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편지에 쓰이는 호칭 등 본문
편지에 쓰이는 호칭 등
이름 뒤에 붙이는 칭호
귀하(貴下): 일반적으로 널리 쓰임. 남녀 불문 사용.
귀중(貴中): 단체에
씨(氏): 나이나 지위가 비슷한 사람에게
님: 이름이나 호칭 뒤에 붙여 높이는 말
좌하(座下): 공경해야 할 어른께
존좌하(尊座下): 극존칭
선생(先生)(님): 은사나 사회적으로 이름난 분에게
배상(拜上): 절하고 올림. 삼가 올림. 존경하는 분이나 윗사람에게
여사(女史): 일반 부인에게
군(君), 형(兄): 친한 친구에게
양(孃): 처녀로서 동년배 혹은 아랫사람에게
大兄, 仁兄: 친하고 정다운 사이에
박사(博士)님: 근세에는 박사님 밑에 딴 존칭을 쓰지 않고 있으나 박사님 좌전이라고 해도 무방함
방(方): 상대방이 전세나 하숙을 하고 있을 때 집주인 성명 밑에
전(展), 전(前), 앞: 손아랫사람에게
즉전(卽展): 윗사람이 손아랫사람에게
좌전(座前): 편지 받는 사람의 이름 아래 고대하여 쓰는 말
존전(尊前): 존경하는 사람에게
화백(畵伯), 아형(雅兄): 화가나 문학상의 친구에게
혜감(惠鑑): 학문에 조예가 있는 사람에게
혜존(惠存): 자기 저서나 작품을 남에게 드릴 때 받는 사람 이름에 붙이는 존칭어
영감(令監): 지체 높은 사람이나 나이 많은 사람을 대접해서 일컫는 말
근상(謹上), 근배(謹拜): 삼가 올림
복백(伏白): 엎드려 삼가 아룀
근백(謹白): 삼가 아룀
근정(謹呈): 삼가 증정함
배납(拜納), 봉납(奉納): 삼가 바침
배정(拜呈): 공손히 받들어 올림
봉정(奉呈): 받들어 드림
배사(拜謝): 삼가 감사를 드림
불비(不備): 제대로 갖추지 못함
재배(再拜): 손윗사람에게 삼가 올림
곡배(哭拜): 弔問시 부의(賦儀)할 때 자기 이름 밑에 씀
돈수(頓首): 남을 공경하는 태도로 머리를 땅에 닿도록 꾸벅거림 (편지 끝에 상대를 존경하여 쓰는 말)
평신(平信): 일반적일 때
편지의 내용물을 표시할 때:
원고재중(願稿在中): 원고를 첨부할 때
원서재중(願書在中): 원서를 첨부할 때
기타
직피(直披): 손아랫사람의 경우 남에게 보이지 않도록 할 때
친전(親展), 친피(親披): 타인에게 보이지 않도록 할 때
지급(至急), 대지급(大至急): 시급할 때
즉견(卽見): 편지를 받아 볼 손아랫사람의 이름 아래 쓰이어, 이내 받아 보라의 뜻
'雜同散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問喪・弔問・弔喪・弔慰는 어떻게 다른가? (0) | 2025.04.23 |
---|---|
비(雨)의 종류 (0) | 2025.04.23 |
합조(合兆)란? (0) | 2025.04.23 |
李嘉誠이 굳게 지킨 六不合과 七不交 (0) | 2025.04.22 |
有志者事竟成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