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6.月下獨酌(월하독작)-李白(이백) 본문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月下獨酌(월하독작) -李白(이백) |
花間一壺酒
꽃 사이에 술 한 병 놓아두고
獨酌無相親
아무도 없이 홀로 술을 따른다
擧杯邀明月
잔을 들어 밝은 달을 부르고,
對影成三人
그림자를 마주보니, 세 사람이 된다
月旣不解飮
달은 원래 음주를 모르고
影徒隨我身
그림자는 그저 내 몸짓만을 따라할 뿐이나
暫伴月將影
잠시나마 달과 그림자와 짝이 되어서
行樂須及春
모름지기 이 봄을 즐겨야하리
我歌月徘徊
내가 노래를 부르면 달은 제자리를 맴돌고,
我舞影零亂
내가 춤을 추면 그림자는 어지러이 일렁인다
醒時同交歡
술 취하기 전엔 함께 기쁨을 나누지만
醉後各分散
술 취한 뒤엔 각기 헤어져 흩어지기에
永結無情遊
정 없는 교유를 길이 맺고자
相期邈雲漢
저 높은 은하수에서 만나길 약속한다
2.通釋
3.解題
이 작품은 홀로 술을 마시는 고독감과 취흥에서 느끼는 自得의 기쁨이 참신한 상상력에 의하여 절묘하게 결합되어 있다. 자신의 그림자를 친구로 대치시키는 발상은 陶淵明의 〈雜詩〉 중 ‘잔을 들어 외로운 그림자에게 권한다.[揮杯勸孤影]’는 시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4.集評
입에서 나오는 것이 모두가 天籟로부터 나온 것이다. 이와 같은 시는 사람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李白의 시구 ‘擧杯邀明月 對影成三人’은 蘇東坡가 그 造句의 공교함을 좋아하여 여러 번 사용하였다.
5.譯註
▶ 間 : ‘下’ 또는 ‘前’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成三人 : 달과 그림자, 그리고 이백 자신이 세 사람을 이룬다는 뜻이다.
▶ 伴月將影 : ‘달과 짝하고 그림자를 이끌고’, 또는 ‘달과 그림자와 짝하다.’로 번역할 수 있다. 將은 ‘이끌다[率]’ 또는 ‘함께[偕]’라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 行樂須及春 : 행락은 시절에 맞춰야 한다는 뜻을 차용한 것으로, 古詩十九首 중 〈生年不滿百〉의 ‘爲樂當及時’와 鮑照의 〈代少年時至衰老行〉 중 ‘作樂當及春’이라는 구절이 있다.
▶ 徘徊 : 머무르며 앞으로 가지 못하는 모습이다.
▶ 零亂 : 바닥에서 어지럽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淩亂’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醒時 : 술에 취하기 전을 뜻한다. ‘醒’자가 술이 깬다는 뜻이어서 흔히 ‘술이 깨어 있을 때’라고 번역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술에 취하였다가 깨어나는 것이 아니라, 아직 취하지 않은 상태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 無情遊 : 세속의 속된 情이 없는 교유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달과 그림자와의 사귐을 뜻한다.
▶ 雲漢 : 은하수를 말한다.
▶ 天籟 : 《莊子》 〈齊物論〉에, 南郭子綦가 顔成子游에게 “너는 人籟는 들었어도 地籟는 듣지 못했고 地籟는 들었어도 天籟는 듣지 못했을 것이다.[女聞人籟而未聞地籟 女聞地籟而未聞天籟夫]” 하였다. 인뢰는 사람이 울리는 소리로 악기의 소리이고, 지뢰는 대지가 일으키는 소리로 바람 소리이고, 천뢰는 인뢰와 지뢰의 근본이 되는 대자연의 소리이다. 여기서는 천연적으로 완전하게 이루어진 詩文의 자연스러운 정취를 가리킨다.
▶ 도연명의……있도다 : 三逕은 隱士의 門庭을 말한 것으로, 漢나라의 은사 蔣詡가 향리로 돌아가서 모든 교분을 끊은 채 정원에 오솔길 세 개[三逕]를 만들어 놓은 뒤에 오직 羊仲‧求仲 두 사람과 어울려 노닐었다는 고사가 있다. 여기서는 晉나라 處士 陶淵明이 지은 〈歸去來辭〉 중에 나오는 ‘三逕就荒 松菊猶存’이란 글귀를 가리킨 것이니, 즉 도연명이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것을 말한다.
6.引用
이 자료는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漢詩와 漢文 >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8.望嶽(망악)-杜甫(두보) (0) | 2023.08.04 |
---|---|
7.春思(춘사)-李白(이백) (0) | 2023.08.04 |
5.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李白(이백) (0) | 2023.08.03 |
4.感遇(감우)4-張九齡(장구령) (0) | 2023.07.31 |
3.感遇(감우)3-張九齡(장구령)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