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3.感遇(감우)3-張九齡(장구령)

耽古樓主 2023. 7. 31. 19:31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感遇(감우)
-張九齡(장구령)

幽林歸獨臥
그윽한 숲에 돌아와 홀로 누워
滯虛洗孤淸
虛靜한 곳에 오래 사니 고적감마저 씻긴다
持此謝高鳥
이 마음 높이 나는 새에게 말해주노니
因之傳遠情
멀리 있는 이에게 진심 전해다오
日夕懷空意
밤낮으로 맑은 뜻 품고 있는데
人誰感至精
사람 가운데 뉘라서 지극한 정성을 알겠는가
飛沈理自隔
높이 나는 새 물 속의 고기처럼 저절로 형세 다른 법
何所慰吾誠
어느 곳이 내 참마음 위로해주려나

 

2.通釋

내가 깊은 숲으로 돌아와 은거한 이후로 오랫동안 마음 비우고 고요한 가운데 머물자니 마음속의 고적함을 씻어낼 수 있었다이에 이 마음을 높이 나는 새에게 말해주니 나를 위해 멀리 계신 임금께 전해다오.
내 밤낮으로 고원한 뜻을 품고 있는데 뉘 있어 내 지극한 정성을 알아주겠는가그리고 지금 한쪽은 조정에 있고 한쪽은 재야에 있어 형편이 서로 다르니또 어떻게 임금을 향한 나의 충성스런 마음을 위로해 줄 수 있겠는가.
 

3.解題

앞의 네 구는 고향에 돌아와 은거한 후 자신의 심경을 묘사하였고뒤의 네 구는 임금을 그리워하는 충심을 묘사했다이 시는 ‘임금을 향한 충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기도 하고, ‘자연 속에 은거한 심정’을 나타낸 것으로 보기도 한다.
 

4.集評

 
 

5.譯註

▶ 幽林歸獨臥 滯虛洗孤淸 이 구절은 일반적으로 ‘幽人歸獨臥 滯慮洗孤淸’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四部叢刊》本의 《曲江張先生文集》에 따라 바로잡았다전체 구절의 뜻은 ‘홀로 돌아와 은둔한 후 오래도록 마음 비우고 고요하게 지내니 마음속의 고적함을 씻어낼 수 있다.’라는 말이다. ‘滯’는 오래 머문다는 뜻이다.
▶ 高鳥 임금의 총애를 받아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을 비유한다.
▶ 空意 淸虛한 心情이다.
▶ 飛沈理自隔 높이 나는 새와 물속의 고기처럼 저절로 형세가 다르다는 것은한쪽은 조정에 있고 한쪽은 재야에 있어 형편이 서로 다름을 가리킨다.
 

6.引用

이 자료는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