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한문의 허사 일람(ㄴ-ㄹ) 본문

한자 한문 공부/한문의 허사

한문의 허사 일람(ㄴ-ㄹ)

耽古樓主 2025. 4. 6. 20:55

한문의 허사 일람(ㄴ-ㄹ)

 

나(奈) :

  • (代名詞) 어떻게.

 

나하(奈何) :

  • (代名詞) 어떻게. 어찌. 왜.

 

내(迺) :

  • (代名詞) 너(너희들)
  • 이. 이렇게.
  • (副詞) 바로.
  • 바로. 곧. 이에.
  • 비로소. 막.
  • 비로소. 단지. 겨우.
  • 오히려. 마침내. 의외로.
  • (接續詞) 그러나. 뿐만 아니라.

 

내(乃) :

  • (代名詞) 너(너희들)
  • 이. 이렇게.
  • (副詞) 바로.
  • 바로. 곧. 이에.
  • 비로소. 막.
  • 비로소. 단지. 겨우.
  • 오히려. 마침내. 의외로.
  • (接續詞) 그러나. 뿐만 아니라.

 

내(柰) :

  • (副詞)  어떻게.

 

내(耐) :

  • (助動詞) 충분히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 (副詞) 乃와 통함.
  • (接續詞) 而와 통함.

 

내금(乃今) :

  • (副詞) 비로소.

 

내수(乃遂) :

  • (副詞) 대개. 바로. 이에.

 

내약(乃若) :

  • (接續詞) ∼에 이르러서는.

 

내여(乃如) :

  • (語氣詞) 해석 않음.(구 앞에서 의논하려는 것을 나타냄).

 

내이(乃爾) :

  • (副詞) 이와 같이. 이처럼.

 

내재(乃才) :

  • (副詞) 겨우.

 

내하(柰何) :

  • (副詞)  어떻게. 어찌. 왜.

 

내후(乃後) :

  • (接續詞) 연후에.

 

녕(甯) :

  • (副詞) 설마 ∼일 리가 있겠는가.
  • 차라리 ∼을 원하다. 어느 쪽인가 하면 ∼이다
  • 오히려. 마침내. 의외로.

 

녕(寧) :

  • (副詞) 설마∼일 리가 있겠는가.
  • 차라리 ∼을 원하다. 어느 쪽인가 하면∼이다
  • 오히려. 마침내. 의외로.

 

능(能) :

  • (助(動詞) 충분히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 (副詞) 乃와 통함.
  • (接續詞) 而와 통함.

 

능극(能克) :

  • (助(動詞) 충분히∼할 수 있다.

 

단(但) :

  • (副詞) 단지, 겨우(범위의 한정)
  • 헛된이, 쓸대 없이
  • 상관없이, 오로지.

 

단(亶) :

  • (副詞) 단지, 겨우(범위의 한정)
  • 헛된이, 쓸대 없이
  • 상관없이, 오로지.

 

단(亶) :

  • (副詞) 진실로, 확실히 (확신, 근정을 포시).

 

당(當)

  • 助(動詞) 당연히 ∼해야 한다. 본분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 ∼할 줄 안다. 할 수 있다.
  • (副詞) 장차. 장차 ∼하려 한다.
  • 또한
  • 막. 방금. 마침 ∼중이다
  • 일찍이
  • (前置詞) 번역 불요(시간을 나타냄)
  • (接續詞) 만일.

 

당(儻) :

  • (副詞) 혹시 ∼일지도 모른다. 혹은. 우연히.
  • (接續詞) 만약. 만일. 혹시.

 

당(倘) :

  • (副詞) 혹시 ∼일지도 모른다. 혹은. 우연히.
  • (接續詞) 만약. 만일. 혹시.

 

당(黨) :

  • (副詞) 혹시 ∼일지도 모른다. 혹은. 우연히.
  • (接續詞) 만약. 만일. 혹시.

 

당부(當復) :

  • (副詞) 또한.

 

당사(當使) :

  • (副詞) 만일.

 

당약(倘若) :

  • (接續詞) 번역 않음 (가설을 나타냄).

 

당약(儻若) :

  • (接續詞) 번역 않음 (가설을 나타냄).

 

당응(當應) :

  • (助(動詞) 당연히 ∼하여야 한다.

 

당혹(倘或) :

  • (接續詞) 만약. 만일.

 

당혹(儻或) :

  • (接續詞) 만약. 만일.

 

대(大) :

  • (副詞) (정도가 지나침을 나타냄).

 

대(大) :

  • (副詞) 대단히, 매우.

 

대범(大凡) :

  • (副詞) 해석하지 않는다.(일반벅인 상황을 총괄).

 

대저(大氐) :

  • (副詞) 대개, 대부분.

 

대저(大抵) :

  • (副詞) 대개, 대부분.

 

대저(大底) :

  • (副詞) 대개, 대부분.

 

대졸(大卒) :

  • (副詞) 대부분, 대략.

 

도(都) :

  • (副詞) 전부. 완전히. 총괄하여
  • (感歎詞) 아!

 

도(徒) :

  • (副詞) 헛되이. 보람 없이.
  • 겨우. 근근히. 겨우 ∼이다.
  • 원래는. 결국.

 

독(獨) :

  • (副詞) 단지 ∼만이 있을뿐. 다만. 단지 ∼뿐.
  • 설마 ∼일 리가 있겠는가.

 

독유(獨唯) :

  • (副詞) 단지 ∼만이 있을뿐. 다만. 단지 ∼뿐.
  • 설마 ∼일 리가 있겠는가.

 

독유(獨惟) :

  • (副詞) 단지 ∼만이 있을뿐. 다만. 단지 ∼뿐.
  • 설마 ∼일 리가 있겠는가.

 

돈(頓) :

  • (副詞) 곧장. 즉시.

 

돌(咄) :

  • (感歎詞) 아! 이놈아!.

 

돌돌(咄咄) :

  • (感歎詞) 어렵쇼. 아차.(이상하게 여기는 것).

 

동(動) :

  • (副詞) 항상. 자칫하면.

 

동첩(動輒) :

  • (副詞) 항상. 자칫하면.

 

득(得) :

  • (助(動詞) ∼할 수 있다.
  • 得은 부정을 표시하는 微 · 毋 · 無 · 非 등과 결합하여, 추측 · 의문 · 반문을 표시한다. “…이 아닌가”

 

득망(得亡) :

  • (副詞) 모두 ∼이다. ∼일 것이다.  설마 ~일 리가 없다. ∼아닐까.

 

득무(得毋) :

  • (副詞) 모두∼이다. ∼일 것이다.  설마 ~일 리가 없다. ∼아닐까.

 

득무(得無) :

  • (副詞) 모두∼이다. ∼일 것이다.  설마 ~일 리가 없다. ∼아닐까.

 

득미(得微) :

  • (副詞) 모두∼이다. ∼일 것이다. 설마 ~일 리가 없다. ∼아닐까.

 

득비(得非) :

  • (副詞) 모두∼이다. ∼일 것이다.  설마 ~일 리가 없다. ∼아닐까.

 

락(諾) :

  • (感歎詞) 좋다. 상관 없다.

 

래(來)

  • (助詞) 之, 是와 같음
  • (語氣詞) ∼인가. ∼이다.
  • 해석 않음(음절을 채우거나 문장을 느슨하게함).

 

략(略) :

  • (副詞) 대체로. 대략. 조금. 거의.

 

량(良) :

  • (副詞) 꽤. 매우.
  • 정확한. 실제로. 정말로.

 

려(慮) :

  • (副詞) 대개. 거의. 무릇.

 

령(令) :

  • (接續詞) 가령∼한다면. 만약∼가 된다면.

 

료(聊) :

  • (副詞) 잠시. 잠깐.
  • 대체로. 대개.
  • 극히. 소수의. 전혀 (부정사 앞에서는).

 

료(了) :

  • (副詞) 전혀. 극소수(無, 不 앞에 쓰이며).

 

립(立) :

  • (副詞) 즉시. 곧장.

'한자 한문 공부 > 한문의 허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허사 일람(ㅅ)  (0) 2025.04.09
한문의 허사 일람(ㅁ-ㅂ)  (0) 2025.04.09
한문의 허사 일람-(ㄱ)  (0) 2025.04.06
한문의 虛辭(虛詞)에 대하여  (0) 2022.12.31
한문의 허사(虛詞) 會  (0) 2022.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