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의 허사

한문의 허사(虛詞) 亦

耽古樓主 2022. 12. 25. 05:11
한문의 허사(虛詞)
亦且 또한

은 부사 또는 조사로 쓰인다.



(1) “는 부사로 쓰여
 반복 또는 연속을 표시하는 자와 같은 용법[“또한”]으로 쓰이거나
 어떤 결과이건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자와 같은 용법 [“역시” “그리고 또”]으로 쓰인다.

先君何罪, 其嗣亦何罪? 左傳 文公7
선군에게 무슨 죄가 있으며, 그 후사에게 또한 무슨 죄가 있는가?

 

平曰: “嗟乎! 使平得宰天下, 亦如此肉矣.” 史記 陳丞相世家
진평이 말했다: “! 저로 하여금 천하를 다스리게 한다면, 역시 이 고기 나누는 것과 같이 공평하게 할 것입니다.”

 

魚我所欲也, 熊掌, 亦我所欲也. 孟子 告子上
물고기도 내가 원하는 것이지만, 곰의 발바닥 역시 내가 원하는 것이다.

 

水火有氣而無生, 草木有生而無知, 禽獸有知而無義, 人有氣有生有知亦且有義, 故最爲天下貴也. 荀子 王制篇
물이나 불은 기운은 있으나 생명은 없으며, 풀과 나무는 생명은 있으나 앎이 없고, 새와 짐승은 앎은 있으나 도의가 없다. 사람은 기운도 있고 앎도 있고, 또한 도의도 있다. 그러므로 천하에서 가장 귀한 존재인 것이다.

(2) 은 부사로 쓰여 에 불과하다” “겨우” “단지를 뜻한다.

 

聖人之天下, 豈無所用其心哉? 亦不用于耕耳. 孟子 藤文公上
성인이 천하를 다스림에 있어, 어찌 그 마음 쓸 곳이 없었으리오 마는, 역시 손수 농사짓는 일에는 마음 쓰지 않았던 것이다.

 

子擊因問曰: “富貴者驕人乎? 且貧賤者驕人乎?” 子方曰: “亦貧賤者驕人耳.” 史記 魏世家
이에 자격이 물었다: “돈과 권력이 있는 사람이 남에게 교만합니까? 아니면 돈과 권력이 없는 사람이 남에게 교만합니까?” 자방이 말했다: “단지 돈과 권력이 없는 사람이 남에게 교만할 수 있을 뿐입니다.”

此亦妄人也已矣. 孟子 離婁下
이 자는 망령된 사람에 불과할 뿐이다.

(3) 는 부사로 쓰여, 위 아래 문장의 문의에 따라, 서로 다른 어기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孟子見梁惠王. 王曰: “! 不遠千里而來, 亦將有以利吾國乎?”孟子 梁惠王上
맹자께서 양혜왕을 만났다. 왕이 말했다: “선생께서 불원천리하고 와주셨으니 이 나라를 이롭게 하실 수 있겠습니까?”

 

상기 예문에 쓰인 는 없어도 된다. 다만 어기를 완화해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

 

樂正子從於子敖, 之齊. 樂正子見孟子. 孟子曰: “子亦來見我乎?”
악정자가 자오를 따라서 제나라에 갔다. 악정자가 맹자께 뵈었다. 맹자가 말씀하기를: “자네도 또한 나를 찾아와서 만나 보는가?”

 

상기 예문에 쓰인 는 책망의 어기가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역시 책망의 어기를 나타내는 현대중국어의 와 같다. 晉書 紀瞻傳에서 陸機는 책망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然則王道之反覆, 其無一定耶? 亦所祖之不同而功業各異也? 晉書 紀瞻傳
그렇다면 왕도란 흥했다 망했다를 반복하는 것으로, 일정함이란 없다는 것인가? 아니면 조상이 다르면 그 공업도 다르다는 것인가?

상기 예문에서와 같이 자의 그렇지 않으면이라는 용법과 유사하게 쓰였다.

(4) 는 조사로서 문장의 첫 부분이나 중간에 쓰여
 의미가 없이 쓰이거나
 未必起語法으로서 어기 작용을 한다.

亦旣見止, 亦旣覯止, 我心則降. 詩經 召南 草蟲
한 번 더 볼 수 있다면, 다시 만날 수만 있다면, 내 마음 놓을 수 있으련만.

 

若從踐土, 若從宋, 亦唯命. 左傳 定公元年
천토의 맹약을 좇을 것인가,또는 송나라를 따를 것인가는, 오직 여기서의 명령에 달려 있소이다.

 

不聞亦式, 不諫亦入. 詩經 大雅 思齊
배우지 않아도 법도에 맞고, 간함이 없어도 또한 선을 행하셨네!
위 예문에 쓰이고 있는 자와 는 모두 조사 또는 친자(襯字)로서 의미가 없다.

 

☞《顔氏家訓 勉學篇에 보이는
校定書籍, 亦何容易
[책을 교정본다는 일이, 또한 어찌 쉬운 일이겠는가?] 라는 문장에서
一何라고 써야 할 글자를 亦何로 쓰고 있는데, 이것은 바로 위의 예문에서 으로 써야 할 글자를 자로 쓰고 있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자와 는 상고 시대 이후 지금까지 “yi”로 동음이기 때문이다

 

'한문의 허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허사(虛詞) 惡  (1) 2022.12.25
한문의 허사(虛詞) 然  (2) 2022.12.25
한문의 허사(虛詞) 與(歟)  (0) 2022.12.25
한문의 허사(虛詞) 與  (0) 2022.12.25
한문의 허사(虛詞) 如  (1) 2022.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