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6장 본문
반응형
曾晳嗜羊棗, 而曾子不忍食羊棗.
曾晳이 羊棗를 좋아하더니, 曾子가 차마 羊棗를 먹지 못하였다.
羊棗, 實小黑而圓, 又謂之羊矢棗.
羊棗는 열매가 작고 색이 검으며 둥그니, 또 羊矢棗(고욤)라고도 이른다.
曾子以父嗜之, 父歿之後, 食必思親, 故不忍食也.
曾子는 아버지가 양조를 좋아하셨기 때문에, 아버지가 별세한 뒤에 먹을 때마다 필시 어버이가 생각났으므로 차마 먹지 못하였다.
公孫丑問曰:
「膾炙與羊棗孰美?」
公孫丑가 물었다.
“膾炙와 羊棗는 어느 것이 더 맛있습니까?”
孟子曰:
「膾炙哉!」
孟子가 말하였다.
“膾炙이지.”
公孫丑曰:
「然則曾子何爲食膾炙而不食羊棗?」
공손추가 말하였다.
“그렇다면 曾子는 어찌하여 膾炙는 잡수시면서 羊棗는 잡수시지 않았습니까?”
曰:
「膾炙所同也, 羊棗所獨也.
諱名不諱姓, 姓所同也, 名所獨也.」
孟子가 말하였다.
“회자는 다들 좋아하는 것이요, 羊棗는 유독 좋아하는 것이다.
이름은 諱하고 姓은 諱하지 않으니 姓은 공통되고 이름은 독특하기 때문이다.”
肉聶而切之爲膾.
고기를 저며 썬 것을 膾라고 한다.
炙, 炙肉也.
자(炙)는 구운 고기이다.
반응형
'맹자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3장 (0) | 2023.03.14 |
---|---|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4장 (0) | 2023.03.14 |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5장 (0) | 2023.03.14 |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7장 (0) | 2023.03.14 |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8장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