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訓民正音(훈민정음) 본문
國之語音(국지어음) 異乎中國(이호중국) 與文字不相流通(여문자불상류통) 故愚民有所欲言(고우민유소욕언)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이종부득신기정자다의).
予爲此憫然(여위차민연) 新制二十八字(신제이십팔자) 欲使人人易習(욕사인인이습) 便於日用耳(편어일용이). <訓民正音>
우리나라의 말소리가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할새 고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끝내 그 뜻을 펴지 못하는 자가 많다.
내가 이를 위하여 불쌍하게 여겨서 새로 스물 여덟자를 만드니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쓰기에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라.
반응형
'漢詩와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古雜曲(고잡곡) - 崔成大(최성대) (0) | 2023.04.05 |
---|---|
情人(정인) - 權用正(권용정) (0) | 2023.04.05 |
天鷄(천계) - 洪良浩(홍양호) (0) | 2023.04.04 |
奉使入金(봉사입금) - 陳澕(진화) (0) | 2023.04.04 |
花石亭(화석정) - 李珥(이이)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