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友人會宿(우인회숙) - 李白(이백) 본문
반응형
滌蕩千古愁 留連百壺飮(척탕천고수 유련백호음)
良宵宜且談 晧月未能寢(양소의차담 호월미능침)
醉來臥空山 天地則衾枕(취래와공산 천지즉금침)
천고의 시름을 말끔히 씻고자, 미련이 남아 백병의 술을 마시도다.
좋은 밤이어서 정담을 나누기에 더 없이 좋고, 달이 너무 밝아서 아직도 잠들지 못한다네.
취하여 텅 빈 산에 누워 보니, 하늘은 이불이요 땅은 베개로다.
이 시는 《李太白集》23권에 실려 있다. 벗이 방문해 오자 함께 술을 마시며 취중에 지은 것으로, 특히 끝의 두 구는 유영(劉伶)의 〈酒德頌(주덕송)〉에 나오는 ‘막천석지(幕天席地)’라는 구에 근본한 것으로 이백의 활달한 기상을 엿볼 수 있다. 좋은 벗과 우연히 만나서 술을 마시며 시름을 잊고 달 아래에서 고담준론(高談峻論)을 하여 잠들지 못한다는 것이다.
------------------------------
역주1> 滌蕩千古愁(척탕천고수) 留連百壺飮(유련백호음) : 이 내용은 도치형(倒置型)으로 보아 백 병의 술을 연달아 마시면서 천고의 시름을 씻는 것으로 보는 것이 온당할 듯하다. 滌蕩(척탕) : 말끔히 없앰
역주2> 天地即衾枕(천지즉금침) : 곧 유영(劉伶:유백륜)의 ‘하늘을 천막으로 삼고 땅을 자리로 삼는다.’는 뜻이니, 흉금의 회포가 광활하고 통달한 자가 아니면 이렇게 표현할 수 없다.
역주3> 良宵(양소) : 良夜(양야), 좋은 밤
良宵宜且談(양소의차담) : 良宵宜清談(양소의청담)으로 되어있는 본도 있다.
반응형
'漢詩와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子夜吳歌(자야오가) - 李白(이백) (0) | 2023.04.11 |
---|---|
月下獨酌(월하독작) - 李白(이백) (0) | 2023.04.11 |
靜夜思(정야사) - 李白(이백) (0) | 2023.04.09 |
自遣(자견) - 李白(이백) (0) | 2023.04.09 |
山中與幽人對酌(산중여유인대작) - 李白(이백) (0) | 202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