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집주

맹자집주 양혜왕장구 상 제6장

耽古樓主 2023. 3. 24. 03:29

孟子集注(맹자집주))
孟子集注

不嗜殺人章이라 한다

孟子見梁襄王.
孟子가 梁襄王을 만나보았다.

襄王, 惠王子, 名赫.
襄王은 惠王의 아들이니 이름은 赫이다.

出, 語人曰:
「望之不似人君, 就之而不見所畏焉.
나와서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멀리서 바라보아도 人君같지 않고, 그 앞으로 나아가도 두려운 바를 볼 수 없었다.

卒然問曰: 『天下惡乎定? 』
갑자기 물었다.
‘天下가 어디서 安定되겠습니까?’

吾對曰: 『定于一. 』
내가 대답하였다.
‘한 곳에 정해질 것입니다.’

, 告也.
語는 말함이다.

不似人君, 不見所畏, 言其無威儀也.
不似人君不見所畏이란 그에게 威儀가 없음을 말한 것이다.
威儀: 威嚴(辭氣)儀表(용모)

卒然, 急遽之貌.
卒然은 急한 모양이다.

蓋容貌辭氣, 乃德之符. 其外如此, 則其中之所存者可知.
대개 容貌와 辭氣는 곧 德의 信標이니, 그 外貌가 이와 같다면 그 가슴속에 보존한 바를 알 수 있다.

王問列國分爭, 天下當何所定.
王이 물었다.
‘列國이 나누어져 다투고 있으니 天下가 마땅히 어느 곳에서 안정되겠습니까?’

孟子對以必合於一, 然後定也.
孟子가 대답하기를 필시 한 곳에 合해진 뒤에 안정될 것이라고 하였다.

『孰能一之? 』
‘누가 능히 통일할 수 있습니까?’

王問也.
왕이 물었다.

對曰:
『不嗜殺人者能一之. 』
대답하였다.
‘사람 죽이기를 달갑게 여기지 않는 자가 통일할 수 있습니다.’

, 甘也
嗜(기)는 달갑게 여김이라.
: 달갑게 여기다

『孰能與之? 』
‘누가 능히 그에게 歸附하겠습니까?’

王復問也.
王이 다시 물었다.

, 猶歸也.
與는 歸와 같다.

對曰: 『天下莫不與也. 王知夫苗乎?
七八月之間旱, 則苗槁矣.
天油然作雲, 沛然下雨, 則苗浡然興之矣.
其如是, 孰能禦之?
今夫天下之人牧, 未有不嗜殺人者也, 如有不嗜殺人者, 則天下之民皆引領而望之矣.
誠如是也, 民歸之, 由水之就下, 沛然誰能禦之? 』
대답하기를
‘天下에 귀부하지 않는 이가 없을 것이니, 王은 저 벼 싹을 아십니까?
七八月에 날씨가 가물면 벼 싹이 시듭니다.
날씨가 뭉게뭉게 구름을 일으켜 거침없이 비를 내리면 벼 싹이 생기있게 일어납니다.
이와 같으면 누가 이것을 막을 수 있겠습니까?
지금 天下의 人牧이 사람 죽이기를 달게 여기지 않는 자가 없으니, 만일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지 않는 자가 있다면, 天下 百姓들이 모두 목을 빼고 바라볼 것입니다.
진실로 이와 같다면 百姓들이 그에게 귀부함이 물이 아래로 내려가는 것과 같으리니 沛然함을 누가 능히 막을 수 있겠습니까?’ 하였노라.”
: =(마치 ~와 같다)

周七八月, 夏五六月也.
周나라 七八月은 夏나라 五六月이다.
한나라 때에 다시 夏曆(동짓달(子月)을 정월로 함)으로 돌아갔다.

油然, 雲盛貌.
油然은 구름이 盛한 모양이다.

沛然, 雨盛貌.
沛然은 비가 盛한 모양이다.

浡然, 興起貌.
浡然은 興起하는 모양이다.
():일어나다

, 禁止也.
禦는 禁止(막는 것)하는 것이다.

人牧, 謂牧民之君也.
人牧은 백성을 기르는 君主를 말한다.

, 頸也.
領은 목이다.

蓋好生惡死, 人心所同.
대개 삶을 좋아하고 죽음을 싫어함은 人心이 같은 바이다.

故人君不嗜殺人, 則天下悅而歸之.
그러므로 人君이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天下가 기뻐하여 그에게 귀부한다.

蘇氏曰:
孟子之言, 非苟爲大而已.
然不深原其意而詳究其實, 未有不以爲迂者矣.
予觀孟子以來, 自漢高祖及光武及唐太宗及我太祖皇帝, 能一天下者四君, 皆以不嗜殺人致之.
其餘殺人愈多而天下愈亂.
秦晉及隋, 力能合之, 而好殺不已, 故或合而復分, 或遂以亡國.
孟子之言, 豈偶然而已哉?
蘇氏(소동파)가 말하였다.
‘孟子의 말씀이 구차히 큰소리칠 뿐은 아니다.
그러나 그의 뜻을 깊이 근원을 찾고 그 실제를 상세히 窮究하지 않으면, 迂闊하다고 여기지 않을 자가 있지 않을 터이다.
내가 觀察하건대 孟子이래로 漢高祖로부터 光武와 唐太宗과 우리 太祖皇帝에 미치기까지, 能히 天下를 統一한 네 君主가 모두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지 않음으로써 통일을 이루었다.
그 나머지는 사람 죽이기를 더욱 많이 함에 天下가 더욱 혼란하였다.
秦나라와 晉나라 및 隋나라는 힘으로는 능히 통합하였으나, 죽이기를 좋아하기를 그치지 않았으므로 或은 합하였다가 다시 나누어지고, 或은 마침내 그 때문에 나라를 망쳤다.
孟子의 말이 어찌 偶然일 뿐이겠는가?
: 탐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