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秋浦歌-李白 본문
秋浦歌-李白
원문 및 풀이
白髮三千丈(백발삼천장),
離愁似箇長(이수사개장)。
不知明鏡裏(부지명경리),
何處得秋霜(하처득추상)。
흰 머리칼이 삼천장
근심으로 올올이 길어졌구나.
거울 속의 늙은이 알 수 없어라
어디에서 가을 서리 얻어왔는고.
○ 白髪三千丈(백발삼천장) : 근심이 이어져 끊임이 없음을 비유한 말. 흰 머리털이 길다는 과장적인 표현으로 고독감에 수심에 쌓인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1丈은 3.11미터이다.
○ 離愁(이수) : 근심에서, 근심으로부터. ‘離’가 ‘緣’으로 되어있는 본도 있다.
○ 明鏡裏(명경리) : 거울 속
○ 秋霜(추상) : 가을 서리, 백발에 대한 표현
출처
全唐詩·卷167 李白 1.秋浦歌十七首
이 시는 <全唐詩> 卷167에 秋浦歌十七首의 제15 수로 실려있다.
감상
추포는 安徽省 宜城에 있으며 이백의 말년에 방랑 끝에 도착한 곳이다. 당현종 때 장안에서 활약하였던 이백이 정치적 회오리에 휘말려 귀양을 가게 되었으나 다행히 사면을 받고 추포에서 지낼 때 지은 시이다.
백발이 삼천장이나 길게 느껴지도록 자라났으니 수심도 그만큼 깊고 깊다. 거울 속 모습이 내 모습인가 알 수 없구나. 어디에서 가을 서리를 맞은 것처럼 이리도 늙었는가 하며 가는 세월을 한탄하는 모습이다.
17수 전부 보기
<全唐詩·卷167 李白 1.秋浦歌十七首>
一
秋浦長似秋,蕭條使人愁。
客愁不可度,行上東大樓。
正西望長安,下見江水流。
寄言向江水,汝意憶儂不。
遙傳一掬淚,爲我達揚州。
二
秋浦猨夜愁,黃山堪白頭。
清溪非隴水,翻作斷腸流。
欲去不得去,薄遊成久遊。
何年是歸日,雨淚下孤舟。
三
秋浦錦駝鳥,人間天上稀。
山雞羞淥水,不敢照毛衣。
四
兩鬢入秋浦,一朝颯已衰。
猨聲催白髮,長短盡成絲。
五
秋浦多白猨,超騰若飛雪。
牽引條上兒,飲弄水中月。
六
愁作秋浦客,強看秋浦花。
山川如剡縣,風日似長沙。
七
醉上山公馬,寒歌甯戚牛。
空吟白石爛,淚滿黑貂裘。
八
秋浦千重嶺,水車嶺最奇。
天傾欲墮石,水拂寄生枝。
九
江祖一片石,青天掃畫屏。
題詩留萬古,綠字錦苔生。
十
千千石楠樹,萬萬女貞林。
山山白鷺滿,澗澗白猨吟。
君莫向秋浦,猨聲碎客心。
十一
邏人橫鳥道,江祖出魚梁。
水急客舟疾,山花拂面香。
十二
水如一匹練,此地即平天。
耐可乘明月,看花上酒船。
十三
淥水淨素月,月明白鷺飛。
郎聽採菱女,一道夜歌歸。
十四
爐火照天地,紅星亂紫煙。
𧹞郎明月夜,歌曲動寒川。
十五
白髮三千丈,離愁似箇長。
不知明鏡裡,何處惹秋霜。
十六
秋浦田舍翁,採魚水中宿。
妻子張白鷴,結罝暎深竹。
十七
桃波一步地,了了語聲聞。
闇與山僧別,低頭禮白雲。
'漢詩와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自遣-李白 (0) | 2025.02.03 |
---|---|
山庄夜雨- 高兆基 (0) | 2025.02.03 |
對酒(蝸角之爭)-白樂天 (0) | 2025.02.03 |
老驥伏櫪 志在千里 (0) | 2025.01.21 |
唐詩 (初唐ㆍ盛唐) (0)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