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100贈孟浩然〈孟浩然에게 주다〉-李白(이백)

耽古樓主 2023. 11. 19. 09:25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100贈孟浩然〈孟浩然에게 주다〉-李白(이백)

 

吾愛孟夫子 風流天下聞.
나는 맹부자를 사랑하네풍류가 천하에 알려졌도다.

紅顔棄軒冕 白首臥松雲.
젊은 날에 벼슬을 버리고늙어서는 소나무와 구름 속에 누웠다.

醉月頻中聖 迷花不事君.
달에 취하며 자주 성인에 걸려들고꽃에 홀려 임금 섬기지 않았구나.

高山安可仰 徒此揖淸芬.
높은 산과 같으니 어찌 우러러보리그저 맑은 향기를 敬慕할 뿐이라네.

 
 

2.通釋

 
내가 맹호연 선생을 매우 아끼고 사랑하니선생의 풍류는 세상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젊은 시절에는 공명과 관작을 버렸고늙어서는 소나무 우거진 산림 사이에서 은거생활을 하였다.
종종 달을 마주 대하고 술을 마시다 취했고꽃 속에 묻혀서 완상하느라 임금을 섬기지 않았다.
선생의 품격이 저리도 높은 산과 같이 고고하니어찌 나 같은 범상한 사람이 우러러 미칠 수 있겠는가.
단지 선생의 고결하고 향기로운 品德만을 본받으려 할 뿐이다.
 
 
 

3.解題

 

이 시는 李白이 開元 27년(739)에淮南에서 북쪽으로 유람하다 양양에서 맹호연에게 준 것이다혹은 30세 전후의 초기작으로 보기도 한다.
전체의 主旨는 ‘高山安可仰 徒此揖淸芬’ 두 구에 있으며李白이 선배 문인이었던 맹호연에 대해 존모의 감정을 드러냈음을 알 수 있다.
이 시 외에도 그는 일찍이 〈黃鶴樓送孟浩然之廣陵〉‧〈春日歸山寄孟浩然〉 등의 시를 지은 바 있다.
맹호연은 일생을 平靜하게 살았는데, 40세를 전후하여 長安과 洛陽으로 공명을 이루기 위해 떠났던 일과한 차례의 북방 여행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시간을 고향인 鹿門에 은거하며 지냈다.
그의 시는 산수 전원의 淸音農樵와 逸士의 한가로운 정을 느낄 수 있다李白과 杜甫 등 당대 걸출한 시인들이 그의 도덕과 문장을 추숭하였다.

 

 

 

4.集評

 

○ 李白贈浩然詩 乃曰紅顔棄軒冕 浩然本布衣 未嘗棄官來隱 則棄字未穩 朝鮮 李睟光《芝峯類說》 卷10
李白의 〈贈孟浩然〉 시에 ‘紅顔棄軒冕’이라 하였는데맹호연은 본래 布衣로서 일찍이 관직을 버리고 은거한 적이 없으니, ‘棄’자는 온당치 못하다.

○ 太白五言律 如塞下曲宮中行樂圖 極佳者 贈孟浩然……宣城北樓……諸詩 皆使後人斂手耳 明 陳沂《拘虛集》 〈詩談〉
이태백의 오언율시 가운데 〈塞下曲〉‧〈宮中行樂圖〉와 같은 것들은 지극히 아름답다〈贈孟浩然〉……〈宣城北樓〉……등의 여러 시들은 모두 후대 사람들이 공경을 표하게 만들 따름이다.

○ 賦也 按迷花不事君句似欠莹 在白則可 在他人則必爲拘儒所哂矣 明 朱諫《李詩選注》
賦이다. ‘迷花不事君’ 구절은 옥의 티와 같다李白이니 괜찮은 것이지다른 시인이었다면 반드시 편협한 선비들의 비웃음을 샀을 것이다.

 

 

 

5.譯註

 

▶ 孟夫子 孟浩然을 가리킨다夫子는 古代의 남자에 대한 존칭이다.
▶ 風流 맹호연의 風神이 자유롭고 맑으며 品格이 고결함을 이른다.
▶ 軒冕 官爵을 널리 이르는 말이다. ‘軒’은 수레이며, ‘冕’은 고대의 王侯와 高官들이 착용한 禮帽이다.
▶ 臥松雲 산림에 은거함을 지칭한다.
▶ 醉月 술에 취하듯 달에 탐닉한다는 뜻이다.
▶ 中聖 술을 마시고 취했다는 뜻이다삼국시대 나라 曹操가 금주령을 내리자 酒客들이 술이라는 말을 피하기 위하여 淸酒를 聖人이라 하고 濁酒를 賢人이라고 불렀다이때 尙書郞 徐邈이 몹시 술을 좋아한 나머지금주령을 어기고 술을 마시다 적발되자 “성인에게 걸렸다.[中聖人]”라고 익살을 부렸는데뒤에 文帝가 서막을 보고는 “요즘도 성인에게 걸려드는가?[頗復中聖人不]”라고 묻자 “스스로 징계하지 못하고때때로 다시 걸려들곤 합니다.[不能自懲 時復中之]”라고 답한 고사가 전한다《三國志》 27 〈魏書 徐邈傳〉에 이러한 내용이 보인다.
▶ 高山安可仰 《詩經》 〈小雅 車舝〉에 “높은 산을 우러러보고큰 길 따라 나아가리라.[高山仰止 景行行止]”라는 구절이 있는데이는 후대에 崇敬과 仰慕를 의미하게 되었다여기서의 高山은 맹호연의 품격을 비유한 말이다맹호연의 품격이 높아 사람들이 그를 앙모하지만쉽게 다다를 수 있는 경지가 아니라는 뜻이다.
▶ 揖 두 손을 모아 敬慕를 표하는 것이다.
▶ 淸芬 淸美하고 향기로운 名聲으로즉 고결한 品德을 의미한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