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1장 본문
孟子曰:
「人皆有所不忍, 達之於其所忍, 仁也;
人皆有所不爲, 達之於其所爲, 義也.
孟子가 말하였다.
“사람에게 모두 차마 못하는 마음이 있으니, 그 차마 하는 바에 도달한다면 仁이요,
사람에게 모두 하지 않는 바가 있으니, 하는 바에 도달한다면 義이다.
惻隱羞惡之心, 人皆有之, 故莫不有所不忍不爲, 此仁義之端也.
惻隱之心과 羞惡之心을 사람마다 다 가지고 있으므로, 차마 못 하는 바와 하지 않는 바를 가지고 있지 않음이 없으니, 이것이 仁과 義의 단서이다.
然以氣質之偏·物欲之蔽, 則於他事或有不能者.
그러나 氣質이 편벽되고 物慾에 가려져서 곧 다른 일엔 혹 능히 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
但推所能, 達之於所不能, 則無非仁義矣.
그러나 능한 바를 미루어서 능하지 못한 바에까지 도달한다면, 仁과 義가 아님이 없다.
人能充無欲害人之心, 而仁不可勝用也;
人能充無穿踰之心, 而義不可勝用也.
사람이 남을 해치려고 하지 않는 마음을 가득 채울 수 있다면, 仁을 이루 다 쓰지 못할 터이고,
사람이 담을 뚫거나 넘어가서 도둑질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가득 채울 수 있다면, 義를 이루 다 쓰지 못할 터이다.
充, 滿也.
充은 가득 채움이다.
穿, 穿穴; 踰, 踰牆, 皆爲盜之事也.
穿은 구멍을 뚫는 것이요, 踰는 담을 넘는 것이니, 모두 도둑질하는 일이다.
能推所不忍, 以達於所忍, 則能滿其無欲害人之心, 而無不仁矣;
能推其所不爲, 以達於所爲, 則能滿其無穿踰之心, 而無不義矣.
차마 못하는 바를 미루어서 차마 하는 바에까지 도달한다면, 능히 남을 해치고자 하지 않는 마음을 가득 채워서, 仁하지 않음이 없을 터이고,
능히 행하지 않는 바를 미루어서 하는 바에까지 도달한다면, 담을 뚫고 넘어가서 도둑질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가득 채워서, 義롭지 않음이 없으리라.
人能充無受爾汝之實, 無所往而不爲義也.
사람이 爾汝의 칭호를 받지 않으려는 행실을 가득 채운다면, 가는 곳마다 義를 행하지 않음이 없을 터이다.
此申說上文充無穿踰之心之意也.
이것은 上文에 담을 뚫고 넘어가지 않으려는 마음을 채운다는 뜻을 거듭 말한 것이다.
蓋爾汝人所輕賤之稱.
爾汝는 사람들이 경시하고 천시하는 칭호이다.
人雖或有所貪昧隱忍而甘受之者, 然其中心必有慚忿而不肯受之之實.
사람이 비록 혹 貪하고 어두워 속으로 참으면서 이것을 달게 받는 자가 있으나, 그의 마음에 반드시 부끄럽고 분하게 여겨서 즐겨 받지 않으려는 행실이 있다.
人能卽此而推之, 使其充滿無所虧缺, 則無適而非義矣.
사람이 이것을 가지고 미루어서, 充滿하여 이지러진 바가 없게 한다면, 가는 곳마다 義가 아님이 없다.
士未可以言而言, 是以言餂之也;
可以言而不言, 是以不言餂之也, 是皆穿踰之類也.」
선비가 말해서 안 될 때 말한다면, 이는 말로써 물건을 핥아먹는 것이요,
말을 해야 할 때 말하지 않는다면, 이는 말하지 않음으로써 물건을 핥아먹는 것이니, 이것은 모두 담을 뚫고 담을 넘어가는 따위이다.”
餂, 探取之也.
첨(餂)은 더듬어 취함이다.
今人以舌取物曰餂, 卽此意也.
지금 사람들이 혓바닥으로 물건을 취하는 것을 첨(餂)이라 하니, 바로 이러한 뜻이다.
便佞隱黙, 皆有意探取於人, 是亦穿踰之類.
아첨하는 말을 잘함과 침묵을 지킴은 다 남에게서 물건을 探取하려는 데 뜻이 있는 것이니, 이 또한 穿踰의 부류이다.
然其事隱微, 人所易忽, 故特擧以見例.
그러나 그 일이 隱微하여 사람들이 경홀히 여기고 쉽게 여기므로 특별히 事例를 거론하였다.
明必推無穿踰之心, 以達於此而悉去之, 然後爲能充其無穿踰之心也.
반드시 穿踰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미루어, 여기에까지 도달시켜 모두 제거한 뒤에야, 穿踰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채울 수 있다고 밝혀 주었다.
'맹자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29장 (0) | 2023.03.14 |
---|---|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0장 (0) | 2023.03.14 |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2장 (0) | 2023.03.14 |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3장 (0) | 2023.03.14 |
맹자집주 진심장구 하 제34장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