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태평한화골계전42-恨不生於骨利國 본문
太平閑話滑稽傳
恨不生於骨利國
冬十月開別試 取士 日極短.
겨울인 시월[十月]에 別試를 열어 인재를 취했는데 해가 몹시 짧았다.
▶ 음력으로는 1・2・3월이 봄이고, 4・5・6월이 여름이며, 7・8・9월이 가을이고, 10・11・ 12월이 겨울이기 때문에, "冬十月"이라고 한 것이다.
▶ 別試: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혹은 병년(丙年)마다 행하던 임시 과거를 말한다.
有一生性躁才窘 操觚染翰大言曰
恨不生於骨利國.
한 선비가 성질이 급하고 재주가 없었는데, 술잔을 들고 붓을 먹에 적시고서 큰 소리로 말하였다.
“골리국(骨利國)에 태어나지 못한 것이 한스럽구나.”
▶ 觚(고): 술잔
▶ 翰: 붓
▶ 骨利國: '골리간(骨利幹)'이라고도 한다. 한해(瀚海)의 북쪽에 자리 잡고 있었던 흉노족의 한 분파로 15개의 부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한다.
再說不置.
두 번 세 번 말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 置: 내버려 두다. 버리다, 폐기하다(廢棄--)
其友問之 答曰
子不聞乎
骨利國日入烹羊胛 纔熟而東方已明 其夜短日長可知
吾之白日場 豈不綽乎有裕
친구가 무슨 말이냐고 물었더니 답하기를,
“그대는 듣지도 못했는가?
골리국에서는 해가 질 때 양(羊)의 어깨뼈를 삶기 시작하면, 그것이 익을 때쯤에는 동쪽이 이미 환해진다고 하니, 그 밤이 짧고 해가 긺을 가히 알 만하네.
내 백일장에 어찌 넉넉히 여유가 있지 않겠는가?”
라고 하였다.
▶ 胛(갑): 어깨뼈, 肩胛骨
▶ 결국 시월이라 해가 짧아서 답안지를 작성할 충분한 시간이 없기 때문에 좋은 답안을 작성하지 못한다고 변명한 것이다.
▶ 白日場: 각 시골에서 유생(儒生)들의 학업(學業)을 장려(奬勵)하려고 그들을 모아 글짓기를 시험(試驗)하던 일.
聞者皆笑
듣는 사람이 모두 웃었다.
'漢詩와 漢文 > 太平閑話滑稽傳'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평한화골계전44-雙三十單五先生 (0) | 2024.12.06 |
---|---|
태평한화골계전43-吾年二十四 (1) | 2024.12.06 |
태평한화골계전41-墮老賊術 (4) | 2024.12.05 |
태평한화골계전40-風聲鶴唳 (1) | 2024.12.05 |
태평한화골계전39-我是龍哥 (0) | 202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