從시키기를 힘써야 한다.
저들이 悅服하면 나의 德敎가 멈추고 막히는 바가 없어 천하에 미칠 수 있다.]라고 하시었다.’
裵度가 [韓洪이 病을 무릅쓰고 逆臣을 討伐하고 王承宗이 손을 거두고 땅을 떼어가게 한 것은, 조정의 힘이 死命을 쥐고 있어서가 아니라, 다만 조정의 處置가 마땅함을 얻어 그들의 마음을 服從시켰기 때문일 뿐이다.]라고 이른 것은 바로 이러한 종류이다.
:다만
戰國策·秦策二》:「疑臣者不適三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