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8-5-1-14. 외편 - 가언 - 광입교 - 第十四章 본문
古靈陳先生 爲仙居令 敎其民曰
爲吾民者 父義母慈 兄友弟恭 子孝 夫婦有恩 男女有別 子弟有學 鄕閭有禮 貧窮患難 親戚相救 婚姻死喪 隣保相助 無墮農業 無作盜賊 無學賭博 無好爭訟 無以惡陵善 無以富呑貧 行者讓路 耕者讓畔 斑白者不負戴於道路 則爲禮義之俗矣 《葉祖洽所撰》〈陳先生行狀〉
古靈 陳先生이 仙居令이 되어 그 백성들을 가르쳤다.
“나의 백성이 된 자들은 아버지는 의롭고 어머니는 사랑하며, 형은 우애하고 아우는 공손하며, 자식은 효도하며, 부부간에 은혜가 있으며, 남녀간에 분별이 있으며, 자제에게 배움이 있으며, 마을에는 예절이 있으며, 빈궁과 환난에 친척이 서로 구원하며, 혼인과 喪事에 隣保[이웃마을]가 서로 도우며, 농업을 폐하지 말며, 도적이 되지 말며, 도박을 배우지 말며, 爭訟을 좋아하지 말며, 악으로써 선을 능멸하지 말며, 부유함으로써 가난한 자를 兼并하지 말며, 길가는 자는 길을 양보하며, 밭가는 자는 밭두둑을 양보하며, 머리가 반백이 된 자는 길에서 지거나 이는 일이 없으면 禮義의 풍속이 될 터이다.”
【集說】
陳氏曰
古靈 地名 在福州.
先生 名襄 字述古.
仙居 台州屬邑.
義 謂能正其家.
有恩 謂貧窮相守 若棄妻不養 夫亡改嫁 是無恩也.
有禮 謂歲時相往來及燕飮序齒之類 患難 謂水火盜賊之類.
墮 廢墜也.
賭 博財也 博 局戱也.
陵 侵欺也 呑 兼幷也.
讓路 謂少避長, 輕避重之類 讓畔 謂地有界畔 不相侵奪也.
陳氏가 말하였다.
“古靈은 지명이니, 福州에 있다.
先生의 이름은 襄이요, 字는 述古이다.
仙居는 台州에 속한 읍이다.
義는 그 집안을 바로잡음을 이른다.
有恩은 가난하고 곤궁함에 서로 지켜줌을 이르니, 이를테면 아내를 버리고 양육하지 않거나 남편의 죽음에 개가함은 은혜가 없는 것이다.
有禮는 歲時에 서로 왕래하고, 또 잔치에 나이로 차서하는 따위를 이르고, 환난은 수해·화재·도적 따위를 이른다.
墮는 폐하고 실추함이다.
賭는 재물을 내기함이요, 博은 장기판으로 놀이하는 것이다.
陵은 침해하고 업신여김이요, 呑은 兼幷함이다.
讓路는 어린이가 어른을 피하고 가벼운 짐을 진 자가 무거운 짐을 진 자를 피하는 따위를 이르고, 讓畔은 땅에 경계두둑이 있어서 서로 침해하여 빼앗지 않음을 이른다.”
朱子曰
古靈諭俗一文 平正簡易 許多事 都說盡 可見他一箇大胸襟 包得許多也.
朱子가 말씀하였다.
“古靈이 세속을 敎諭한 글은 平正하고 簡易하여 허다한 일들을 모두 말하였으니, 저 한 개의 큰 흉금이 수많은 것을 포괄하였음을 알 수 있다.”
右 廣立敎.
이상은 立敎를 넓힌 것이다.
'小學集註(소학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8-5-2-15. 외편 - 가언 - 광명륜 - 第十五章 (1) | 2024.01.13 |
---|---|
8-5-2. 외편 - 가언 - 廣明倫 (0) | 2024.01.13 |
8-5-1-13. 외편 - 가언 - 광입교 - 第十三章 (0) | 2024.01.13 |
8-5-1-12. 외편 - 가언 - 광입교 - 第十二章 (0) | 2024.01.13 |
8-5-1-11. 외편 - 가언 - 광입교 - 第十一章 (1) | 2024.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