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記/本紀

본기5. 秦本紀1(진본기1)

耽古樓主 2023. 1. 11. 22:31

秦本紀는 중국의 서쪽 일개 부락에서 발전하여 周나라 때 제후국의 하나였다가,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秦라의 역사를 기록한 것이다.

 

秦나라의 선조는 顓頊의 후대 손녀인 女修이며, 후손인 柏翳가 舜임금으로부터 嬴氏 성을 하사받았다. 또한 造父가 주 목왕의 총애를 받아 趙城을 봉읍받아 조씨 성을 가지게 되었다.

 

춘추시대에는 목공이 동쪽으로 진출하여 五覇의 하나가 되었으며, 전국시대에는 효공이 부국강병책을 실시하였고, 동쪽으로 진출을 강화하여 秦王 政이 6국을 멸하고 기원전 221년 중국의 통일을 달성하였다. 진시황제의 사후에 반란이 일어나 기원전 207년 진나라는 멸망하고 한나라가 건국되었다.

 

司馬遷은 太史公自序에서 “진나라의 선조 伯翳는 禹임금을 보좌했다. 秦穆公은 뉘우칠 줄 알아 殽山에서 전사한 병사들을 애도했다. 목공이 죽자 산 사람을 함께 묻었고, 시경의 ‘黃鳥’에서 이것을 노래하였다. 秦 昭襄王은 제왕의 업적을 위한 터를 닦았다. 이에 제5편인 ‘秦本紀’를 지었다.”라고 하였다.

 

秦之先,帝顓頊之苗裔孫曰女修。
나라의 선조는 顓頊帝의 후대 손녀인 女修이다.

女修織,玄鳥隕卵,女修吞之,生子大業。

여수가 베를 짜고 있는데 제비가 알을 떨어뜨려서 여수가 이 알을 삼키고 아들 大業을 낳았다.

大業取少典之子,曰女華。

대업은 少典의 딸을 아내로 맞았는데女華라 하였다.

女華生大費,與禹平水土。
여화는 大費를 낳았고대비는 와 함께 물과 땅을 다스렸다.

已成,帝錫玄圭。

치수에 성공하자 임금이 玄圭를 하사하였다.

顓頊帝 : 顓頊 高陽. 황제의 손자이며 昌意의 아들로서, 아들은 , 손자는 禹王이다. 姓 姬, 高陽氏이다. 천하를 잘 다스려 明君으로서 이름이 높았다. 후일의 나라와 나라는 그를 자기들의 遠祖로 섬겼다.

女修 : 顓頊帝의 후손인 여자.

玄鳥 : 제비. 殷本紀의 상나라의 선조의 전설과 유사하다. “나라의 시조 의 어머니는 簡狄이라 하였으며, 有娀氏 부족의 딸로 帝嚳의 두 번째 부인이다. 세 사람이 목욕을 갔다가 제비가 알을 떨어뜨리는 것을 보고, 간적이 이를 주어 삼켰는데 잉태하여 설을 낳았다.(殷契母曰簡狄有娀氏之女為帝嚳次妃三人行浴見玄鳥墮其卵簡狄取吞之因孕生契.) <[史記本紀] 03. 殷本紀 - 湯王>

: 와 같다. 아내를 맞다.

少典之子 : 여기서는 소전의 딸을 말한다. 少典은 고대 부족명이다. 黃帝 軒轅氏少典 부족의 자손이다.

: 하사하다.

: 의 아버지는 이라 했고, 곤의 아버지가 전욱제이다. 전욱의 아버지는 昌意이고, 창의의 아버지가 黃帝이다. 우는 황제의 현손이자 전욱의 손자이다.

玄圭 : 검은색의 玉圭. 규는 로 제후를 봉할 때 사용하던 信印. 순임금은 에게 검은색의 옥홀을 하사하였다.<史記 本紀 02. 夏本紀 (4/6) - 帝禹> 

 

禹受曰:
「非予能成,亦大費為輔。」
가 이를 받으면서 말하였다.
저 혼자 이룰 수 있던 것이 아니라 大費도 도왔습니다.”

帝舜曰:

「咨爾費,贊禹功,其賜爾皁游。
爾後嗣將大出。」
순임금이 말하였다.
를 도와서 공을 이루었으니 그대에게 깃발의 띠인 皁游를 하사한다.
그대의 후손이 크게 번창할 터이다.”

乃妻之姚姓之玉女。
이에 姚氏 성의 미녀를 아내로 삼게 하였다.

大費拜受,佐舜調馴鳥獸,鳥獸多馴服,是為柏翳。

大費는 공손하게 받고 임금을 도와 새와 짐승을 길들이니새와 짐승들을 대부분 잘 길들였으니 이 사람이 곧 柏翳이다.

舜賜姓嬴氏。
임금은 그에게 嬴氏 성을 하사하였다.

: 감탄사. .

: 돕다.

皁游 : 깃발을 장식하는 흑색 띠. (:깃발)와 같다.

後嗣 : 후대.

: 번창하다.

柏翳 : 伯益을 말한다. 백익은 고대 전설상의 인물로 백예(伯翳, 柏翳, 伯鷖), 大費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大業의 아들이며 이다. 새들과 이야기한다고 하여 百蟲將軍, 우물 파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해서 井神으로도 불린다.

 

大費生子二人:
大費는 아들 둘을 낳았다.

一曰大廉,實鳥俗氏;
한 아들은 大廉이라 하였으며 나중에 鳥俗氏가 되었다.

二曰若木,實費氏。
다른 아들은 若木이라 하였으며 나중에 費氏가 되었다.

其玄孫曰費昌,子孫或在中國,或在夷狄。
비씨의 玄孫은 費昌이라 하는데그의 자손이 혹은 中原에 혹은 夷狄의 땅에 살았다.

費昌當夏桀之時,去夏歸商,為湯御,以敗桀於鳴條。
비창은 하걸왕 때 하나라를 떠나 상나라에 귀의하여 탕왕을 위해 수레를 몰았고鳴條에서 하걸왕을 물리쳤다.

大廉玄孫曰孟戲、中衍,鳥身人言。
大廉의 현손은 孟戲와 中衍이라 하는데새의 몸에 사람의 말을 하였다.

帝太戊聞而卜之使御,吉,遂致使御而妻之。
太戊 왕이 이를 듣고 수레를 몰게 하려고 점을 치니 길하게 나와 수레를 몰게 하고 아내를 얻어 주었다.

自太戊以下,中衍之後,遂世有功,以佐殷國,故嬴姓多顯,遂為諸侯。
태무 이래로 중연의 후손들이 마침내 대대로 공을 세우며은나라를 도우니 씨가 대부분 지위가 높아져 마침내 제후가 되었다.

: 마침내. 바로.

中國 : 중원지구.

夏桀 : 하나라의 걸왕. 나라의 마지막 왕으로서 역사적으로 유명한 暴君이다.

: 수레.

鳴條 : 安邑의 서쪽에 있으며 맞이하여 싸운 곳이다.

帝太戊 : 太戊. 상나라의 제9대 왕으로 성은 이며, 이름은 太戊, 王號中宗이다. 현인 伊陟을 재상으로 삼아 상나라를 부흥시켰다.

 

其玄孫曰中潏,在西戎,保西垂。
中衍의 현손은 중휼(中潏)이라 했는데西戎 땅에 살면서 西垂를 지켰다.

生蜚廉。

그는 蜚廉을 낳았다.

蜚廉生惡來。
비렴은 惡來를 낳았다.

惡來有力,蜚廉善走,父子俱以材力事殷紂。

오래는 힘이 장사였고비렴은 달리기를 잘했으며부자 모두 재주와 힘으로 은나라 왕을 섬겼다.

周武王之伐紂,并殺惡來。

周武王이 은나라 주왕을 정벌할 때 오래도 함께 죽였다.

是時蜚廉為紂石北方,還,無所報,為壇霍太山而報,得石棺,銘曰「帝令處父不與殷亂,賜爾石棺以華氏」。

이때 비렴은 은나라 주왕을 대신해 북방에 나가 있다가 돌아왔으나 보고할 곳이 없자霍太山에 제단을 쌓아서 주왕의 혼령에게 보고하면서 석관 하나를 얻었는데 석관에 새겨져 있기를,
天帝께서 너 處父를 은나라의 난리 때 참여치 않게 하시고너에게 석관을 하사하시어 종족을 번창하게 하셨다.”라고 하였다.

 蜚廉 : 나라 말기의 장군이며, 왕의 충신이다. 處父이다. 蜚廉飛廉으로도 표기하며, 飛廉惡來는 부자지간으로 상나라 紂王을 섬긴 신하들인데 악명이 높았다.

西垂 : 지명. 서쪽 변경. 는 변경.

石北方 : 使의 오류로 보는 견해가 있다.

為壇 : 제단을 쌓다.

: 글자를 새기다. 여기서는 석관 위에 새긴 글자를 말한다.

: 天帝.

處父 : 蜚廉.

) : 참가하다. 참여하다.

華氏 : 씨족의 명성이 빛나다.

 

死,遂葬於霍太山。
蜚廉이 죽자 霍太山에 장사 지냈다.

蜚廉復有子曰季勝。
비렴에게는 또 季勝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季勝生孟增。
계승이 孟增을 낳았다.

孟增幸於周成王,是為宅皋狼。
맹증은 周成王의 총애를 받았는데 그가 곧 宅皐狼이다.

皋狼生衡父,衡父生造父。
고랑이 衡父를 낳았고형보는 造父를 낳았다.

季勝 : 오래의 동생. 계승의 후손이 趙氏가 되었다.<사기 권43. 趙世家>

: 총애하다.

宅皋狼 : 이름. 孟增皋狼현에 살았으므로 택고랑이라고 한 것이다.

 

造父以善御幸於周繆王,得驥、溫驪、驊騮、騄耳之駟,西巡狩,樂而忘歸。
造父는 수레를 잘 몰아 周繆王의 총애를 받았다목왕은 溫驪驊駵騄耳라는 네 필의 말을 얻고 서쪽으로 순시를 떠났는데너무 즐거워 돌아오는 것을 잊었다.

徐偃王作亂,造父為繆王御,長驅歸周,一日千里以救亂。
徐偃王이 난을 일으키자 조보는 목왕을 위하여 수레를 몰아멀리서 하루에 천 리 길을 달려 주나라로 돌아옴으로써목왕이 난을 다스리게 하였다.

繆王以趙城封造父,造父族由此為趙氏。
목왕이 趙城을 조보에게 봉읍으로 내리니이때부터 조보의 집안은 趙氏가 되었다.

造父 : 전국시대의 뛰어난 마부로 趙氏의 조상이다. 周穆王에게 八駿馬를 바쳐 총애를 받았다. 목왕이 그에게 말을 몰게 하여 서쪽으로 巡狩를 가 西王母를 만나 즐거움에 빠져 돌아올 줄 몰랐다. 그때 徐偃王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그가 말을 몰아 하루에 천 리를 달려 대파하였다. 이로 인해 목왕이 그에게 趙城을 봉읍하여 조씨가 되었다.

周繆王 : 주나라의 제5대 왕으로 성은 , 이름은 滿이다. 주소왕의 아들이다. 소왕이 초나라의 원정 도중에 행방불명되자, 임시로 왕위에 즉위했고, 이후 소왕이 죽은 것으로 판명되자 정식으로 즉위하였다.

, 溫驪, 驊騮, 騄耳 : 모두 준마의 이름. 八駿馬는 주목왕이 사랑하던 여덟 마리의 준마로 華騮, 綠耳, 赤驥, 白義, 踰輪, 渠黃, 盜驪, 山子를 말한다. 華騮驊騮, 綠耳騄駬, 盜驪溫驪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徐偃王 : 西周 나라의 國君. 동이족의 마지막을 전성기를 이끈 왕이라고도 한다.

長驅 : 멀리 달림. 먼 거리를 신속하게 진군하다.

: 수레 한 대를 끄는 네 필의 말.

 

自蜚廉生季勝已下五世至造父,別居趙。
蜚廉이 계승을 낳은 이래 5대째인 조보에 이르러서 따로 趙城에서 살게 되었다.

趙衰其後也。

趙衰는 그 후손이다.

惡來革者,蜚廉子也,蚤死。

惡來革은 비렴의 아들인데 일찍 죽었다.

有子曰女防。
女防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女防生旁皋,旁皋生太幾,太幾生大駱,大駱生非子。
여방은 旁皐낳았고방고는 太几를 낳았고태궤는 大駱을 낳았고대락은 非子를 낳았다.

以造父之寵,皆蒙趙城,姓趙氏。

조보가 목왕의 총애를 받은 덕에 모두 趙城을 이어받아 조씨 성을 가지게 되었다.

趙衰 : 孟子餘로도 불린다. 춘추시대 나라 사람. 시호가 이라 趙成으로도 불린다. 趙成子 또는 成季 등으로도 썼다. 公子 重耳를 따라 외국에서 19년 동안 유랑하면서 온갖 고생과 위험을 극복했고, 중이가 귀국해 晉文公으로 즉위하는 것을 도왔다.<사기 권 43. 조세가-조최>

惡來革 : 惡來. 상나라의 대신이다. 비렴의 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은나라 왕을 섬겼다.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를 공격하여, 은나라를 멸망시켰고 오래를 죽였다.

: 와 같다.

는 자 대용으로 쓰였는데두 가지 용법이 있었다.

① 以上以來와 같은 뜻으로 已上已來로 썼으며,

② 전치사 와 같은 용법의 전치사로 썼다.

 

 

한문의 허사(虛詞) 已

한문의 허사(虛詞) 已 已而 뒤이어 已大 너무 已矣 ~이로다 已夫 ~이도다 已는 동사로 쓰이는 경우 전후의 문맥에 따라 그 해석이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枚乘의《七發》의 “霍然病已”[병

koahn.tistory.com

: 와 통용된다.

: 받다.

 

非子居犬丘,好馬及畜,善養息之。
非子는 犬丘에 살았는데말과 가축을 좋아하여 잘 기르고 번식시켰다.

犬丘人言之周孝王,孝王召使主馬于汧渭之閒,馬大蕃息。
견구 사람들이 周孝王에게 이를 알리자효왕이 비자를 불러서 汧水와 渭水 사이에서 말을 관리하게 했더니 말이 크게 번식하였다.

孝王欲以為大駱適嗣。
효왕은 비자를 大駱의 후계자로 삼고자 하였다.

申侯之女為大駱妻,生子成為適。
申侯의 딸이 대락의 아내가 되어 아들 을 낳으니 적자로 삼았다.

非子 : 大駱의 아들. 伯益의 후예로 飛子)도 쓰며, 말을 잘 길렀다. 西周 嬴姓 부락의 영수로 犬丘에 살았다. 周孝王이 불러 汧水渭水 사이에서 말을 기르게 하였다. 주효왕이 非子에게 汧渭 일대에서 말을 키우도록 하여 크게 번식하니 비자를 땅에 봉하고, 이란 성씨를 하사하면서 주나라의 속국으로 삼아 이 나라가 발전하여 나라가 되었다.

犬丘 : 서주 懿王이 잠시 주나라의 도읍으로 삼았던 곳으로 그 후 이름이 廢丘로 바뀌었고, 진나라를 멸한 항우가 제후들을 책봉하면서 장한에게 봉한 옹나라의 수도가 되기도 하였다.

周 孝王 : 西周國君으로 성은 씨이고 이름은 辟方이다. 共王의 동생이다. 조카 懿王에 이어 즉위하였다.

: 번식하다.

: 관리하다.

蕃息 : 繁殖.

申侯 : 西周 말기 나라의 군주.

大駱 : 太几의 아들이며 非子의 아버지.

適嗣 : 嫡子. 정실 소생의 아들. 非子嫡子가 아니었으므로 후계자가 될 수 없었다.

 

申侯乃言孝王曰:
「昔我先酈山之女,為戎胥軒妻,生中潏,以親故歸周,保西垂,西垂以其故和睦。
申侯가 이에 대해 효왕에게 말하였다.
옛날 우리 선조인 酈山의 딸께서 戎族 서헌(胥軒)의 아내가 되어中潏을 낳으셨는데주나라와 서로 친하였기 때문에 귀의하여 西垂를 지키니 서수가 화목해졌습니다.

今我復與大駱妻,生適子成。
이제 제가 다시 大駱에게 딸을 시집보내 適子인 성을 낳았습니다.

申駱重婚,西戎皆服,所以為王。

저와 대락이 재차 혼인관계를 맺어 西戎을 모두 복속시킴으로써 왕이 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王其圖之。」

왕께서는 잘 생각해보십시오.”

戎族 胥軒 : 서융족 中衍의 증손.

中潏 : 中衍의 현손으로 西戎 땅에 살면서 西垂를 지켰다.

重婚 : 재차 혼인관계를 맺다.

 

於是孝王曰:
「昔伯翳為舜主畜,畜多息,故有土,賜姓嬴。
今其後世亦為朕息馬,朕其分土為附庸。」
이에 효왕이 말하였다.
옛날 伯翳가 순임금을 위하여 가축을 관리하여 잘 번식시켜서 땅을 하사받고 영씨 성을 받았다.
지금 그 후손들이 짐을 위해 말을 번식시켰기에 짐이 땅을 나누어주어 屬國으로 삼고자 한다.”

邑之秦,使復續嬴氏祀,號曰秦嬴。
효왕은 비자에게 秦 땅을 봉읍하고 다시 영씨의 제사를 잇게 하고 秦嬴이라 불렀다.

亦不廢申侯之女子為駱適者,以和西戎。

또 申侯의 딸이 낳은 아들을 폐하지 않고 대락의 적자로 삼아서 서융과 잘 지내게 하였다.

附庸 : 제후국의 속국.

邑之秦 : 땅을 봉읍하다.

申侯之女子 : 申侯의 딸의 아들.

 

秦嬴生秦侯。
秦嬴은 秦侯를 낳았다.

秦侯立十年,卒。
진후는 즉위 10년에 죽었다.

生公伯。
진후는 公伯을 낳았다.

公伯立三年,卒。
공백은 즉위 3년에 죽었다.

生秦仲。
공백이 秦仲을 낳았다.

秦仲 : 진나라의 군주이다. 西周 때 사람으로 非子의 증손자이며, 公伯의 아들이다. 기원전 845년에 아버지 공백이 죽자 秦仲이 계승하였다.

 

秦仲立三年,周厲王無道,諸侯或叛之。
진중이 즉위한 지 3周厲王이 無道하여 제후 중에 반란을 일으키는 자가 있었다.

西戎反王室,滅犬丘大駱之族。

서융도 왕실에 반기를 들고 犬丘의 大駱 일족을 멸하였다.

周宣王即位,乃以秦仲為大夫,誅西戎。
周 宣王이 즉위하여 진중을 대부로 삼아 서융을 토벌토록 하였다.

西戎殺秦仲。
서융이 진중을 죽였다.

秦仲立二十三年,死於戎。
진중은 즉위한 지 23년 만에 서융 땅에서 죽은 것이다.

周 厲王 : 춘추시대 나라의 國君. 성은 씨이고, 이름은 . 夷王의 아들이고, 周穆王4대손이다. 탐욕스럽고 잔인하며 이익만 좇아 화가 난 백성이 들고일어나 공격하여 로 달아났다. 14년 뒤 체에서 죽었다.

周 宣王 : 주나라의 제11대 왕으로 성은 , 이름은 이다. 아버지 주 여왕은 기원전 842년에 국민폭동에 의해 로 도망했고 이후 왕이 부재한 공화제가 실시되었다. 기원전 828년에 주 여왕이 사망한 후, 주 여왕의 아들인 을 왕으로 세웠다.

: 토벌하다.

西戎 : 중국의 서쪽에 사는 이민족. 일반적으로 동서남북 각 방위를 따라 이민족의 특징을 구분하여 東夷( 동쪽의 활을 잘 쏘는 사람들), 西戎( 서쪽의 창을 쓰는 사람들), 南蠻( 벌레가 많은 남쪽지방), 北狄( 이리가 많은 북쪽지방)으로도 불렀다.

 

有子五人,其長者曰莊公。
진중에게는 아들 다섯이 있었는데큰아들을 莊公이라 하였다.

周宣王乃召莊公昆弟五人,與兵七千人,使伐西戎,破之。
주 선왕은 장공의 다섯 형제를 불러 7,000의 병사를 주고서융을 토벌하게 하니그들이 서융을 격파하였다.

於是復予秦仲後,及其先大駱地犬丘并有之,為西垂大夫。
이에 다시 진중의 후손에게 상을 내려 그들의 선조 大駱의 봉지인 犬丘를 하사하고 西垂의 대부로 삼았다.

莊公 : 진나라의 군주이다. 西周 때 사람으로 秦仲의 아들이다. 기원전 822, 秦仲西戎의 땅에서 전사하였는데, 周宣王이 진중의 아들인 장남 莊公을 비롯한 다섯 형제를 불러 병력 7,000을 주며 서융을 토벌케 하였다. 장공이 서융을 쳐부수자, 주 선왕이 장공을 西垂大夫로 봉하였으며 大駱 일족의 西犬丘의 땅까지 주었다.

昆弟 : 형제.

: 주다.

 

 

莊公居其故西犬丘,生子三人,其長男世父。
장공은 자신들의 옛 땅인 西犬丘에 살면서 아들 셋을 낳았는데그의 큰아들이 世父이다.

世父曰:
「戎殺我大父仲,我非殺戎王則不敢入邑。」
세보가 말하였다.
이 우리 할아버지 진중을 죽였으니내가 융의 왕을 죽이지 않으면 감히 봉읍으로 돌아갈 수 없다.”

遂將擊戎,讓其弟襄公。
마침내 세보가 서융을 치기 위해 떠날 때그의 아우 襄公에게 양위하였다.

襄公為太子。
양공이 태자가 되었다.

莊公立四十四年,卒,太子襄公代立。
장공이 즉위 44년에 죽자 태자인 양공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大父 : 祖父.
: 계승하다.

襄公元年,以女弟繆嬴為豐王妻。
양공 원년(기원전 777), 양공의 여동생 繆瀛이 豐王의 아내가 되었다.

襄公二年,戎圍犬丘,世父擊之,為戎人所虜。
양공 2(기원전 776), 서융이 견구를 포위하자 세보가 서융을 격퇴하다가 서융의 포로가 되었다.

歲餘,復歸世父。
1년 남짓 지나자 세보를 돌려보냈다.

七年春,周幽王用褒姒廢太子,立褒姒子為適,數欺諸侯,諸侯叛之。
양공 7(기원전 771周幽王이 褒姒로 인하여 태자 宜臼를 폐하고포사의 아들을 태자로 삼았으며여러 차례 제후를 속이자 제후들이 유왕을 배반하였다.

西戎犬戎與申侯伐周,殺幽王酈山下。
서융의 견융과 신후가 함께 주나라를 침공하여유왕을 酈山에서 죽였다.

而秦襄公將兵救周,戰甚力,有功。
秦襄公이 군대를 이끌고 주나라를 구원하며 힘껏 싸워 공을 세웠다.

周避犬戎難,東徙雒邑,襄公以兵送周平王。
주나라가 견융의 난을 피해 동쪽 낙읍으로 천도할 때 양공은 군대를 거느리고 周平王을 호송했다.

襄公 : 춘추시대 진나라의 國君. 이름은 전해지지 않고, 莊公의 둘째 아들이다. 양공 7西戎犬戎申侯가 함께 周王室을 공격하여 酈山 아래에서 幽王을 살해하자 西周가 멸망하고 말았다. 양공이 군대를 이끌고 주나라를 구해 平王을 호송해 東遷하는 데 공을 세워 주나라에서 秦岐 서쪽의 땅을 하사하였다. 이때부터 진나라가 附庸國에서 제후국이 되었다.
豐王 : 당시 풍읍을 점거했던 서융의 왕.
: 하다. ‘의 용법(~에 의하여, ~때문에, ~인하여, ~의거하여)과 같으며 여기서는 ‘~인하여로 해석함이 자연스럽다.
數欺諸侯 : 여러 차례 제후들을 기만하다. 주유왕이 포사를 기쁘게 하기 위해 거짓으로 봉화를 올린 일을 말한다.

[史記/本紀] - 본기4. 周本紀2

 

以兵 : 군대를 거느리다.

 

平王封襄公為諸侯,賜之岐以西之地, 曰:
「戎無道,侵奪我岐、豐之地,秦能攻逐戎,即有其地。」
周平王이 襄公을 제후로 봉하고 岐山의 서쪽 땅을 하사하면서 말하였다.
무도한 서융이 우리의 과 豐 땅을 침탈하였으니진나라가 융을 공격해 물리치면 그 땅을 갖게 될 터이다.”

與誓,封爵之。
함께 서약하고 봉지와 작위를 내렸다.

襄公於是始國,與諸侯通使聘享之禮,乃用騮駒、黃牛、羝羊各三,祠上帝西畤。
양공이 이때 처음으로 제후국이 되어 제후들과 사신을 보내 서로 방문하고 공물을 바치는 대등한 예를 차릴 수 있게 되어이에 붉은 말황소숫양을 각각 세 마리씩 제물로 삼아 西畤에서 上帝께 제사를 올렸다.

十二年,伐戎而至岐,卒。
양공 12(기원전 766), 양공이 서융을 토벌하러 岐山에 이르렀을 때 죽었다.

生文公。
文公을 낳았다.

平王 : 周 平王. 주나라의 제13대 왕이다. 성은 , 이름은 宜臼이다. 주 유왕의 아들이다.
封爵之 : 봉지와 작위를 하사하다.
: 진나라가 제후국이 되었음을 말한다.
聘享 : 서로 방문하며 공물을 바치다. 제후 간에 서로 사절을 보내는 것을 이라하고, 천자에게 공물을 바치는 것을 이라 한다.
騮駒 : 흑색 갈기의 붉은 색의 작은 말.
羝羊: 숫양. 公羊.
: 제사.
西畤 : 西縣에 있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곳. 는 제사를 지내는 제단.

 

 

文公元年,居西垂宮。
文公 원년(기원전 765), 西垂宮에 머물렀다.

三年,文公以兵七百人東獵。
문공 3(기원전 763), 문공이 700의 병사를 거느리고 동쪽으로 사냥을 나갔다.

四年,至汧渭之會, 曰:
문공 4(기원전 762)에 견수와 위수가 만나는 지점에 이르러 말하였다

「昔周邑我先秦嬴於此,後卒獲為諸侯。」
옛날 주나라가 우리 선조 秦嬴에게 이곳을 도읍으로 삼게 했고그 뒤 마침내 제후가 되었다.”

乃卜居之,占曰吉,即營邑之。
그러고는 그곳이 살기에 적합한지 점치게 하니 길하다고 하여 곧 도읍을 건설하였다.

文公 : 秦文公. 춘추시대 나라의 제2대 군주. 襄公의 아들이다. 재위할 때 처음으로 史官을 설치해 일을 기록하게 했는데, 백성들 가운데 교화된 사람이 많았다. 16을 정벌해 승리하고 영토를 까지 넓혔으며, 나라의 남은 백성을 거두었다. 20년 처음으로 죄를 지으면 三族誅戮한다는 법령을 제정하였다. 재위는 50년이고, 시호는 이다.
營邑 : 도읍을 건설하다.

十年,初為鄜畤,用三牢。
문공 10(기원전 756), 처음으로 鄜縣에 제단을 만들어 三牢를 제물로 천지에 제사를 올렸다.

十三年,初有史以紀事,民多化者。
13(기원전 753), 처음으로 史官을 두어서 나라의 큰일을 기록했으며 많은 백성이 교화되었다.

十六年,文公以兵伐戎,戎敗走。
16(기원전 750), 문공이 병사를 거느리고 西戎을 토벌하니 서융은 패하여 달아났다.

於是文公遂收周餘民有之,地至岐,岐以東獻之周。
이에 문공은 주나라의 유민들을 거두어 받아들이고영토를 岐山까지 넓혀서 기산의 동쪽을 주나라에 바쳤다.

十九年,得陳寶。
19(기원전 747), 陳倉에서 陳寶를 얻었다.

二十年,法初有三族之罪。
20(기원전 746), 법에 처음으로 三族을 멸하는 죄가 생겼다.

二十七年,伐南山大梓,豐大特。
27(기원전 739), 남산의 큰 가래나무를 베자 가래나무 이 큰 황소로 변해 풍수로 들어갔다.

四十八年,文公太子卒,賜謚為竫公。
48(기원전 718), 문공의 태자가 죽으니 靜公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鄜畤(부치) : 鄜縣에 있는 천지에 제사를 지내는 제단.
三牢 : , , 돼지 세 종류 가축을 제물로 하는 제사.
: 史官.
陳寶 : 나라 文公이 돌처럼 단단한 若石陳倉의 북쪽 언덕 위에서 얻고는 제사하자 그 이 왔는데, 항상 야광 때문에 유성처럼 빛났고, 동남쪽에서 와 祠城에 모였는데 수꿩과 같고 그 소리가 웅장하였다. 그러면 들의 꿩이 모두 울어서 이에 응하니, 한 마리 희생으로 이 에게 제사하였다. 사당이 陳倉縣에 있는데, 보배로이 여겨 제사하였기 때문에 陳寶라 이름하였다. “若石은 재질이 돌처럼 단단하고 형상이 과 비슷하였다.<漢書·郊祀志>
三族 : 부모, 형제, 처자.
豊大特 : 豊水에 살았다는 큰 황소. 진문공이 옹남산에 있는 큰 가래나무를 베었는데 벤 나무에서 한 마리의 靑牛가 나와서 풍수로 들어갔다.<錄異傳>
豊水. 은 황소.

竫公之長子為太子,是文公孫也。
竫公의 맏아들이 태자가 되었으니 즉 문공의 손자이다.

五十年,文公卒,葬西山。
문공 50(기원전 716), 문공이 죽자 서산에 장사지냈다.

竫公子立,是為寧公。
정공의 아들이 즉위하니이 사람이 寧公이다.

寧公二年,公徙居平陽。遣兵伐蕩社。
영공 2(기원전 714), 영공이 平陽으로 도읍을 옮겼다군대를 보내 蕩社를 토벌하였다.

三年,與亳戰,亳王奔戎,遂滅蕩社。
영공 3(기원전 713), 과 싸웠는데 亳王이 서융으로 달아나 마침내 탕사를 멸망시켰다.

四年,魯公子翬弒其君隱公。
영공 4(기원전 712), 노나라의 공자 휘()가 자기 군주 魯隱公을 시해하였다.

十二年,伐蕩氏,取之。
영공 12(기원전 704), 영공은 蕩氏를 토벌하여 땅을 빼앗았다.

寧公生十歲立,立十二年卒,葬西山。
영공이 열 살에 즉위하여 12년 만에 죽었으며 西山에 장사 지냈다.

寧公 : 秦憲公으로도 기록되어 있다. 일설에 사기의 영공은 오류라고 주장한다. 춘추시대 나라의 제4대 군주. 진 문공의 손자. 靜公의 아들. 출자, 무공, 덕공의 아버지이다. 진문공이 오래 살아서 아버지 정공이 뒤를 잇지 못하고 죽었다. 진문공이 재위 50년 만에 죽자, 그 뒤를 이었다.
蕩社 : 西戎의 군주 亳王의 도읍지. 蕩杜로 기록된 곳도 있다. 주나라의 작은 제후국으로 陶唐氏의 후예로 알려져 왔으며, 춘추시대에는 亳國의 땅이었으며, 蕩氏 혹은 蕩社라고 일컬어졌다. 기원전 687, 진무공이 杜縣을 설치하였다.
: 亳戎. 서융의 일파.
隱公 : 魯隱公. 춘추시대 노나라의 군주로 노혜공이 죽자 적자인 윤을 태자로 삼고 섭정하였다. 노은공 11公子翬가 백성들이 군주를 가볍게 여긴다면서 태자 윤을 죽이고 정식으로 즉위하라고 하면서 자신을 으로 올리라고 요청하였다. 은공이 허락하지 않고, 윤이 장성하면 당연히 정권을 돌려주겠다고 말하자 공자 휘가 은공을 살해하였다.
蕩氏 : 西戎小國.

 

生子三人,長男武公為太子。
寧公은 아들 셋을 두었는데장남인 武公이 태자가 되었다.

武公弟德公,同母魯姬子。
무공의 동생 德公은 무공과 같은 어머니인 魯姬子에게서 태어났다.

生出子。
出子도 낳았다.

寧公卒,大庶長弗忌、威壘三父廢太子而立出子為君。
영공이 죽자 大庶長 弗忌威壘 三父가 태자를 폐위하고 出子를 군주로 옹립하였다.

出子六年,三父等復共令人賊殺出子。
出子 6(기원전 698), 삼보 등이 다시 사람을 시켜 출자를 살해하였다.

出子生五歲立,立六年卒。
출자는 다섯 살에 즉위하여 재위 6년 만에 살해되었다.

三父等乃復立故太子武公。
三父 등은 원래의 태자였던 무공을 다시 옹립하였다.

魯姬子 : 노희자는 영공의 첩이었다.
大庶長 弗忌, 威壘 三父 : 大庶長威壘는 관직이며, 弗忌三父는 사람이름 이다.
賊殺 : 살해하다.
三父 : 춘추시대 나라 大夫에 임명되었다. 秦寧公이 죽자 大庶長 弗忌와 함께 태자를 폐하고 出子를 세웠다. 6년이 지난 뒤 다시 사람을 시켜 출자를 죽이고 태자를 복위시켰으니, 그가 秦武公이다. 무공 3년에 무공은 출자를 죽인 죄를 씌워 삼보의 三族誅戮하였다.

 

武公元年,伐彭戲氏,至于華山下,居平陽封宮。
武公 원년(기원전 697), 彭戲氏를 토벌하기 위해서 華山에 이르러平陽封宮에 머물렀다.

三年,誅三父等而夷三族,以其殺出子也。
무공 3(기원전 695), 삼보 등을 죽이고 삼족을 멸하였는데출자를 살해했기 때문이다.

鄭高渠瞇殺其君昭公。
나라 高渠眯가 자기 군주인 昭公을 시해하였다.

十年,伐邽、冀戎,初縣之。
무공 10(기원전 688), 와 冀 지역의 융을 토벌하고처음으로 을 설치하였다.

十一年,初縣杜、鄭。
무공 11(기원전 687), 처음으로 와 鄭 지역을 현으로 삼았다.

滅小虢。
小虢을 멸하였다.

武公 : 秦武公. 춘추시대 진나라의 군주로 文公의 손자이다. 寧公(또는 憲公)이 죽자 大庶長 三父 등이 태자 무공을 폐하고 동생 出子를 군주로 삼았다. 6년 뒤 삼보가 다시 출자를 살해하고 무공을 세웠다.무공은 3년 뒤 삼보 등을 誅殺하였다. 10冀戎을 정벌하여 처음에 縣制를 실시해 획득한 땅을 다스렸다. 나중에 다시 두 땅을 침략해 점거하고, 小虢을 멸망시켰다. 20년 동안 재위하고 죽었다. 처음으로 殉葬을 실시하여 따라 죽은 이가 66명이었다.
昭公 : 鄭昭公. 춘추시대 정나라의 제4대 임금으로, 휘는 이고, 자는 曼伯이며, 정장공과 정비 鄧曼의 장자이다. 송나라의 지원을 받은 정여공에게 쫓겨났으며, 복위했으나 高渠眯에게 살해당하였다. 정장공이 고거미를 경으로 삼으려 했을 때 소공이 반대했었다. 고거미는 소공이 자신을 죽일까 두려워하여 소공을 시해하였다.
: 현을 설치하다.
小虢 : 괵은 주문왕의 동생인 虢叔虢仲이 봉해진 나라. 각각 호경에서의 위치에 따라 東虢, 西虢이라고 불렀다. 西虢이 동천하고 갈라진 세 나라 중에 하나인 小虢왕실이 동천하자 같이 동천한 서괵의 잔류 세력이 , 과 손을 잡고 재건한 나라. 기원전 687나라 무공에 의해 멸망하였다.

 

十三年,齊人管至父、連稱等殺其君襄公而立公孫無知。
무공 13(기원전 685), 제나라 사람 管至父와 連稱 등이 자신의 군주인 襄公을 시해하고 公孫無知를 옹립하였다.

晉滅霍、魏、耿。
나라는 을 멸망시켰다.

齊雍廩殺無知、管至父等而立齊桓公。
제나라의 대부 雍廩이 공손무지와 관지보 등을 죽이고 齊桓公을 옹립하였다.

齊、晉為彊國。
나라와 나라가 강국이 되었다.

齊襄公 : 춘추시대 제나라의 군주로 이름은 諸兒, 莊公의 손자이다. 4魯桓公이 부인과 함께 제나라에 왔다. 양공이 누이인 魯夫人과 사통하다가 환공을 살해하였다. 12년 대부 連稱管至父蔡丘자리를 나갔다가 교체되지 못하자 홧김에 公孫無知를 따라 난을 일으키려고 하였다. 나중에 양공이 사냥을 나갔다가 수레에서 떨어져 다리를 다쳤다는 소식을 듣고 무지 등이 마침내 무리를 이끌고 궁에 들어와 습격해 죽였다. 12년 동안 재위했고, 시호는 이다.
連稱 : 춘추시대 나라 사람으로 齊襄公 大夫를 지냈다. 管至父와 함께 葵丘자리를 보냈는데, 오이가 익으면 돌아오도록 하였다. 이를 及瓜而代라 한다. 한 해 동안 수자리를 섰지만 명령서가 오지 않자 교체를 청했지만 허락하지 않았다. 결국 관지보와 함께 반란을 일으켜 양공을 살해하였다.
齊桓公 : 춘추시대 제나라의 15대 왕으로 이름은 소백. 襄公의 동생. 양공이 왕으로 있을 때 정치가 어지러워지자 鮑叔牙와 함께 에 망명하였다. 기원전 686년에 公孫無知가 양공을 죽이고 왕이 되었다가 죽임을 당하자, 환공은 귀국하여 조카 와 싸워 격파하고, 왕위에 올랐다. 뒤에 管仲과 포숙아를 재상으로 뽑아 어진 정치를 하였고, 나라 안을 안정시켜 부유한 나라로 만들기에 힘썼다. 周王을 존중하였고, 여러 제후를 모아 동맹을 맺어 覇者가 되었는데, 그가 죽은 뒤 나라가 다시 어지러워졌다.

 

十九年,晉曲沃始為晉侯。
무공 19(기원전 679), 나라의 曲沃이 처음으로 晉侯가 되었다.

齊桓公伯於鄄。
齊桓公이 에서 제후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晉曲沃 : 나라는 주무왕의 둘째 아들 唐叔 虞가 형인 성왕에게 삼감의 난이 평정된 이후 그 땅을 봉하여 세운 나라이다. 소후 원년에 문후의 동생 성사를 曲沃에 봉하였다. 곡옥의 城邑翼城보다 커졌다. 곡옥 무공이 진후 민을 정벌하여 멸망시키고, 그 보물을 모조리 주나라 釐王에게 뇌물로 바쳤다. 희왕은 곡옥 무공을 진나라의 국군으로 삼아 제후의 반열에 오르게 하였다.<사기 권39.晉世家>
: 와 같다. 제후의 우두머리.

二十年,武公卒,葬雍平陽。
무공 20(기원전 678), 무공이 죽어 雍邑의 平陽에 장사 지냈다.

初以人從死,從死者六十六人。
처음으로 사람을 산 채로 묻는 殉葬을 시행했는데순장한 사람이 66명이었다.

有子一人,名曰白,白不立,封平陽。
아들이 하나가 이름을 이라 했는데백은 즉위하지 못하고 평양에 봉해졌다.

立其弟德公。
무공의 동생인 德公을 즉위시켰다.

從死 : 殉葬하다.

 

德公元年,初居雍城大鄭宮。
德公 원년(기원전 677), 처음으로 雍城의 大鄭宮에 머물렀다.

以犧三百牢祠鄜畤。
돼지 각각 300마리를 제사용 제물로 올려서 鄜畤에서 천지에 제사드렸다.

卜居雍。
옹성에서 거주하는 것이 적합한지를 점쳤다.

後子孫飲馬於河。
"후대 자손들이 황하에서 말에게 물을 먹일 터이다."라는 점괘가 나왔다.

梁伯、芮伯來朝。
이해에 나라의 군주와 나라의 군주가 와서 조회하였다.

二年,初伏,以狗御蠱。
덕공 2(기원전 676), 처음으로 복날을 정하고 개를 잡아 제사를 올려 熱毒을 막았다.

德公生三十三歲而立,立二年卒。
덕공은 33세에 즉위했으며 즉위한 지 2년 만에 죽었다.

生子三人:長子宣公,中子成公,少子穆公。
아들 셋을 두었는데 맏아들이 宣公둘째 아들이 成公막내아들이 穆公이다.

長子宣公立。
맏아들 선공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犧三百牢 : 三牢는 소, , 돼지 세 종류 가축을 제물로 하는 제사.
부치가 건립된 지 78년 후, 진나라 德公이 제왕으로 즉위하여 雍城으로 도읍을 정하는 것에 점을 보았는데, 이렇게 점괘가 나왔다. “후대의 자손들이 말에게 황하의 물을 마시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옹성을 도읍으로 정했고, 옹성에 허다한 사당은 모두 이 시기부터 흥기하였다. 매번 鄜畤에서 제사를 지낼 때에 소, 돼지, 양 삼백 마리를 바쳤다. 伏祠를 건립했으며, 사방의 성문에 개의 사지를 찢어 걸어놓고 독충의 재앙을 방지하였다.<사기 권28. 封禪書>
後子孫飲馬於河 : 진나라의 국세가 강성해져서 땅이 에서 황하에 이름을 암시한 것이다.
初伏 : 처음으로 복날을 정하다. 三伏은 한여름인 음력 6월부터 7월 사이에 있는 初伏·中伏·末伏三庚을 함께 일컫는 말이다. 첫 번째 복날인 초복은 夏至로부터 세 번째 庚日이고, 두 번째 복날인 중복은 네 번째 경일, 세 번째 복날인 말복은 立秋로부터 첫 번째 경일이다
以狗御蠱 : 개를 잡아 제사를 지내 열독을 막다. 는 본래 독충을 말하나 여기서는 사람을 상하게 하는 열독의 나쁜 기운을 말한다.
梁伯, 芮伯 : 양백은 춘추시대 주나라의 제후국인 양나라의 군주, 예백은 예나라의 군주.

 

宣公元年,衛、燕伐周,出惠王,立王子穨。
선공 원년(기원전 675), 나라와 나라가 주나라를 공격하여 周惠王을 내쫓고 왕자 를 옹립하였다.

三年,鄭伯、虢叔殺子穨而入惠王。
선공 3(기원전 673), 鄭伯과 虢叔이 왕자 퇴를 죽이고 다시 주혜왕을 맞아들였다.

四年,作密畤。
선공 4(기원전 672), 密畤를 만들었다.

與晉戰河陽,勝之。
나라와 河陽에서 싸워서 이겼다.

十二年,宣公卒。
선공 12(기원전 664), 선공이 죽었다.

生子九人,莫立,立其弟成公。
선공은 아들을 아홉이나 두었지만모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선공의 동생인 成公이 왕위에 올랐다.

宣公 : 춘추시대 나라의 군주. 진덕공의 장자. 진성공과 진목공의 형으로 12년간 재위하였다.
惠王 : 周惠王. 성은 , 이름은 , 시호는 惠王이다. 주나라 제16釐王의 아들이다. 기원전 677년 아버지 이왕이 죽자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할아버지 주장왕의 애첩 왕요의 아들로 장왕에게 사랑을 받은 작은아버지 子頹의 일파를 탄압하여, 자퇴의 스승 위국 등 대신들의 장원을 빼앗아 짐승을 기르는 곳으로 만들었다. 또 대부 子禽, 邊伯, 祝跪, 詹父의 재산을 침해하였다. 이듬해인 기원전 675년 가을, 위의 다섯 대부와 석속이 소자에 의지하고 자퇴를 옹립해 반란을 일으켰다. 혜왕측이 한 번은 반란군을 소자의 영읍인 으로 쫓아냈으나, 연과 위 두 나라가 자퇴를 지원해 혜왕이 쫓겨났다. 혜왕은 온으로 피했고 정의 여공은 자신이 13년간 망명할 때의 근거지인 에서 혜왕을 맞이하였다. 자퇴는 겨울에 주나라 왕으로 등극하였다. 혜왕 4(기원전 673), 정백이 괵숙과 협력해 자퇴와 그 일당 다섯 대부를 죽이고 혜왕을 복위시켰다.<사기 권04. 周本紀-동주>
: 王子 頹. 동주의 비정통 왕이다. 子頹라고 칭하기도 한다. 주장왕의 서자로, 주 혜왕의 숙부이다. 장왕의 총애를 받아 혜왕 때 난을 일으켜 왕을 칭하였다.
密畤 : 기원전 672秦宣公渭南에서 밀치를 만들어 제사를 지냈다. <사기 권 28. 封禪書>

 

成公元年,梁伯、芮伯來朝。
成公 원년(기원전 675), 양나라 군주와 예나라 군주가 조회하였다.

齊桓公伐山戎,次于孤竹。
齊桓公이 山戎을 토벌하고 孤竹에 군대를 임시 주둔시켰다.

成公 : 춘추시대 나라의 군주. 진 덕공의 아들. 진 선공의 동생. 秦穆公의 형. 진 성공 4(기원전 660), 진 성공이 죽고 그 동생인 嬴任好가 즉위하였다.
齊桓公 : 춘추시대 제나라의 15대 왕으로 이름은 소백. 襄公의 동생. 여러 제후를 모아 동맹을 맺어 覇者가 되었다.
山戎 : ··3국 사이에 위치한 이민족 부락 연맹.
: 임시로 주둔하다.

成公立四年卒。
성공은 즉위 4년 만에 죽었다.

子七人,莫立,立其弟繆公。
성공은 아들 일곱을 두었으나모두 왕위에 오르지 못하였고동생인 繆公을 옹립하였다.

繆公任好元年,自將伐茅津,勝之。
繆公 任好 원년(기원전 659), 목공은 몸소 군대를 거느리고 茅津을 토벌하여 승리하였다.

四年,迎婦於晉,晉太子申生姊也。
목공 4(기원전 656), 목공이 나라에서 아내를 맞았는데나라의 태자 申生의 누이였다.

其歲,齊桓公伐楚,至邵陵。
이해에 齊桓公은 초나라를 정벌하러 나서서 邵陵에 이르렀다.

繆公 : 秦穆公 嬴任好. 진나라의 군주. 으로도 쓴다.
이름은 任好이고, 秦 德公의 셋째 아들이며, 春秋五覇의 한 사람이다. 재위기간 동안 어진 인재를 힘써 구해 百里奚蹇叔 등을 등용해 謀臣으로 삼았고, 올바른 정치에 전력을 기울여 국세가 날로 강해졌다.
: 신부를 맞이하다.
申生 : 나라 獻公太子. 아버지가 驪姬를 총애하여 그 소생 奚齊를 후계자로 봉하고 신생을 烹刑에 처하고자 했으나 도망하지 않았다.

 

五年,晉獻公滅虞、虢,虜虞君與其大夫百里傒,以璧馬賂於虞故也。
목공 5(기원전 655), 晉 獻公이 나라와 나라를 멸망시키고 우나라의 군주와 대부 百里傒를 포로로 잡았는데진 헌공이 먼저 白玉과 좋은 말을 우나라에 뇌물로 주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既虜百里傒,以為秦繆公夫人媵於秦。
진 헌공은 백리혜를 포로로 잡고 나서딸을 秦 繆公에게 시집보낼 때 媵臣으로 딸려 보냈다.

百里傒亡秦走宛,楚鄙人執之。
백리혜는 나라에서 으로 도망쳤는데초나라 변경 사람이 붙잡았다.

繆公聞百里傒賢,欲重贖之,恐楚人不與,乃使人謂楚曰:
「吾媵臣百里傒在焉,請以五羖羊皮贖之。」。
백리혜가 현명함을 들은 진 목공은 비싸게 속죄금을 치르려 하였으나초나라 임금이 내주지 않을까 걱정하여초나라에 사람을 보내 전하기를,
나의 媵臣인 백리혜가 거기에 있는데검정 숫양의 가죽 다섯 장을 몸값으로 치르고자 한다.”라고 하였다.

楚人遂許與之。
초나라 임금이 이를 받아들여 백리혜를 보내주었다.

當是時,百里傒年已七十餘。
이때 백리혜의 나이는 이미 70이 넘었다.

晉 獻公 : 나라의 19대 군주. 호색하여 부친의 첩 齊姜과 정을 통해 태자 申生을 낳은 것을 비롯해 여러 명의 첩에서 많은 자식들을 얻었는데, 驪戎을 정벌하고 취한 驪姬를 총애한 나머지 신생을 폐하고 여희 소생의 奚齊를 태자로 책봉하여 그의 사후 진나라는 공실 내분으로 혼란에 빠졌다.
晉獻公滅虞, : 기원전 655년 진나라가 괵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우나라에 길을 빌려 달라고 하여 괵나라를 멸망시키고 돌아오는 길에 우나라를 습격하여 멸망시켰다. <사기 권39. 晋世家>
百里傒 : 百里奚. 춘추시대 나라 출신으로 자는 井伯이다. 百里氏로도 불린다. 일설에는 성이 씨이고 이름은 , 자가 라고도 한다. 우나라의 大夫로 있다가 晉獻公이 우나라를 멸망시키자 포로가 되어 나라에 들어왔다. 나라가 穆姬나라에 시집보낼 때 陪臣으로 따라갔다가 나라 땅으로 달아났다는데 초나라 사람에게 잡혔다.
秦穆公이 소식을 듣고 五羖羊皮(검은 양 다섯 마리의 가죽)를 속죄금으로 주고 데려와서 국정을 맡겼다. 이로 인해 五羖大夫로도 불린다. 이때 그의 나이 일흔이었다. 蹇叔을 목공에게 추천하고, 由餘 등과 함께 목공이 패업을 성취하도록 도왔다.
: 고대 제후의 딸이 시집갈 때 데리고 가던 하인이나 몸종.
: 邊境.
羖羊 : 검은 양.

 

繆公釋其囚,與語國事。
목공은 백리혜를 풀어주고 그와 함께 국사를 의논하고자 하였다.

謝曰:
「臣亡國之臣,何足問!」
백리혜가 사양하며 말하였다.
저같이 망한 나라의 신하에게 무슨 물으실 게 있겠습니까!”

繆公曰:
「虞君不用子,故亡,非子罪也。」
목공이 말하였다.
나라 군주가 그대를 기용하지 않아서 망하였지그대의 죄가 아니잖소.”

固問,語三日,繆公大說,授之國政,號曰五羖大夫。
고집스럽게 질문하여 사흘 동안 문답하고목공은 크게 기뻐하며 그에게 국정을 맡기고 五羖大夫로 불렀다.

五羖大夫 : 양 가죽 다섯 장으로 모셔 온 대부라는 뜻.

 

百里傒讓曰:
「臣不及臣友蹇叔,蹇叔賢而世莫知。
臣常游困於齊而乞食铚人,蹇叔收臣。
臣因而欲事齊君無知,蹇叔止臣,臣得脫齊難,遂之周。
周王子穨好牛,臣以養牛干之。
及穨欲用臣,蹇叔止臣,臣去,得不誅。
事虞君,蹇叔止臣。
臣知虞君不用臣,臣誠私利祿爵,且留。
再用其言,得脫,一不用,及虞君難:
是以知其賢。」
백리혜는 사양하며 말하였다.
신은 신의 친구인 蹇叔만 못하오나건숙이 현명한데도 세상에 알아주는 사람이 없습니다.
신이 일찍이 벼슬을 구하러 다니다가 제나라에서 곤경에 빠져 이란 곳의 사람에게 구걸할 때 건숙이 신을 거두어주었습니다.
신이 제나라 군주 公孫無知를 섬기려 하자 건숙이 말려서덕분에 신은 제나라의 내란에서 벗어나서 주나라로 갔습니다.
주나라의 왕자 가 소를 좋아하기에신은 소를 기르는 재주로 벼슬을 구하려 하였습니다.
왕자 퇴가 신을 기용하려고 했으나건숙이 신을 말려서 신이 떠나는 바람에 죽음을 면할 수 있었습니다.
나라의 군주를 섬기려 할 때도 건숙이 신을 말렸습니다.
신은 우나라 군주가 신을 기용하지 않을 것임을 알았지만녹봉과 작위를 탐내어 잠시 머물렀습니다.
두 번은 그의 말을 들어서 재난에서 벗어났고한 번은 듣지 않아서 우나라 군주의 재난에 미쳤습니다.
이를 보면 그가 현명한 줄 알 수 있습니다.”

於是繆公使人厚幣迎蹇叔,以為上大夫。
이에 목공은 사람을 보내 후한 예물을 갖추어 건숙을 맞아들여 上大夫에 임명하였다.

: 일찍이.
: 관직을 구하러 돌아다니다.
蹇叔 : 제나라 출신의 현인. 百里奚의 비범함을 첫눈에 간파하고 그를 오랫동안 거두어줌. 백리해가 주인을 찾아 나설 때마다 신중할 것을 거듭 충고했고, 백리혜가 秦穆公에게 발탁되자 그의 추천으로 역시 진목공을 섬기었다.
齊難 : 제나라의 내란. 기원전 686년에 公孫無知가 양공을 죽이고 군주가 된 사건을 말한다.
: 구하다. 봉록과 작위를 구하다.
得不誅 :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 주 혜왕 4(기원전 673), 정백과 괵숙이 협력해 자퇴와 그 일당 다섯 대부를 죽이고 혜왕을 복위시킨 사건을 말한다.

 

秋,繆公自將伐晉,戰於河曲。
그해 가을秦繆公이 몸소 군대를 이끌고 나라 정벌에 나서서河曲에서 교전하였다.

晉驪姬作亂,太子申生死新城,重耳、夷吾出奔。
나라의 驪姬가 일으킨 으로 태자 申生이 新城에서 죽었고公子 重耳와 夷吾는 달아났다.

: 나라 무왕의 아들 唐叔 姬虞가 시조라고 전해지며 나라와 같은 姬姓의 제후국이다. 기원전 745~678년 동안 유력 世卿家曲沃의 영주와 國都(후에 으로 개명)에 위치한 公室이 대립하다가, 晉武公에 의해 양 세력이 통합되면서 일시 안정을 되찾았다. 그러나 바로 뒤인 晉獻公晉惠公 시기에 여희의 난으로 정쟁이 끊이지 않아 혼란스럽다가, 내란 끝에 즉위한 文公 나라는 제후 간 회맹의 覇者가 되어 나라의 桓公과 더불어 춘추오패의 대표로 취급되었다.
문공 때부터 수십 년간 진나라는 나라의 세력과 항쟁을 계속했으며, 기원전 6세기 중기에는 국내 귀족인 ·中行····六卿의 권력이 강해져 결국 ··3씨가 남아 나라가 분리되었다. 기원전 403三晉이 정식으로 제후의 인정을 받게 되었고 기원전 376년에 이르러 나라는 멸망하였다.<사기 권39 晉世家>
驪姬 : 春秋時代 晉 獻公이다. 원래는 이민족인 驪戎 군주의 딸이었는데, 헌공이 驪戎을 정벌하였을 때 사로잡혀 동생과 함께 헌공의 後宮이 되었다. 헌공의 총애를 받아 왕비가 된 뒤, 태자인 申生을 모함하여 죽이며 정치에 혼란을 가져왔다. 자신의 자식인 奚斉를 태자로 삼으려고 태자인 申生을 비롯해 重耳, 夷吾 등을 모함하여 차례로 죽이려 하였다. 결국 태자인 신생은 죽었고, 晉 獻公이 자신의 두 아들인 중이와 이오를 공격하는 상황까지 벌어지면서 나라의 정치는 큰 혼란에 빠졌다. <춘추좌씨전 魯僖公 上 4, 기원전 656>
太子申生死新城 : 12戊申日에 태자가 新城에서 스스로 목매어 죽었다.<춘추좌씨전 魯僖公 上 4, 기원전 656>
重耳 : 晉 文公 重耳. 춘추시대 五覇의 한 사람이다. 나라의 군주인 아버지 献公驪戎을 토벌하고 잡아온 寵妃驪妃를 특히 사랑하여, 여비의 소생인 奚齐를 후계자로 삼고자 태자 申生을 죽이고, 重耳와 그의 동생 夷吾를 추방하였는데, 중이는 으로 도망하여 국외에서 19년을 지내다가 義兄이 되는 秦 穆公의 원조로 으로 돌아와 62세에 즉위하였다.
重耳,夷吾出奔 : 重耳蒲城으로 도망가고, 夷吾屈邑으로 도망갔다. <춘추좌씨전 魯僖公 上>

九年,齊桓公會諸侯於葵丘。
진 목공 9(기원전 651), 齊 桓公이 葵丘에서 제후들과 회맹하였다.

: 회맹하다.
葵丘 : 나라의 襄王 원년(기원전 651)나라의 葵丘(하남성 開封의 동쪽)에 제후들이 모여 상호의 주권존중과 질서유지를 약속시켰다. 이 모임에 주나라 양왕의 사자로서 周公이 참석하여 제 환공의 패자로서 입장이 확립되었다.

 

晉獻公卒。
晉獻公이 죽었다.

立驪姬子奚齊,其臣里克殺奚齊。
여희의 아들 奚齊를 옹립했으나 그의 신하인 里克이 해제를 죽였다.

荀息立卓子,克又殺卓子及荀息。
荀息이 卓子를 옹립했으나 이극이 또 탁자와 순식을 죽였다.

夷吾使人請秦,求入晉。
이오는 나라에 사람을 보내 나라로 돌아갈 수 있게 도와달라고 청하였다.

於是繆公許之,使百里傒將兵送夷吾。
이에 秦繆公은 이를 받아들여 백리혜에게 군대를 거느리고 이오를 호송하게 하였다.

里克 : 晉 獻公의 책사이자 권신. 무공과 전략에 뛰어나서 진헌공 시기에 ·을 정벌하는 데 절대적인 공을 세웠다. 이극은 나중에 驪姬奚齊卓子를 죽이고 망명 중인 夷吾를 불러들여 진나라의 위기를 바로잡는데 헌신하였으나 晉惠公 이오에 의해 賜死되었다.
荀息 : 나라의 老臣. 晉 獻公에게서 驪姬 소생인 亥齊를 보필하라는 遺命을 받고, 초지일관으로 임무를 완수하려 했으나, 여희 일당의 전횡에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킨 里克丕鄭父 일파에 의해 피살되었다.
卓子 : 晉 獻公庶子驪姬의 여동생이 낳았다. 헌공이 죽자 荀息奚齊를 왕으로 옹립했는데 里克이 해제를 죽였다. 순식이 탁자를 다시 세우자 이극이 탁자와 순식을 죽였다.

 

夷吾謂曰:
「誠得立,請割晉之河西八城與秦。」
夷吾가 나라에 말하였다.
만일 내가 즉위하면나라 河西의 여덟 개 성을 떼어 나라에 주겠소.”

及至,已立,而使丕鄭謝秦,背約不與河西城,而殺裏克。
이오는 귀국하여 즉위한 후丕鄭을 나라에 보내어 감사의 뜻을 전했지만약속을 어기고 河西의 성을 주지 않았으며裏克을 죽였다.

丕鄭聞之,恐,因與繆公謀曰:
「晉人不欲夷吾,實欲重耳。
今背秦約而殺裏克,皆呂甥、郤芮之計也。
願君以利急召呂、郤,呂、郤至,則更入重耳便。」
비정은 이 소식을 듣고 두려워서 목공과 대책을 논의하였다.
나라 사람들은 이오가 아니라 사실은 重耳가 군주가 되기를 바랍니다.
지금 나라와의 약속을 어기고 이극을 죽이니모두 呂甥과 郤芮의 계략입니다.
군주께서는 재물로 여생과 극예를 급히 불러들이고 여생과 극예가 오면다시 重耳를 입국시키는 것이 낫겠습니다.”

夷吾 : 晉惠公. 춘추시대 진나라의 군주로 이름은 夷吾이며, 獻公의 셋째 아들이다. 헌공이 총희 驪姬의 참언으로 태자 申生이 자살하자 자신에게도 위해가 닥칠 것을 두려워해 나라로 달아났다. 여희의 소생 奚齊가 즉위하자, 신하 里克이 해제와 卓子를 죽이고 그를 맞았다. 秦 繆公에게 河西의 땅을 주겠다면서 귀국하기를 부탁하였다.
丕鄭 : 나라의 대부로 이극의 거사를 도왔다.
重耳 : 晉 文公. 성은 이고, 이름은 重耳이다. 춘추시대 나라의 22대 군주로 晉獻公의 아들이고, 모친은 狐姬이다. 진헌공의 애첩인 驪姬의 난으로 국외로 도피하여 19년 동안 망명생활을 하였다. 기원전 636년에 秦穆公의 지지하에 나라로 돌아와 晉懷公(진혜공의 아들)을 죽이고 군주가 되었다.
: 감사하다.

 

繆公許之,使人與丕鄭歸,召呂、郤。
목공이 허락하고 사신을 비정과 함께 돌려보내어 여생과 극예를 불러오게 하였다.

呂、郤等疑丕鄭有閒,乃言夷吾殺丕鄭。
여생과 극예 등은 丕鄭이 이간질한다고 의심하여이를 이오에게 보고하여 비정을 죽였다.

丕鄭子丕豹奔秦,說繆公曰:
「晉君無道,百姓不親,可伐也。」
비정의 아들 丕豹가 나라로 달아나 목공에게 권하여 말하였다.
나라 군주가 無道하여 백성들이 따르지 않으니 정벌해야 합니다.”

繆公曰:
「百姓茍不便,何故能誅其大臣?
能誅其大臣,此其調也。」
목공이 말하였다.
백성이 정말 탐탁지 않게 여긴다면어찌 大臣을 죽일 수 있겠는가?
자기 대신을 죽일 수 있는 것은 백성이 협조하기 때문이다.”

不聽,而陰用豹。
비표의 말을 듣지 않았으나 남몰래 丕豹를 기용하였다.

: 이간하다.
: 진실로. 참으로.

 

十二年,齊管仲、隰朋死。
목공 12(기원전 648), 나라의 管中과 隰朋이 죽었다.

 

晉旱,來請粟。
나라에 가뭄이 들자나라에 식량을 요청했다.

丕豹說繆公勿與,因其饑而伐之。
丕豹는 목공에게 식량을 주지 말고 굶주림을 틈타서 정벌하라고 권하였다.

繆公問公孫支,支曰:
「饑穰更事耳,不可不與。」
목공이 公孫支에게 물으니 공손지가 말하였다.
기근과 풍년은 번갈아 일어나는 일이니 주지 않을 수 없습니다.”

問百里傒,傒曰:
「夷吾得罪於君,其百姓何罪?」
백리혜에게 물으니 백리혜가 대답하였다.
이오가 군주께 죄를 지은 것이지 그의 백성이야 무슨 죄가 있습니까?”

於是用百里傒、公孫支言,卒與之粟。
그리하여 백리혜와 공손지의 말에 따라 결국 식량을 내주었다.

以船漕車轉,自雍相望至絳。
배와 수레로 운반했는데 에서 까지 줄줄이 이어졌다.

: 유세하다. 권유하다.
: 틈타서.
饑穰 : 기근과 풍년.
更事 : 번갈아 일어나는 일.
船漕 : 배로 운반하다.

十四年,秦饑,請粟於晉。
진 목공 14(기원전 646), 나라에 기근이 들어 나라에 식량을 요청하였다.

晉君謀之群臣。
나라 惠公가 신하들과 이 일을 상의하였다.

虢射曰:
「因其饑伐之,可有大功。」
괵석(虢射)이 말하였다.
기근을 틈타 토벌하면 큰 공을 이룰 수 있을 터입니다.”

晉君從之。
나라 군주가 그 말을 따랐다.

十五年,興兵將攻秦。
목공 15(기원전 645), 나라 군주가 군대를 일으켜 이끌고 나라를 공격하였다.

繆公發兵,使丕豹將,自往擊之。
목공도 군대를 일으켜 丕豹를 장수로 삼아 몸소 공격에 나섰다.

괵석(虢射) : 춘추 시대 나라의 大夫.
丕豹 : 나라의 대부 丕鄭의 아들.

 

九月壬戌,與晉惠公夷吾合戰於韓地。
진 목공은 9월 壬戌日나라 惠公 夷吾와 나라의 韓原에서 싸웠다.

晉君棄其軍,與秦爭利,還而馬騺。
나라 군주가 자신의 군대를 뒤로한 채 홀로 진격하여 나라 군사와 재물을 쟁탈하다가오히려 말이 진흙에 빠지고 말았다.

繆公與麾下馳追之,不能得晉君,反為晉軍所圍。
목공과 그의 부하가 나라 군주를 추격했으나 잡지 못하고오히려 나라 군대에게 포위당하였다.

晉擊繆公,繆公傷。
나라 군사들이 목공을 공격하니 목공이 負傷을 입었다.

於是岐下食善馬者三百人馳冒晉軍,晉軍解圍,遂脫繆公而反生得晉君。
이때 기산에서 목공의 좋은 말을 훔쳐서 잡아먹었던 300의 백성이 위험을 무릅쓰고 나라 군대로 돌진하여 포위를 풀어주어목공을 위기에서 벗어나게 하고 거꾸로 나라 군주를 사로잡았다.

: 나라의 韓原
棄其軍 : 휘하 부대를 놔두고 혼자 진격하다.
: 오히려. (’)과 통용된다.
: 무겁다. 혜공의 병거를 끄는 말이 깊은 수렁에 빠졌다.<國語 晉語 三卷>
麾下 : 부하.

 

初,繆公亡善馬,岐下野人共得而食之者三百餘人,吏逐得,欲法之。
당초에 목공이 좋은 말을 잃은 적이 있었는데기산의 촌사람 중 함께 말을 잡아먹은 300여 명을 관리가 체포하여 처벌하려 하였다.

繆公曰:
「君子不以畜產害人。
吾聞食善馬肉不飲酒,傷人。」
목공이 말하였다.
군자는 짐승 때문에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
내가 듣기에 좋은 말고기를 먹으면서 술을 마시지 않으면 사람이 상한다고 하였다.”

乃皆賜酒而赦之。
이에 모두에게 술을 내리고 사면하였다.

三百人者聞秦擊晉,皆求從,從而見繆公窘,亦皆推鋒爭死,以報食馬之德。
이들 300명은 나라가 나라를 친다는 소식을 듣고모두 종군하기를 요청하였으며종군하여 목공이 窘乏함을 보자 모두 무기를 들고 필사적으로 싸워서말을 잡아먹고도 용서받은 은덕에 보답한 것이다.

於是繆公虜晉君以歸,令於國,齊宿,吾將以晉君祠上帝。
이에 목공은 진나라 군주를 포로로 잡고 돌아와서전국에 명령을 내리기를
모두들 목욕재계하고 쉬도록 해라내가 진나라 국군을 제물로 하늘에 제사를 올리겠다.’라고 하였다.

周天子聞之,曰
「晉我同姓」
周天子가 이 소식을 듣고는 말하였다.
진나라는 나와 같은 의 나라이다.”

為請晉君。
이를 이유로 진나라 군주를 용서하기를 청하였다.

: 잃다.
野人 : 촌사람.
法之 : 그들을 법으로 다스리다.
畜産 : 가축.
推鋒 : 무기를 들다. 적진으로 돌격하여 들어가다.
爭死 : 필사적. 서로 죽기를 다툼.
齊宿 : 재계하고 혼자 자다. 는 재계할 ’.
同姓 : 나라는 나라 무왕의 아들 唐叔 姬虞가 시조로 같은 姬姓이다.
: 그래서. 이 때문에.
請晉君 : 진나라 군주를 용서하기를 청하다.

 

夷吾姊亦為繆公夫人,夫人聞之,乃衰绖跣,曰:
「妾兄弟不能相救,以辱君命。」
晉 惠公의 누이는 繆公의 부인이었는데 이 소식을 듣고는상복을 입은 채 맨발로 달려와 말하였다.
소첩이 평소 형제를 서로 돌볼 수 없어군주의 명령을 욕되게 하였습니다.”

繆公曰:
「我得晉君以為功,今天子為請,夫人是憂。」
목공이 말하였다.
내가 진나라 군주를 잡아 공을 이루나 했는데지금 천자는 용서를 청하고 부인은 걱정하는구려.”

乃與晉君盟,許歸之,更舍上舍,而饋之七牢。
이에 나라 군주와 맹약을 한 다음 그를 돌려보내는 것을 허락하고다시 숙소를 좋은 곳으로 옮기고 소돼지 각각 일곱 마리씩을 보내주었다.

十一月,歸晉君夷吾,夷吾獻其河西地,使太子圉為質於秦。
11월에 나라 군주 이오를 돌려보냈고이오는 하서 지역을 바치는 한편 태자 를 나라에 인질로 보내게 하였다.

秦妻子圉以宗女。
나라는 종실의 딸을 의 아내로 삼게 하였다.

是時秦地東至河。
이 무렵 나라의 땅은 동쪽으로 황하까지 이르렀다.

夷吾姊亦為繆公夫人 : 목공 4(기원전 656), 목공이 나라에서 아내를 맞아들였는데, 그녀는 나라의 태자 申生의 누이였다. 夷吾는 신생의 동생이다.
衰绖 : 상복. 는 상복 ’. ()은 상복을 입을 때 머리에 쓰는 首絰과 허리에 감는 腰絰.
: 맨발.
為請 : 이오를 대신해 용서를 바라다.
更舍 : 숙소를 변경하다.
: 음식을 보내다.
七牢 : , , 돼지 각 한 마리를 ‘1라고 한다. 칠뢰는 후한 음식을 보낸 것을 말한다.
為質 : 담보로 하다.
: 결혼하다.
宗女 : 종실의 딸. 왕족의 딸.

 

十八年,齊桓公卒。
목공 18(기원전 642), 제환공이 죽었다.

二十年,秦滅梁、芮。
목공 20(기원전 640), 나라가 나라와 나라를 멸망시켰다.

 

二十二年,晉公子圉聞晉君病,曰:
「梁,我母家也,而秦滅之。
我兄弟多,即君百歲後,秦必留我,而晉輕,亦更立他子。」
목공 22(기원전 638), 나라 공자 가 나라 군주가 병이 들었다는 소식을 듣고 말하였다.
나라는 어머니의 나라인데 나라가 멸망시켰다.
나한테는 형제가 많아 만약 군주가 돌아가시면 나라가 틀림없이 나를 억류할 것이고나라도 나를 업신여겨 역시 다른 아들로 바꾸어 옹립할 터이다.”

子圉乃亡歸晉。
이에 공자 어는 도망하여 나라로 돌아갔다.

二十三年,晉惠公卒,子圉立為君。
목공 23(기원전 637), 晉惠公이 죽고 공자 가 군주가 되었다.

秦怨圉亡去,乃迎晉公子重耳於楚,而妻以故子圉妻。
나라는 가 도망친 것을 원망하며나라 공자 重耳를 초나라에서 맞아들이고이전의 의 아내를 중이의 아내로 삼았다.

重耳初謝,後乃受。
重耳가 처음에는 사양했으나 나중에는 받아들였다.

繆公益禮厚遇之。
목공은 더욱 후한 예물로 중이를 예우하였다.

晉公子圉 : 晉懷公. 춘추시대 나라의 군주이며, 이름은 이고, 惠公의 아들이다. 나라에 인질로 갔다가 혜공이 병든 소식을 듣고 달아나 돌아왔다. 즉위한 뒤 秦穆公에 앙심을 품고 公子 重耳를 요구하면서 군사를 일으켜, 진나라 국경으로 쳐들어갔다. 중이가 사람을 시켜 高梁에서 회공을 죽였다. 재위 기간은 고작 5개월이었다.
我母家也 : 공자 의 어머니가 梁伯의 딸이다.
即百歲後 : 만약 죽은 뒤. 百歲後百歲之後로 지체 높은 사람이 죽은 뒤의 뜻. 은 만약.
은 가설접속사로 쓰인다. “만약 한다면
子即反國, 何以報寡人? 史記 晉世家
그대가 만약 귀국하여 진나라의 군주가 된다면, 과인에게 무엇으로 보답하겠습니까?
朔之婦有遺腹. 若幸而男, 吾奉之; 即女也, 吾徐死耳. 史記 趙世家
조삭의 부인께서 회임 중이십니다. 만약 요행히 남아를 분만하시면, 제가 곧 모실 것이고; 만약 여아를 낳으신다면, 저는 서서히 죽음을 맞이할 뿐이지요.

[한문의 허사] - 한문의 허사(虛詞) 卽

二十四年春,秦使人告晉大臣,欲入重耳。
목공 24년 봄(기원전 636), 나라가 사신을 보내서나라의 대신들에게 重耳를 귀국시키려 한다고 알렸다.

晉許之,於是使人送重耳。
나라가 이를 받아들이자 이에 중이를 호송케 하였다.

二月,重耳立為晉君,是為文公。
2중이가 진나라 군주로 즉위하니 그가 곧 문공(文公)이다.

文公使人殺子圉。
문공은 사람을 시켜 子圉를 죽였다.

子圉是為懷公。
자어가 바로 晉懷公이다.

 

其秋,周襄王弟帶以翟伐王,王出居鄭。
그해 가을周襄王의 동생 가 의 군대로 양왕을 공격하자양왕은 도망하여 나라에 머물렀다.

二十五年,周王使人告難於晉、秦。
목공 25(기원전 635), 주양왕이 나라와 나라에 사신을 보내 兵亂이 났음을 알렸다.

秦繆公將兵助晉文公入襄王,殺王弟帶。
목공이 군대를 이끌고 晉文公을 도와서 양왕을 귀국시키고 양왕의 동생 대를 죽였다.

二十八年,晉文公敗楚於城濮。
목공 28(기원전 632), 晉文公이 城濮에서 초나라 군대를 무찔렀다.

襄王 : 周襄王. 주나라의 제18대 왕으로, 성은 , 이름은 이다. 주혜왕의 아들이다. 아버지 혜왕이 전처의 사후에 후처(혜후)와의 사이에 태어난 자대(숙대)를 총애했으므로, 양왕은 왕위 계승이 이복동생에게 갈까 걱정하였다. 혜왕 25(기원전 652), 혜왕이 죽자 당시의 패자인 제의 환공에게 사자를 보내 그 지원을 얻어 즉위하였다.
叔帶 : 子帶 또는 王子 帶. 太叔 帶로도 불린다. 周惠王의 막내아들이고, 周 襄王의 이복동생이다. 食邑이 있어 甘昭公으로도 불린다. 혜공이 太子 鄭을 폐하고 그를 태자로 삼으려고 하다가 齊桓公 등의 제지를 받았다. 혜왕이 죽은 뒤 태자 정이 양왕이 되었다. 戎狄과 양왕을 칠 것을 모의하고 왕성을 공격하였다. 나라와 나라가 와서 구원하자 제나라로 달아났다. 다시 난을 일으키다가 晉文公에게 살해당하였다.

 

三十年,繆公助晉文公圍鄭。
목공 30(기원전 630), 목공이 晉文公을 도와 나라를 포위하였다.

鄭使人言繆公曰:
「亡鄭厚晉,於晉而得矣,而秦未有利。
晉之彊,秦之憂也。」
정나라가 목공에게 사신을 보내 말하였다.
정나라가 망하면 나라가 강대해지므로 나라에는 득이 되지만 나라에는 이익이 없습니다.
나라의 强盛은 나라의 걱정거리입니다.”

繆公乃罷兵歸。
이에 목공이 곧 군사를 거두어 돌아갔다.

晉亦罷。
나라도 군대를 철수시켰다.

三十二年冬,晉文公卒。
32(기원전 628겨울晉文公이 죽었다.

厚晋 : 진나라가 강대해지다.

 

鄭人有賣鄭於秦曰:
「我主其城門,鄭可襲也。」
정나라 사람이 나라에 정나라를 팔아넘기려고 하면서 말하였다.
내가 성문을 관리하고 있으니 정나라를 습격할 수 있습니다.”

繆公問蹇叔、百里傒,對曰:
「徑數國千里而襲人,希有得利者。
且人賣鄭,庸知我國人不有以我情告鄭者乎?
不可。」
목공이 蹇叔과 百里傒에게 이 일에 관하여 물으니대답하였다.
여러 나라를 거쳐 천 리 길을 지나 습격하는 일은 득이 될 것이 거의 없습니다.
게다가 누군가가 정나라를 팔아넘기려 하는데우리나라 사람 중에 우리의 정세를 정나라에 밀고하는 자가 없다고 어찌 알겠습니까?
불가합니다.”

: 정나라는 기원전 806, 주여왕의 아들이자 주선왕의 동생인 정환공 가 서주의 기내에 있는 땅에 봉해짐으로써 세워졌다. 에 의해 기원전 375년에 멸망하였다.
賣鄭於秦 : 秦穆公大夫 杞子를 파견해 나라를 지키게 했었으며, 杞子가 정나라에서 사람을 보내어 나라에 고하기를 정나라 사람이 우리에게 北門의 열쇠를 맡겼으니, 은밀히 군사를 이끌고 온다면 나라를 얻을 수 있다.”라고 하였다.<춘추좌전·僖公 32>
: 지나다.
: 와 같다. 드물다. 적다.
: 어찌.

 

繆公曰:
「子不知也,吾已決矣。」
목공이 말하였다.
그대들은 모르오내가 이미 결정했소이다.”

遂發兵,使百里傒子孟明視,蹇叔子西乞術及白乙丙將兵。
마침내 군대를 일으켜 백리혜의 아들 孟明視건숙의 아들 西乞秫과 白乙丙에게 군사를 이끌게 하였다.

行日,百里傒、蹇叔二人哭之。
출병하는 날백리혜와 건숙 두 사람이 통곡하였다.

繆公聞,怒曰:
「孤發兵而子沮哭吾軍,何也?」
목공이 이를 듣고 노하여 말하였다.
내가 출병하는데 그대들은 곡을 하며 군사를 가로막으니무엇 때문이오?”

二老曰:
「臣非敢沮君軍。
軍行,臣子與往;
臣老,遲還恐不相見,故哭耳。」
두 노인이 말하였다.
신들이 감히 군주의 군대를 가로막으려는 것이 아닙니다.
출병하면 신들의 자식들도 함께 떠나게 됩니다.
신들은 늙어서 자식들이 늦게 돌아오면 서로 볼 수 없을까 걱정이 되어서곡할 뿐입니다.”

二老退,謂其子曰:
「汝軍即敗,必於殽阨矣。」
두 노인이 물러 나와서 자식들에게 말하였다.
너희 군대가 패한다면 틀림없이 殽山의 요새일 터이다.”

: 왕이 자신을 가리키는 겸칭.
: 저지하다. 막다.
: 殽山. 지금의 함곡관이라고도 한다. 결국 나라 군대가 殽山에서 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나라 장수 白乙丙, 西乞術, 孟明視를 사로잡았다.

 

三十三年春,秦兵遂東,更晉地,過周北門。
목공 33(기원전 627나라 군대는 동쪽으로 진군하여 나라를 거쳐 주나라의 도성 북문을 지났다.

周王孫滿曰:
「秦師無禮,不敗何待!」
주나라 대부 王孫 滿이 말하였다.
나라 군사가 무례하니패하지 않고 무엇을 기다리겠는가!”

兵至滑,鄭販賣賈人弦高,持十二牛將賣之周,見秦兵,恐死虜,因獻其牛,曰:
「聞大國將誅鄭,鄭君謹修守御備,使臣以牛十二勞軍士。」
진나라 군대가 滑邑에 도착했을 때정나라의 상인 弦高가 소 열두 마리를 끌고 주나라로 팔러 가다가진나라 군대를 보고죽거나 포로가 될까 두려워하여자신의 소를 바치면서 말하였다.
제가 듣기에 대국이 정나라를 토벌한다고 하여정나라 군주가 방비를 단단히 하고는신에게 이 소 열두 마리로 병사들을 위로하라고 하셨습니다.”

秦三將軍相謂曰:
「將襲鄭,鄭今已覺之,往無及已。」
진나라의 세 장군이 서로에게 말하였다.
정나라를 습격하려는 것을 정나라가 이미 알아챘으니가봤자 성공할 수 없을 터이오.”

滅滑。滑,晉之邊邑也。
이에 滑邑을 멸망시켰다滑邑은 나라 변경의 읍이다.

: 지나가다. 통과하다.
王孫 滿 : 周 共王玄孫. 나라 군대가 나라를 습격하려고 나라를 지나가면서 무례한 행동을 하자, 王孫 滿이 이를 보고는 나라 군대가 반드시 패전할 것임을 예언하였다.<國語 周語 中19. 王孫滿觀秦師>
賈人 : 상인.
: 뜻이 없는 어기사로 와 같다.
: 나라의 同姓 제후로, 지금의 하남성 偃師縣 緱氏城에 도읍했었다.

當是時,晉文公喪尚未葬。
당시 진 문공이 죽었으나 아직 장사지내지 못하고 있었다.

太子襄公怒曰:
「秦侮我孤,因喪破我滑。」
태자 襄公이 성을 내며 말하였다.
나라는 아비 잃은 나를 우습게 여겨 상중을 틈타 우리 滑邑을 쳐부셨다.”

遂墨衰绖,發兵遮秦兵於殽,擊之,大破秦軍,無一人得脫者。
하고는 상복을 검게 물들이고 군대를 일으켜 효산에서 나라 군사를 막아 공격을 가하여 대파하니 나라 군사는 한 사람도 벗어나지 못하였다.

虜秦三將以歸。
나라의 군대는 나라의 세 장군을 포로로 잡아 돌아왔다.

: 아직.
衰绖 : 상복. 는 상복 ’. ()은 상복을 입을 때 머리에 쓰는 首絰과 허리에 감는 腰絰.
虜秦三將 : 나라의 세 장군을 사로잡다. 세 장군은 白乙丙西乞術孟明視를 말한다.

 

文公夫人,秦女也,為秦三囚將請曰:
「繆公之怨此三人入於骨髓,願令此三人歸,令我君得自快烹之。」
晉文公의 부인은 나라 여자였기에 포로로 잡혀 온 나라의 세 장군을 위하여 말하였다.
목공의 이 세 사람에 대한 원망이 골수에 사무칠 터이니이들을 돌려보내 우리나라 군주 목공이 통쾌하게 삶아 죽이도록 하시지요.”

晉君許之,歸秦三將。
晉襄公이 허락하여 세 장수를 으로 돌려보냈다.

三將至,繆公素服郊迎,向三人哭曰:
「孤以不用百里傒、蹇叔言以辱三子,三子何罪乎?
子其悉心雪恥,毋怠。」
세 장수가 도착하자목공은 소복을 입고 교외에서 맞이하며 세 사람을 향하여 울면서 말하였다.
내가 백리혜와 건숙의 말을 듣지 않아 그대 세 사람이 굴욕을 당했으니세 사람에게 무슨 죄가 있겠는가?
그대들은 설욕을 위해 온 마음을 다하고결코 태만하지 마시오.”

遂復三人官秩如故,愈益厚之。
하고는 세 사람의 관직과 녹봉을 전처럼 회복시키고 더욱 후하게 대하였다.

文公夫人 : 文嬴. 나라가 종실의 딸을 (진회공)의 아내로 삼게 했으며, 나라 공자 重耳(진문공)를 맞아들이고 이전의 어의 아내를 중이의 아내로 삼았다. 즉 문공부인은 晉襄公의 어머니이다.
: 통쾌.
悉心 : 전심. 마음을 다함.
雪恥 : 치욕을 씻다. 설욕하다.
官秩 : 官爵과 봉록.

 

三十四年,楚太子商臣弒其父成王代立。
목공 34(기원전 626), 초나라 태자 商臣이 아버지 成王을 시해하고 군주에 올랐다.

楚太子商臣 : 초나라 태자 상신. 후일의 楚穆王으로 熊氏이고, 이름은 商臣이며, 成王의 아들이다. 태자로 있을 때 폐위될까 두려워 宮衛兵으로 성왕을 포위하고 아버지를 자살하게 한 뒤 왕위에 올랐다.

 

繆公於是復使孟明視等將兵伐晉,戰于彭衙。
이 무렵 목공이 다시 孟明視 등에게 군대를 이끌고 을 공격하게 하니彭衙에서 교전하였다.

秦不利,引兵歸。
나라 군대는 전세가 불리하자철군하여 돌아왔다.

 

戎王使由余於秦。
西戎의 왕이 由余를 나라에 사신으로 보냈다.

由余,其先晉人也,亡入戎,能晉言。
유여는 그의 선조가 나라 사람으로 융으로 도망하였기에진나라 말을 할 줄 알았다.

聞繆公賢,故使由余觀秦。
융왕은 목공이 현명하다는 소문을 듣었기 때문에유여를 보내어 나라를 살피게 한 것이다.

秦繆公示以宮室、積聚。
진 목공은 궁실과 쌓아 놓은 재물을 보여주었다.

由余曰:
「使鬼為之,則勞神矣。
使人為之,亦苦民矣。」
유여가 말하였다.
귀신에게 시켰더라도 힘들어할 터입니다.
하물며 사람에게 시켰으니 백성 역시 고달팠을 터입니다.”

繆公怪之,問曰:
「中國以詩書禮樂法度為政,然尚時亂,今戎夷無此,何以為治,不亦難乎?」
목공이 괴이하게 생각하여 물었다.
중원의 각 나라들은 法度로 나라를 다스리지만그래도 수시로 난이 일어나는데지금 戎夷에는 이런 것들이 없으니 무엇으로 나라를 다스리나어렵지 않은가?”

戎王 : 西戎의 군주. 서융은 옛날 중국의 서북쪽 변방에 살던 戎族의 총칭이다.
由余 : 춘추시대 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由余. 원래 선조가 나라의 사람이었는데 에 망명하였다가 秦 穆公에게 上卿으로 등용되어 나라가 西戎을 정벌하도록 도왔으며 목공의 패업을 도왔다.
尚時 : 오히려 항상. 는 항상.

 

由余笑曰:
「此乃中國所以亂也。
夫自上聖黃帝作為禮樂法度,身以先之,僅以小治。
及其後世,日以驕淫。
阻法度之威,以責督於下,下罷極則以仁義怨望於上,上下交爭怨而相篡弒,至於滅宗,皆以此類也。
夫戎夷不然。
上含淳德以遇其下,下懷忠信以事其上,一國之政猶一身之治,不知所以治,此真聖人之治也。」
유여가 웃으며 말하였다.
그것이 바로 중원의 각국에 난이 일어나는 이유입니다.
무릇 옛날 성인 黃帝께서 예악과 법도를 만든 때부터 몸소 앞장섰기에 겨우 다스려진 것입니다.
그 후세는 날로 교만하고 음탕해졌습니다.
법도의 위세에 의지하여 아랫사람을 문책하고 감독하니아랫사람은 극도로 피로해져 윗사람이 인의가 없다고 원망하여상하가 서로 다투고 원망하며 서로 찬탈하고 시해하며 종족이 멸망할 지경에 이르렀으니모두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은 그렇지 않습니다.
윗사람은 순박한 덕으로 아랫사람을 대하고 아랫사람은 충성과 믿음으로 윗사람을 섬기니한 나라의 정치가 마치 자기 한 몸을 다스리는 것 같은데도 다스려지는 까닭을 모르니이것이 바로 성인의 다스림입니다.”

: 의지하다.
責督 : 꾸짖고 감독하다.
罷極 : 지치게 하다. 와 통한다.
所以治 : 다스리는 방법.

 

於是繆公退而問內史廖曰:
「孤聞鄰國有聖人,敵國之憂也。
今由余賢,寡人之害,將奈之何?」
이에 목공은 물러나 內史 王廖에게 말하였다.
내가 듣기에 이웃 나라에 성인이 있는 것이적국으로서는 걱정거리라 하오.
지금 유여의 현명함이 과인의 걱정이니 이를 어찌하면 좋겠소?”

內史廖曰:
「戎王處辟匿,未聞中國之聲。
君試遺其女樂,以奪其志;
為由余請,以疏其閒;
留而莫遣,以失其期。
戎王怪之,必疑由余。
君臣有閒,乃可虜也。
且戎王好樂,必怠於政。」
내사 왕료가 말하였다.
戎王은 외진 곳에 살고 있어서 중원의 음악은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군주께서 시험 삼아 女樂을 보내 그의 마음을 빼앗으십시오.
그리고 由余를 더 머물게 해달라고 요청하여 그들 사이를 멀어지게 하십시오.
유여를 돌아가지 못하게 체류시켜 놓으면 시기를 놓치게 될 터입니다.
그러면 융왕이 이를 이상하게 여겨 틀림없이 유여를 의심할 터입니다.
군주와 신하 사이에 틈이 생기면 그를 포로로 삼을 수 있습니다.
융왕이 음악을 좋아하면 틀림없이 정사를 게을리할 터입니다.”

辟匿 : 외딴 곳.
: 음악.
女樂 : 노래와 춤을 추는 기녀.
奪其志 : 마음을 빼앗다. 마음을 변하게 하다.
疏其閒 : 융왕과 유여의 사이를 멀게 함.

 

繆公曰:
「善。」
목공이 말하였다.
좋다

因與由余曲席而坐,傳器而食,問其地形與其兵勢盡察,而後令內史廖以女樂二八遺戎王。
인하여 목공은 유여와 나란히 앉아 같은 그릇에 음식을 나누어 먹고융의 지형과 병력에 대해 자세히 물었다.
그런 이후에 내사 왕료에게 가무에 능한 16명의 女樂을 융왕에게 보내라고 명령하였다.

戎王受而說之,終年不還。
융왕은 여악을 받고 기뻐하며한 해가 다하도록 장소를 옮기지 않았다.

於是秦乃歸由余。
이에 비로소 나라는 유여를 돌려보냈다.

由余數諫不聽,繆公又數使人閒要由余,由余遂去降秦。
유여가 돌아와 여러 차례 융왕에게 간하였으나 듣지 않았으며목공은 또 여러 차례 사람을 보내 은밀히 유여를 초빙하니 유여는 마침내 융왕을 떠나 나라에 투항하였다.

繆公以客禮禮之,問伐戎之形。
목공은 빈객에 대한 예우로 그를 대우하고 융을 정벌할 형세에 대해 물었다.

위 내용은 <韓非子 十過>에 유사한 내용이 실려 있다.>
曲席 : 나란히 앉다. 연석하다.
女樂二八 : 여악 16. 여악은 노래와 춤을 추는 기생. 二八16.
不還 : 자리를 옮기지 않다. <韓非子·十過>에는 不遷으로 기록하고 있다. “終歲不遷 牛馬半死: 일 년이 지나도록 장소를 옮기지 않으니, 소와 말이 반이나 죽었다.”
閒要由余 : 은밀히 유여를 초빙하다. 은 은밀히, 와 통하여 초청하다’.

 

三十六年,繆公復益厚孟明等,使將兵伐晉,渡河焚船,大敗晉人,取王官及鄗,以報殽之役。
목공 36(기원전 624), 목공은 다시 孟明視 등을 더욱 후대하고그들에게 군대를 이끌고 나라를 공격하게 하니이들은 황하를 건넌 뒤에 타고 온 배를 불태우고 진나라 군대를 대파하여王官과 를 빼앗아 殽山의 패전을 보복하였다.

晉人皆城守不敢出。
나라 사람들은 모두 성을 지키며 감히 나오지 못하였다.

於是繆公乃自茅津渡河,封殽中尸,為發喪,哭之三日。
이에 목공은 몸소 茅津에서 황하를 건너서효산 전투에서 죽은 병사들을 위해서 봉분을 쌓아 장례를 치르고 사흘 동안 곡하였다.

孟明等 : 孟明視 . 맹명시는 백리혜의 아들.
焚船 : 타고 온 배를 불태우다. , 결사적으로 싸우겠다는 의지.
: 봉분하다.

 

乃誓於軍曰:
「嗟士卒!聽無譁,余誓告汝。
古之人謀黃髪番番,則無所過。」
그리고는 군사들에게 맹세하며 말하였다.
병사들이여떠들지 말고 내 말을 들어보라내가 너희에게 맹세하며 고하노라.
옛사람들은 일을 도모할 때 백발노인과 의논하였기에 잘못이 없었다.”

以申思不用蹇叔、百里傒之謀,故作此誓,令後世以記余過。
건숙과 백리해의 의견을 수용하지 않은 것을 거듭 생각하며이렇게 맹세함으로써 자신의 과실을 후세가 기억하게 하였다.

君子聞之,皆為垂涕,曰:
「嗟乎!秦繆公之與人周也,卒得孟明之慶。」
군자들이 이 이야기를 듣고 모두 눈물을 흘리며 말하였다.
진목공의 사람을 대함이 세심하여 결국 맹명시의 경사가 있었구나.”

위 내용은 <書經 周書 秦誓>에 기록되어 있다.
黃髪番番(황발파파) : 番番黃髪. 백발노인. 番番皤皤와 통용된다. 머리가 하얗게 세다.
申思 : 거듭 생각하다. 은 거듭.
垂涕 : 눈물을 흘리다. 울다.
: 周到. 세심하다. 꼼꼼하다.

 

三十七年,秦用由余謀伐戎王,益國十二,開地千里,遂霸西戎。
목공 37(기원전 623), 나라는 유여의 계책을 받아들여 융왕을 토벌하고, 12개의 나라를 토벌하여 영토를 천 리로 개척하여 마침내 서융 지역의 패주가 되었다.

天子使召公過賀繆公以金鼓。
주나라 천자가 召公 過를 보내 목공에게 金鼓를 선물하여 축하의 뜻을 표하였다.

三十九年,繆公卒,葬雍。
목공 39(기원전 621), 목공이 죽자 에 안장하였다.

從死者百七十七人,秦之良臣子輿氏三人名曰奄息、仲行、鍼虎,亦在從死之中。
177명을 순장했는데나라의 어진 신하였던 子輿氏 세 사람 俺息仲行鍼虎 등도 순장된 사람에 포함되었다.

秦人哀之,為作歌黃鳥之詩。
나라 사람들이 이들을 동정하며 黃鳥라는 시를 지어 노래하였다.

召公 過 : 나라의 卿士. 召穆公의 후손으로, 이름은 .
金鼓 : 군중에서 전진·정지·후퇴 등의 군령을 내리는 데 사용한 징 모양의 신호기구.
: 동정하다.
子輿氏 : 시경에는 子車氏로 기록되어 있다.
黃鳥之詩 : 黃鳥<詩經 秦風篇名이다. 꾀꼬리는 가시나무나 뽕나무에 앉아 오고 가는 것을 마음대로 할 수 있으나, 세 사람의 어진 신하는 그렇지 못했음을 가슴 아프게 여겨 지은 시이다.

君子曰:
「秦繆公廣地益國,東服彊晉,西霸戎夷,然不為諸侯盟主,亦宜哉。
死而棄民,收其良臣而從死。
且先王崩,尚猶遺德垂法,況奪之善人良臣百姓所哀者乎?
是以知秦不能復東征也。」
군자들이 말하였다.
진 목공은 영토를 넓히어 나라를 부강하게 했으며동쪽으로는 강대한 나라를 굴복시켰고서쪽으로는 융족을 제패했으나제후의 우두머리가 되지 못한 것도 당연한 일이다.
죽으면서도 백성을 버리고 어진 신하들을 순장시켰기 때문이다.
또한 옛날의 선왕들은 세상을 떠날 때 오히려 도덕과 법도를 남겼는데하물며 백성들이 가엾게 여기는 착한 사람과 어진 신하를 빼앗아 감에 있어서랴?
이로써 나라가 다시 동방을 정벌할 수 없음을 알겠다.”

繆公子四十人,其太子嵤代立,是為康公。
목공에게는 아들이 40명 있었으며태자 이 뒤를 이어 즉위하니 이 사람이 곧 康公이다.

服彊晉 : 강대한 나라를 복종시키다.
遺德垂法 : 도덕과 법도를 남기다.
康公 : 秦康公. 춘추시대 진나라의 군주로 이름은 앵()이고, 穆公의 아들이다.

 

'史記 > 本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기6. 秦始皇本紀1(진시황본기1)  (0) 2023.01.18
본기5. 秦本紀2(진본기2)  (0) 2023.01.12
본기4. 周本紀2(주본기2)  (0) 2023.01.11
본기4. 周本紀1(주본기1)  (1) 2023.01.11
본기3. 殷本紀(은본기)  (1) 2023.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