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33.送楊氏女(송양씨녀)-韋應物(위응물)

耽古樓主 2023. 10. 30. 03:58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送楊氏女(송양씨녀)
-韋應物(위응물)

 

永日方慼慼, 出行復悠悠.
女子今有行, 大江泝輕舟.
기나긴 날을 슬픔 속에 지냈는데집 떠나간다니 다시 아득해지는구나.
딸아이 이제 멀리 시집가느라가벼운 배 타고 큰 강을 거슬러가네.

爾輩況無恃, 撫念益慈柔.
幼爲長所育, 兩別泣不休.
게다가 너희들은 어미도 없었으니어루만져 보살핌에 더욱 온화하게 사랑하였지.
동생은 언니인 너에게 길러졌으니서로 헤어짐에 눈물이 그치지 않는구나.


對此結中腸, 義往難復留.
自小闕內訓, 事姑貽我憂.
이 모습 보자니 창자가 맺히지만의리상 가야 하니 다시 붙잡기는 어렵겠지.
어려서부터 어미의 가르침 못 받았으니시부모 모셔야 할 일이 걱정이구나.

賴玆託令門, 仁卹庶無尤.
貧儉誠所尙, 資從豈待周.
다행히 좋은 가문에 널 맡기게 되었으니인자하고 가엾게 여길 분들이라 별 탈은 없을 게야.
청빈과 검약은 우리가 진실로 숭상하는 바라혼수품 어찌 두루 갖추겠는가.

孝恭遵婦道, 容止順其猷.
別離在今晨, 見爾當何秋.
효도하고 공경하며 婦道를 따르고용모와 행동거지는 법도에 맞게 하거라.
오늘 아침 이별하면어느 해에 너를 보랴.

居閑始自遣, 臨感忽難收.
歸來視幼女, 零淚緣纓流.
한가로이 지내면 시름이야 풀리겠지만이별의 슬픈 마음은 거둘 수가 없구나.
돌아와 어린 네 동생 보노라니떨어지는 눈물이 갓끈 타고 흐른다

 
 

2.通釋

 

어머니를 잃고 오랫동안 항상 슬픔 속에서 지냈는데이제 네가 이 집을 떠난다 하니 내 마음이 다시 아득해지는구나.
오늘 너는 시집을 가려고 가벼운 배 위에 올라 큰 강을 거슬러 올라간다.
게다가 너희들은 어려서 어머니를 여의었고이 때문에 나는 너희들을 더욱 자애롭고 온화하게 보살폈다.
너는 나를 도와 어린 동생을 돌보았는데오늘 헤어지려 하니 너희 두 자매 모두 눈물을 그치지 못하는구나.
이런 정경을 대하자니 나의 마음이 슬프다그러나 여자는 장성하면 마땅히 시집을 가야 하는 법실로 오래도록 곁에 둘 수는 없는 일이다.
너는 어려서 어머니를 여의어 규중의 가르침을 받지 못했으니시부모님 모실 일이 참으로 걱정스럽다.
다행히 이번에 너를 좋은 가문에 시집보내게 되었으니인자한 시부모님은 너를 가엾게 여기셔서 별 탈은 없으리라 믿는다.
근검절약을 미덕으로 여기는 빈한한 집에서어떻게 재물과 종복 같은 혼수를 다 갖추어 주겠느냐.
너는 시집에 가거든 효도와 공경으로 婦道를 따르며행동거지는 법도에 맞게 하거라.
오늘 아침 우리들 이별하니언제 다시 만날 수 있을지 알 수 없구나.
집에서 한적하게 지내다보면 시름이야 달랠 수 있겠지만헤어질 때의 모습이 마음에 떠오르니 갑작스레 이 감정을 추스를 수가 없구나.
돌아와 네 어린 동생을 보는데 나도 모르게 눈물이 갓끈을 적시며 흘러내린다.

 
 

3.解題

 

이 작품은 建中 3년(782) 혹은 4년(783)에 滁州에서 지은 것으로 위응물이 딸을 시집보내며 쓴 시인데그의 딸이 楊氏에게 시집갔기 때문에 표제를 ‘送楊氏女’라고 한 것이다.
중년에 배우자를 잃고 부녀 셋이서 서로 의지하며 살았던 위응물은 당시 큰딸을 시집보내는 정황과 가슴속에서 우러나오는 감회를 시 속에서 핍진하게 그리고 있다.
두 딸은 어린 시절에 어머니를 잃고 큰딸이 작은딸을 돌보았으므로 두 자매간의 정은 매우 돈독했을 것이다그런데 이제 언니가 시집을 가니 그들은 자연 헤어지기 어렵고 아쉬움은 이루 말할 수 없었을 것이다.
시인은 이러한 情景을 대하고 죽은 아내를 떠올리며 이 시를 썼으니 진지하고 깊은 정이 드러나 있다.
한편자애로운 아버지로서 시집가는 딸에게 간곡하게 당부를 하는데그 말이 의미심장하다.
시 전편이 산문체로 되어 있으며措辭가 질박하고 미사여구나 군더더기가 없어 시인의 감정이 더욱 절실하게 느껴진다.

 
 
 

4.集評

 

○ 讀此詩 公慈愛滿眼 可想可掬 山谷嘗謂淵明責子詩亦類此 良然 明 袁宏道《袁中郞全集》
이 시를 읽으면 눈앞에 가득한 公(위응물)의 자애로움을 충분히 상상할 수 있고 손에 잡을 수 있을 듯하다山谷(黃庭堅)은 일찍이 陶淵明의 〈責子〉 詩도 이와 비슷하다고 하였는데참으로 그렇다.

 
 

5.譯註

 

▶ 送楊氏女 楊氏女는 양씨에게 시집간 위응물의 장녀이다위응물의 시집 가운데 楊凌과 唱和한 시가 매우 많은데 아마도 이 딸이 양릉의 처인 듯하다.
▶ 永日方慼慼 出行復悠悠 : ‘永日’은 지난 오랜 세월, ‘方’은 항상, ‘慼慼’은 슬퍼하고 근심하는 모습, ‘出行’은 문을 나와 멀리 떠난다는 뜻이다.
▶ 有行 멀리 가는 곳이 있다즉 出嫁함을 가리킨다《詩經》 〈邶風 泉水〉에, “여자가 시집감은부모와 형제를 멀리하는 것이라. [女子有行 遠父母兄弟]”고 하였다.
▶ 泝 溯와 같으니물을 거슬러 올라감을 뜻한다.
▶ 爾輩況無恃 : ‘況’은 ‘苦’라고 되어 있는 본도 있다. ‘無恃’는 어려서 어머니를 여읜 것이다《詩經》 〈小雅 蓼莪〉에, “아비가 없으니 누굴 믿으며어미가 없으니 누굴 의지하리오.[無父何怙 無母何恃]”라고 하였다年譜에 의하면 위응물은 大曆 12년(777), 그의 나이 43세 즈음에 喪妻하였다.
▶ 幼爲長所育 : ‘幼’는 동생, ‘長’은 언니를 뜻한다위응물은 自注에서, “어린 딸은 양씨에게 시집간 딸이 키웠다.[幼女爲楊氏所撫育]”라고 하였다.
▶ 義往 《禮記》 〈內則〉에, “여자는 …… 스무 살에 시집간다.[女子……二十而嫁]” 하였으니義理상 가야 함을 말한 것이다.
▶ 自小闕內訓 위응물은 自注에서, “어려서 어머니를 여의었음을 말한 것이다.[言早無恃]”라 하였다. ‘內訓’은 어머니의 가르침이다.
▶ 令門 좋은 가문남편의 집안을 가리킨다. ‘令’은 훌륭하다는 뜻이다.
▶ 資從 일상생활에 필요한 資料와 婢僕인데여기서는 혼수품을 가리킨다. ‘從’은 隨從하는 자이다.
▶ 容止 용모와 행동거지를 말한다《孝經》에, “용모와 행동거지를 살피며나아가고 물러감을 법도에 맞게 하라.[容止可觀 進退可度]” 하였다.
▶ 措辭 문장에 있어서 文字의 용법과 辭句의 배치를 이른다.
▶ 陶淵明의 〈責子〉 詩 도연명이 다섯 아들을 나무라는 뜻으로 시를 지었는데 《陶淵明集》 3권에 실려 있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