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山居(산거) - 李仁老(이인로) 본문
春去花猶在 天晴谷自陰(춘거화유재 천청곡자음) .
杜鵑啼白晝 始覺卜居深(두견제백주 시각복거심).
봄이 지났는데 꽃은 오히려 남아 있고, 하늘은 맑은데 골짜기에 그늘 드리워졌네.
두견새가 한낮에 지저귀니, 비로소 깨닫노라, 깊은 산골에서 살아감을..
▶ 猶(유) ; 1)원숭이 유, 원숭이는 의심이 많아 망설일 유, 흉내를 잘 내니 같을 유
2) 오히려, 아직도, 여전히, 여기서는 2)의 뜻
▶ 始(시) ; 처음, 근본, 비로소, 비롯하다
▶ 卜居(복거) ; 살 만한 곳을 점침, 살 만한 곳을 가려서 정하고 살다.
▶이인로(眉叟 李仁老, 1152~1220)
高麗 明宗때 문신이자 학자이며 서화가로 본관은 경원(慶源) 또는 인천(仁川)이다.
字는 미수(眉叟), 號는 쌍명재(雙明齋), 와도헌(臥陶軒)이며 문벌귀족 가문에 태어났지만 어려서 孤兒가 되어 僧 寥一에게서 성장, 정중부(鄭仲夫)의 亂에 出家하였다가 환속(還俗), 文科에 급제하여 비서감(秘書監),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詩文에 能하였으며. 은대집(銀臺集), 쌍명재집(雙明齋集)등이 있었으나 파한집(破閑集)만 傳한다.
반응형
'漢詩와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偶吟(우음) - 崔承老(최승로) (0) | 2023.04.13 |
---|---|
書天壽僧院壁(서천수승원벽) - 李仁老(이인로) (0) | 2023.04.13 |
淸明(청명) - 杜牧(두목) (0) | 2023.04.13 |
山行(산행) - 杜牧(두목) (0) | 2023.04.13 |
赤壁(적벽) - 杜牧(두목) (0) | 2023.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