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7.春思(춘사)-李白(이백) 본문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春思(춘사) -李白(이백) |
燕草如碧絲
연 땅의 풀은 푸른 실과 같고
秦桑低綠枝
진 땅의 뽕나무는 푸른 가지 드리웠네
當君懷歸日
그대가 돌아오고 싶어하던 날은
是妾斷腸時
바로 제가 애간장이 끊어지던 때이지요
春風不相識
봄바람과 알지도 못하였는데
何事入羅幃
어인 일로 비단 휘장 안으로 들어오는가
2.通釋
3.解題
마지막 두 구는 마음이 정결하여 외물에 동요되지 않음을 말하고 있다.
4.集評
‘春風不相識 何事入羅幃’는 생각에 사특함이 없으며 시어가 淸麗하여, 절묘함을 본받을 만하다.
5.譯註
▶ 燕草如碧絲 秦桑低綠枝 : 燕의 북쪽 지방은 날씨가 추워 풀이 가장 늦게 자라고, 秦의 남쪽은 따뜻하여 버드나무와 뽕나무가 일찍부터 푸르다. 즉 燕 땅에 풀이 날 때가, 秦 땅에 버드나무와 뽕나무가 푸를 때이니, 연은 지금의 河北 지역이고, 秦은 지금의 陝西 지역이다.
▶ 羅幃 : 비단으로 만든 휘장이다.
▶ 思無邪 : 생각에 간사함이 없다는 뜻으로 《詩經》 〈魯頌 駉〉편에 보이는 글귀인데, 孔子는 이 말을 인용해 “이 한마디의 말이 《詩經》 3백편 전체의 뜻을 대표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論語》 〈爲政〉
▶ 情景交融 : 작가의 정감이 物象에 의거하여 표현되는 경우 情과 景이 서로 연계되는데, 이때 양자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잘 되었을 경우를 지칭한다. 정과 경이 상호 상생적 관계에 있다는 의미에서 ‘情景相生’이라고도 칭한다. 《詩經》의 比興體에서 그 연원을 찾아볼 수 있다. ‘興’이 작가의 감정이 우연히 어떤 물상에 의하여 촉발되는 것이라면, ‘比’는 작가의 감정을 한 물상에 비유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모두 정과 경의 결합을 통하여 시상을 창조한다. 작가의 내면세계와 외면세계의 조화와 통일을 추구하는 창작기법이자 작품을 평가하는 심미의 기준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漢詩와 漢文 >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9.贈衛八處士(증위팔처사)-杜甫(두보) (0) | 2023.08.05 |
---|---|
8.望嶽(망악)-杜甫(두보) (0) | 2023.08.04 |
6.月下獨酌(월하독작)-李白(이백) (0) | 2023.08.03 |
5.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李白(이백) (0) | 2023.08.03 |
4.感遇(감우)4-張九齡(장구령)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