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蒙求(몽구)33-墨子悲絲(묵자비사) 본문

蒙求(몽구)

蒙求(몽구)33-墨子悲絲(묵자비사)

구글서생 2023. 4. 16. 15:53

蒙求(몽구) 墨子悲絲(묵자비사)

by 耽古書生

墨子悲絲- 墨子는 練絲를 보고 슬퍼하였다

 

淮南子曰 楊子見逵路而哭之.
<淮南子>에 말하였다.
“楊子는 갈림길을 보면 슬퍼하였다”

爲其可以南可以北.
갈림길은 남으로도 가고 북으로도 갈 수 있기 때문이다.

墨子見練絲而泣之.
(또 말하였다.)
“묵자는 표백한 실을 보면 슬퍼하였다.”

爲其可以黃可以黑.
누렇게도 할 수 있고 검게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高誘曰
憫其本同而末異.
高誘가 말하였다.
“그 근본은 같으나 결과가 다름을 근심한 것이다.”

 

[註解]

▶淮南子- 책 이름. 前漢 때 회남왕 劉安이 학자들을 모아 함께 지었다는 책. 여러 학설이 들어있는데 老莊의 색채가 가장 두드러진다. 〈說林訓篇〉에 이 내용이 들어있다.

楊子- 이름은 朱. 전국시대의 개인주의자.

高誘- 後漢 때 사람. 《회남자》 주석서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