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說苑序文(설원서문)- 曾鞏(증공) 본문
劉向所序《說苑》二十篇,《崇文總目》云:「今存者五篇,餘皆亡。」
劉向이 서술한 《說苑》 20편을 《崇文總目》에는 “지금 남아 있는 것은 5편이고 나머지는 모두 없어졌다.”라고 하였다.
臣從士大夫間得之者十有五篇,與舊為二十篇.
내가 士大夫들 사이에서 찾은 것이 15편이고, 舊本과 합하여 20편이 된다.
正其脫謬,疑者闕之,而敘其篇曰:
그중 빠지고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으면서 의심스러운 것은 빼어놓고 그 편목에 서문을 쓴다.
向采傳記、百家所載行事之迹,以為此書 , 奏之欲以為法戒。
유향이 傳記와 諸子百家書에 기재된 行事의 자취를 채집하여 이 책을 만들어 天子에게 올렸으니, 이는 典範과 鑑戒로 삼으려고 해서이다.
然其所取,或有不當於理,故不得而不論也。
그러나 그가 모음에 간혹 事理에 합당하지 않은 것이 있으매, 옳고 그름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夫學者之於道,非知其大略之難也,知其精微之際固難矣。
배우는 사람이 道에 있어서 그 槪略을 앎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그 精深하고 微妙한 부분을 앎이 참으로 어렵다.
孔子之徒三千,其顯者七十二人,皆高世之材也.
孔子의 門徒 3천 명 중에 드러난 사람이 72명인데 모두 세상에서 뛰어난 재주가 있는 이들이다.
然獨稱顏氏之子,其殆庶幾乎?及回死,又以為無好學者。
그러나 “顔氏의 아들은 아마 道에 가까울 것이다.”라 하여 顔回만을 칭찬하였고, 안회가 죽음에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이 없다.”라고 하셨다.
而回亦稱夫子曰:
「仰之彌高,鑽之彌堅。」
子貢又以謂:
「夫子之言性與天道,不可得而聞也。」
그리고 안회도 夫子를 칭송하여
“우러러볼수록 더욱 높고 뚫을수록 더욱 견고하다.”라고 하였고,
子貢도
“부자께서 性과 天道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은 들을 수가 없다.”라고 하였다.
則其精微之際,固難知久矣。
그러니 그 정심하고 미묘한 부분은 참으로 알기 어렵게 된 지가 오래되었다.
是以取舍不能無失於其間也,故曰
「學然後知不足」,
豈虛言哉!
이러므로 취사선택하는 사이에 실수가 없을 수 없고, 그 때문에
“배운 뒤에야 부족함을 안다.”라고 하였으니,
이 말이 어찌 빈말이겠는가!
向之學博矣,其著書及建言,尤欲有為於世,至其枉己而為之者有矣,何其徇物者多而自為者少也。
劉向은 학문이 넓고 그가 저술한 책과 건의한 말은 더더욱 세상을 위해 좋은 일을 하려고 한 것이었으나, 자신은 바르지 않으면서 남을 바르게 하려 하였으니, 어찌 그가 남의 의견을 따른 것은 많으면서 자신을 말함은 적은가?
蓋古之聖賢非不欲有為也,然而曰
求之有道,得之有命。
옛 聖賢이 세상을 위해 좋은 일을 하려고 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으나,
‘구함에 道가 있고 얻음에 命이 있다.’라고 하였다.
故孔子所至之邦,必聞其政,而子貢以謂非夫子之求之也,豈不求之有道哉!
그 때문에 孔子는 찾아간 나라에서 반드시 그 나라의 政事를 들었는데, 이를 子貢은 “夫子께서 요구하여 들은 것이 아니다.”라 하였으니, 어찌 구함에 도가 있음이 아닌가!
子曰:
「道之將行也歟,命也。道之將廢也歟,命也。」,
豈不得之有命哉!
공자께서
“道가 장차 행해지는 것도 命이며, 道가 장차 폐기되는 것도 命이다.”라고 하셨으니,
어찌 얻음에 命이 있음이 아닌가!
令向知出此,安於行止,以彼其志,能擇其所學,以盡乎精微,則其所至未可量也。
가령 유향이 이 도리를 따라 나갈 줄을 알아, 행동함에 天命이라 편안히 여기면서 저와 같은 좋은 뜻으로 배운 바를 잘 선택하고 정심하고 미묘한 도리를 다 알았더라면 그가 이른 경지를 헤아릴 수 없을 터이다.
是以夫子稱古之學者為己,孟子稱君子欲其自得之,自得之則取諸,左右逢其原. 豈汲汲於外哉!
이 때문에 孔子는
“옛날의 배우는 사람들은 자기를 修養하는 공부를 하였다.”라고 하셨고,
孟子는
“君子가 스스로 깨달아 얻고자 해서이니, 스스로 깨달아 얻었다면 가까운 좌우에서 취할 적에 그 근원을 만난다.”라고 하셨다.
그런데 어찌 자신이 아닌 外物을 추구함에 급급하였는가!
向之得失如此,亦學者之戒也。
유향의 잘못이 이와 같으니 이것만은 배우는 사람이 경계해야 할 점이다.
故見之敘論,令讀其書者,知考而擇之也。
그 때문에 敍論에서 이 점을 드러내어 이 책을 읽는 사람이 잘 고찰하여 선택할 줄 알게 하였다.
然向數困於讒而不改其操,與夫患失之者異矣,可謂有志者也。
그렇지만 유향이 여러 차례 참소를 당하는 곤경을 겪었으나 그 지조를 바꾸지 않았으니, 이는 〈얻은 부귀를〉 잃을까 근심하는 사람들과는 다르니, 훌륭한 지조가 있는 사람이라고 이를 만하다.
編校書籍臣曾鞏上
史館에서 서적을 編校하는 臣 曾鞏은 올립니다.
▶ 崇文總目 : 北宋 때 편수한 서적 목록. 仁宗이 翰林學士 張觀‧李淑‧宋祁 등에게 명하여 三館(昭文‧史館‧集賢)과 秘閣에 소장된 서적을 정리하여 펴낸 서목이다. 經籍 3,445部, 30,669卷의 목록을 집대성한 것으로, 北宋時代 最大의 目錄書이다.
▶ 顔氏之子 其殆庶幾乎 : 孔子의 말로, 《周易》 〈繫辭下傳〉의 5章에 보이는데 이 아래에 “선하지 못한 점이 있으면 알지 못한 적이 없고, 알면 다시는 하지 않았다.[有不善 未嘗不知 知之 未嘗復行也]”라는 말이 더 있다.
▶ 無好學者 : 魯 哀公이 “제자 중에 누가 학문을 좋아합니까?”라고 묻자, 孔子가 “顔回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지금은 죽어서 학문을 좋아하는 이가 없습니다.”라고 답한 말이다. 《論語 雍也》
▶ 仰之彌高 鑽之彌堅 : 子貢이 孔子의 학문의 위대함을 표현한 말로, 《論語》 〈子罕〉에 보인다.
▶ 夫子之言性與天道 不可得而聞也 : 《論語》 〈公冶長〉에 보인다.
▶ 學然後知不足 : 《禮記》 〈學記〉에 “지극한 도가 있더라도 배우지 않으면 그것이 좋음을 알지 못한다. 이 때문에 배운 뒤에야 부족함을 알고 가르친 뒤에야 모자람을 안다.[雖有至道 弗學不知其善也 是故學然後知不足 敎然後知困]”라고 보인다.
▶ 求之有道 得之有命 : 孟子가 “〈세상의 부귀를〉 구하는 데에는 따라야 할 길이 있고, 이를 얻음에 天命이 있으니, 이는 자기 밖의 것을 구하기 때문이다.”라고 한 말이다. 《孟子 盡心 上》
▶ 孔子所至之邦……夫子之求之也 : 孔子의 제자 子禽이 子貢에게 공자가 그 나라의 국정을 듣는 것은 먼저 듣겠다고 요구한 것인지, 아니면 상대가 스스로 공자께 보고한 것인지를 묻자, 자공은 “夫子께서 구하시는 것은 아마 다른 사람이 구하는 것과 다를 것이다.”라고 대답하여, 각국의 제후들이 공자의 덕을 존경하여 자발적으로 말한 것이라고 한 부분을 말한다. 《論語 學而》
▶ 道之將行也歟……命也 : 《論語》 〈憲問〉에 보인다.
▶ 古之學者 爲己 : 《論語》 〈憲問〉에 보인다.
▶ 孟子……逢其原 : 《孟子》 〈離婁 下〉에 보인다.
▶ 患失之者 : 《論語》 〈陽貨〉에 “鄙陋한 사람은……벼슬을 얻지 못했을 때는 얻지 못할까 근심하고, 얻고 나서는 잃을까 근심한다.[鄙夫……其未得之也 患得之 旣得之 患失之]”라 하였다.
'漢詩와 漢文 > 說苑'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說苑(설원) 제20권 反質(반질) (1) | 2023.12.24 |
---|---|
說苑(설원) 제19권 修文(수문) (1) | 2023.12.24 |
說苑(설원) 제18권 辨物(변물) (1) | 2023.12.22 |
說苑(설원) 제17권 雜言(잡언) (1) | 2023.12.20 |
說苑(설원) 제16권 談叢(담총) (1)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