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313〈秋夜曲〉〈가을밤의 노래〉-王維(왕유)

耽古樓主 2023. 12. 17. 04:23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313〈秋夜曲〉〈가을밤의 노래〉

-王維(왕유)

 

桂魄初生秋露微 輕羅已薄未更衣.
달이 막 솟아 가을 이슬 가늘지만 가벼운 비단옷은 이미 얇은데 갈아입지 않았네.

銀箏夜久殷勤弄 心怯空房不忍歸.
밤 깊도록 銀箏을 하염없이 뜯으니 빈방이 겁나 차마 돌아가지 못하네.

 

 

 

2.通釋

 

달이 이제 막 하늘에 떠서 차가운 가을 이슬이 많지도 않고 무겁게 내리지도 않았지만가벼운 비단옷은 이미 계절에 늦어 얇을 텐데 아직 갈아입지도 못했다.
그런데도 밤 깊도록 銀箏을 안고 세심하게 반복해 연주하고 있구나아무도 없는 싸늘한 빈방에 들어가기 두려워 이렇게 돌아가지 못하는 게 아닐까.

 
 

3.解題

 

이 작품은 閨怨詩로 저작연대는 미상이다.
‘輕羅’와 ‘銀箏’은 여성의 신분을 나타내는데마지막 구절 ‘心怯空房不忍歸’에 혼자 지내기 두려워하는 궁녀의 마음을 담았다.
여기엔 아직 나이가 어리다는 암시가 있다.
원망의 마음을 직접 서술하지 않고, ‘輕羅已薄未更衣’나 ‘銀箏夜久殷勤弄’을 통해 심리상태를 표현하면서 獨守空房의 哀怨을 완곡하게 드러내었다.

 

 

 

4.集評

 

○ 秋夜深閨 銀箏閑撫 以婉約之筆寫之
가을밤의 깊은 규방銀箏을 한가하게 연주하는 모습을 섬세하고 간결한 필치로 묘사했다.
首言弓月初懸 露珠欲結
첫 구절은 초승달이 막 걸려 진주 같은 이슬이 맺히려 함을 말하였다.
如此嫩涼庭院 而羅衫單薄 懶未更衣 已逗出女郞愁思
이처럼 곱지만 처량한 뜰에서 홑겹 적삼을 게을러 아직 갈아입지 않았다고 하여 이미 여자가 수심에 잠겼음을 드러내었다.
後二句言 深夜人靜 尙拂箏弦 非殷勤喜弄也
뒤의 두 구절은 깊은 밤 사람들이 고요한데 아직도 箏弦을 만지고 있으니 은근히 기뻐하며 연주하는 것이 아니다.
以空房心怯 不忍獨歸 作無聊之排悶 錦衾角枕 其情緖可知
빈방을 마음에 두려워하기 때문에 차마 혼자 돌아갈 수 없다고 하여 무료하게 시름을 없애는 방법을 썼으니비단 이불과 뿔 장식을 한 좋은 베개가 놓인 방의 그 정서를 알 만하다.
所謂小膽空房怯 長眉滿鏡愁 卽此曲之意也 現代 兪陛雲《詩境淺說》
이른바 ‘소심해 빈방을 두려워하니긴 눈썹에는 거울 가득 수심뿐[小膽空房怯 長眉滿鏡愁]’이라는 것이 바로 이 노래의 뜻이다.

 

 

 

5.譯註

 

▶ 秋夜曲 이 시는 작자 문제가 있다.
《樂府詩集》과 《萬首唐人絶句》에는 王維의 작품으로 되어 있고《全唐詩話》《唐詩紀事》에는 張仲素의 작품으로 되어 있는데여기서는 通說에 따랐다.
〈秋夜曲〉은 원래 두 수인데이 시는 그중 두 번째 시이다.
▶ 桂魄 달의 다른 이름이다.
달무리[月輪]의 빛이 없는 곳을 ‘魄’이라 하기도 하고, ‘魄’에 ‘처음시작’의 뜻이 있으므로 초승달로 보기도 한다.
달에 계수나무가 있다는 전설은 《酉陽雜俎》에서도 볼 수 있다.
“달에는 높이가 오백 장이나 되는 큰 계수나무가 있고그 나무 아래에 한 사람이 항상 나무를 찍는데나무는 도끼로 상처가 날 때마다 바로 아문다.
그 사람 성명은 吳剛으로신선이 되는 공부를 하다가 잘못을 저질러 유배 가서 나무를 베는 벌을 받은 것이다.[月中有桂高五百丈 下有一人常斫之 樹創隨合 人姓吳名剛 學仙有過 謫令伐樹]”
▶ 銀箏夜久殷勤弄 : ‘銀箏’은 아름답게 장식한 箏을 말한다.
‘箏’은 현악기로 瑟과 비슷하다.
원래는 5絃이었는데 뒤에 12絃이 되었다가 당나라 때는 13絃이 되었다.
‘殷勤弄’은 세심하게 반복해 연주한다는 뜻이다.
▶ 소심해……수심뿐 당나라 시인 常理의 〈古別離〉에 나오는 구절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