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4장 본문

맹자집주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4장

구글서생 2023. 3. 14. 00:30
반응형

孟子曰:
「說大人則藐之勿視其巍巍然.
孟子가 말하였다.
“大人에게 유세할 때에는 가볍게 여겨서 그 높음을 보지 말아야 한다.

趙氏曰:
大人, 當時尊貴者也.
, 輕之也.
巍巍, 富貴高顯之貌.
藐焉而不畏之, 則志意舒展, 言語得盡也.
趙氏가 말하였다.
‘大人은 當時의 尊貴한 자이다.
藐(묘)는 가벼이 여김이다.
巍巍는 富貴하고 高顯(높고 드러남)한 모양이다.
하찮게 여기고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뜻이 펴져서, 말을 다할 수 있다.’

堂高數仞, 榱題數尺, 我得志弗爲也;
食前方丈, 侍妾數百人, 我得志弗爲也;
般樂飮酒, 驅騁田獵, 後車千乘, 我得志弗爲也.
在彼者, 皆我所不爲也;

在我者, 皆古之制也, 吾何畏彼哉?」
堂의 높이가 몇 길이 되며 서까래 머리가 몇 자 되는 것을, 나는 뜻을 얻더라도 하지 않으며,

밥상 앞에 음식이 한 길로 진열됨과 시첩이 수백 명인 것을, 나는 뜻을 얻더라도 하지 않으며,
즐기고 술을 마시며 말을 달리고 사냥하며 뒤에 따르는 수레가 천 승인 것을, 나는 뜻을 얻더라도 하지 않을 터이다.
저에게 있는 것은 모두 내가 하지 않는 바요,
나에게 있는 것은 모두 옛 法度이니, 내 어찌 저들을 두려워하겠는가?”

, 桷也.

최(榱)는 서까래이다.

, 頭也.

제(題)는 머리이다.

食前方丈, 饌食列於前者, 方一丈也.

食前方丈은 음식이 앞에 진열된 것이 한 길인 것이다.

此皆其所謂巍巍然者, 我雖得志, 有所不爲, 而所守者皆古聖賢之法, 則彼之巍巍者, 何足道哉!

이것은 다 이른바 巍巍(외외)하다는 것이니, 내가 비록 뜻을 얻더라도 이를 행하지 않는 것이요, 내가 지키고 있는 것은 다 옛 聖賢의 법이다.
그렇다면 저들이 巍巍한 것을 어찌 족히 말할 것이 있겠는가?

楊氏曰:
孟子此章, 以己之長, 方人之短, 猶有此等氣象, 在孔子則無此矣.
楊氏가 말하였다.
‘孟子의 이 章은 자기의 長點으로 남의 短點을 비교한 것이니, 孟子에게 아직도 이러한 氣象이 있었다. 孔子에 있어서는 이러한 것이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