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拔萃

莊子 第4篇 人間世 제6장

耽古樓主 2023. 3. 13. 01:20
반응형

莊子 第4篇 人間世 제6장(장자 제4편 인간세 제6장)

莊子 第4篇 人間世 제6장

宋有荊氏者 宜楸柏桑
나라에 荊氏라는 곳이 있는데 가래나무, 잣나무, 뽕나무가 土質에 맞았다.
宋有荊氏者 : 송나라에 荊氏라고 하는 땅이 있음.  地名에 붙는 접미사.
宜楸柏桑 : 土質이 가래나무, 잣나무, 뽕나무가 자라기에 적합함.

其拱把而上者 求狙猴之杙者斬之 三圍四圍 求高名之麗者斬之 七圍八圍 貴人富商之家 求樿傍者斬之
그중에서 둘레가 한두 줌 이상 되는 것은 원숭이 말뚝감을 찾는 사람이 베어가고, 세 아름 네 아름 정도로 자란 나무는 높고 큰 집의 대들봇감을 찾는 사람이 베어가고, 일곱 아름 여덟 아름 정도로 자란 나무는 신분이 높은 사람이나 부유한 상인의 집에서 관 옆에 붙이는 판목을 찾는 사람들이 베어간다.
其拱把而上者 : 그중 둘레가 한두 줌 이상 되는 나무.  두 손을 합쳐서 감쌀 수 있는 굵기[兩手所圍也]’이고,  한 손으로 감쌀 수 있는 굵기[一手所握也]’이다(朱熹).
求狙猴之杙者斬之 : 원숭이 말뚝감을 찾는 사람이 베어감. 狙猴는 원숭이. ()은 말뚝.
三圍四圍 : 둘레가 세 아름 네 아름 되는 나무.
求高名之麗者 : 높고 큰 집의 대들봇감을 찾는 사람. 郭慶藩  로 풀이했다. 는 대들보, 와 통한다(方勇陸永品).
樿() : 관 옆에 붙이는 판목. 樿 으로 되어있는 텍스트도 있는데 樿이 옳다. 관 옆면 전체에 붙이는 한 장짜리 큰 판목이다(成玄英).

故未終其天年 而中道之夭於斧斤 此材之患也
그 때문에 자신의 天壽를 다 마치지 못하고 중도에 도끼와 자귀에 의해 일찍 죽게 되니 이것이 쓸모 있음으로 인해 초래되는 재앙이다.
未終其天年 : 천수를 다 마치지 못함. 天年 天壽.
中道之夭於斧斤 : 중도에 도끼와 자귀에 의해 일찍 죽게 됨. 성현영은 중도에 공인의 손에 요절한다[中途夭於工人之手].”고 풀이했다. 林希逸 口義 懸吐本 朴世堂 莊子註解刪補에는 자 없이 中道夭於斧斤으로 되어 있다. 金谷治  와 같은 뜻으로 읽는다고 하였다.

故解之 以牛之白顙者 與豚之亢鼻者 與人有痔病者 不可以適河 此皆巫祝以知之矣 所以爲不祥也
그 때문에 解祀를 지낼 때에, 이마가 흰 소와 들창코인 돼지와 치질을 앓고 있는 사람은 黃河 에게 맞는 犧牲이 될 수 없다고 하니, 이것은 모두 巫祝人들이 이미 알고 있으며 그것들을 불길하다고 여기는 것이다.
 : 제사의 명칭. 일종의 伸寃굿. 곽상은 무당이 액땜굿을 한다[巫祝解除].”고 풀이했다. 에 대해서는 書名(임희일), 地名(兪樾) 등 제설이 분분하지만 아래의 내용을 볼 때 모두 적절치 않다. 方勇陸永品 莊子詮評에서 漢書》 〈郊祀志 古天子以春解祠 淮南子》 〈修務訓 禹之爲水 以身解於陽眄之河 등의 예를 들어 가 제사의 명칭임을 입증했다. 解之 는 어조사(方勇陸永品). 黃河에 던지는 희생으로 人身을 쓴 일도 있었다고 한다.
牛之白顙者 : 소 중에서 이마가 흰 것. 곧 이마가 흰 소. 흰색은 凶色이고 검은색은 吉色이다. 禮記》 〈檀弓 上에서 夏后氏尙黑……牲用玄 殷人尙白……牲用白 周人尙赤……牲用騂이라 한 기록과, 禮記》 〈明堂位에서 夏后氏牲尙黑 殷白牡 周騂剛이라 한 기록에 의하면 夏代에는 黑色, 殷代에는 白色, 그리고 周代에는 赤色 犧牲으로 썼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論語》 〈堯曰편에서 予小子履 敢用玄牡라 한 기록에 근거하면  湯王도 검은 수소를 희생으로 썼음을 알 수 있다.
豚之亢鼻者 : 돼지 중에서 코가 하늘을 보고 있는 것. 곧 들창코인 돼지. 崔譔  하늘을 보고 있는 것[亢仰也]’으로 풀이했다.
人有痔病者 : 사람 중에 치질이 있는 자. 곧 치질에 걸린 사람. 위의 牛之白顙’, ‘豚之亢鼻와 마찬가지로 모두 外形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희생물로 적합치 않다고 여긴 듯하다.
不可以適河 : 河神에게 적합하지 않음.  適合의 뜻. 司馬彪 適河 사람을 황하에 빠뜨려 제사지내는 것[沈人於河祭也]’이라 했고 馬敍倫   假借字로 보고 던진다[]’는 뜻으로 풀이하고 현토본(林希逸)에서는  의 뜻이니 이것을 가지고 황하에 가서 제사하여서는 아니됨을 말한다[適者往也 言不可以之往祭於河也]”고 하였는데 참고할 만하다.
巫祝以知之矣 : 무축인들이 이미 알고 있음.  와 통한다(羅勉道, 溪侗, 方勇陸永品 ).
所以爲不祥也 : 불길하다고 여기는 바이다. 所以는 여기서는 반드시 까닭, 때문 등으로 번역할 것 없이 ……한 바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不祥 不祥之物의 뜻.

此乃神人之所以爲大祥也
그러나 이것이 도리어 를 체득한 神人 大吉하다고 여기는 것이다.
此乃神人之所以爲大祥也 : 이것이,  巫祝이 불길하다고 보아 희생으로 쓰지 않는 것이 도리어 살아남게 되므로 를 체득한 神人이 크게 하다고 여기는 것이다. 여기 所以도 역시 ……하는 바 정도의 뜻.

 

 

반응형

'장자拔萃'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第4篇 人間世 제4장  (1) 2023.03.13
莊子 第4篇 人間世 제5장  (1) 2023.03.13
莊子 第4篇 人間世 제7장  (0) 2023.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