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2.感遇(감우)2-張九齡(장구령)

耽古樓主 2023. 7. 30. 09:20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感遇(감우)
-張九齡(장구령)

蘭葉春葳蕤
난초 잎 봄에 무성하고
桂華秋皎潔.
계수나무 꽃 가을에 깨끗하다
欣欣此生意
싱싱하게 솟아나는 이 생기
自爾爲佳節.
각자 좋은 계절 이루는구나
誰知林棲者
뉘 알리오 숲에 사는 자가
聞風坐相悅.
초목의 風致를 듣고 기뻐하는 줄
草木有本心
초목에는 자기 본마음 있으니
何求美人折.
어이 미인이 꺾어주길 바라리오

 

 

2.通釋

봄이 왔을 때 난초 잎 무성하고 가을날엔 계수나무 꽃 깨끗하고 희다. 이렇게 싱싱하게 솟아나는 생기는 각자가 저절로 아름다운 시절을 만든다. 난초와 계수나무는 알기나 할까, 숲 속에 사는 은자가 누가 알아주지 않아도 제철에 아름답게 피어나는 난초와 계수나무가 風致를 듣고 그로 인해서 기뻐하고 있는 줄을. 난초와 계수나무는 봄에 무성하고 가을에 깨끗하게 피는 본마음이 있으니, 어찌 숲에 사는 이가 와서 꺾어주길 바라겠는가.

 
 

3.解題

시의 첫 구절에서 ‘桂華’가 ‘달빛’을 가리킨다고 보기도 했으나 계수나무 꽃을 가리킨다. 계수나무는 난과 함께 香草에 속하는데 굴원의 〈離騷〉에서 향초를 군자에 비유한 맥락과 통한다.
張九齡은 廣東 曲江 사람으로 이 지역은 계수나무가 많이 생산되는 곳이다. 시의 소재를 자기 고향에서 가져와 시에서 흔히 쓰는 ‘가을 국화[秋菊]’를 ‘가을 계수나무[秋桂]’로 바꾸어 표현한 것이다. 시인은 ‘蘭葉’, ‘桂華’를 써서 賢人과 君子가 몸을 깨끗이 하고 自愛하는 것을 비유하였다.

 
 

4.集評

[草木有本心 何求美人折 想見君子立品 卽昌黎 不采而佩 于蘭何傷意] - 淸 沈德潛, 《唐詩別裁集》 卷1
“초목에는 자기 본마음이 있으니, 어이 미인이 꺾어주길 바라리오.” 이 구절은 군자가 品德을 배양하는 것을 상상해 볼 수 있으니, 바로 창려(韓愈)의 “꺾어서 차지 않는다 한들 난초에게 무슨 해가 되겠는가.”와 같은 뜻이다.
[言物各有時 人能識其意 則安命樂天- - 淸 方東樹, 《昭昧詹言》
만물은 각기 때가 있으니, 사람이 그 뜻을 안다면 命을 편안히 여기고 하늘의 뜻을 즐거워한다는 말이다.

 
 

5.譯註

▶ 葳蕤 : 꽃잎이 무성한 모양이다.
▶ 桂華 : 계수나무 꽃이다.
▶ 自爾 : ‘각자’, ‘제각기’라는 뜻이다. 爾는 부사 어미로 쓰였다.
▶ 誰知林棲者 : ‘林棲者’는 隱者를 가리킨다. ‘누가 알겠는가’라고 할 때 누구는 구체적으로 난초와 계수나무를 가리킨다.
▶ 聞風坐相悅 : ‘聞風’은 ‘난초와 계화가 제철에 잘 피어나는 풍치를 듣는다.’는 의미이고, ‘坐’는 ‘因하여’라는 뜻으로 ‘초목의 풍치를 듣고 이로 인해 기뻐한다.’는 의미이다. 聞風에는 仰慕한다는 뜻이 있다. 《孟子》 〈盡心 下〉에, “伯夷의 風度를 들은 사람 가운데 완고한 사람은 청렴해지고 나약한 사람은 뜻을 세우게 되며, 柳下惠의 風度를 들은 사람 가운데 박한 사람은 돈독해지고 비루한 사람은 관대해진다. 百世 이전에 분발하였거든 百世 후에도, 풍모를 들은 사람들 중 흥기하지 않는 이가 없을 것이다.[聞伯夷之風者 頑夫廉 懦夫有立志 聞柳下惠之風者 薄夫敦 鄙夫寬 奮乎百世之上 百世之下 聞者莫不興起也]”라는 말에서 취한 것이다.
▶ 草木 : 여기서는 난초와 계화를 가리킨다.
▶ 本心 : 봄에는 무성하고 가을에 깨끗한 난초와 계화의 본성을 말한다.
▶ 何求美人折 : 미인은 시의 맥락에서 일차적으로 林棲者를 가리킨다. 의미상으로는 초목에 자신을 비유하고 미인은 임금과 재상을 비유해, ‘이미 자연으로 돌아와 은거하고 있으니 임금이나 재상이 자신을 써 주기를 바라지 않는다.’는 뜻이다.
▶ 不采而佩 于蘭何傷 : 이 구절은 韓愈의 〈猗蘭操〉에 보인다. 이는 깊은 골짜기에 피어 있는 난초가 아무도 자기를 알아보고 꺾어 주는 이가 없어도 원망하지 않듯이 선비도 자신이 나서서 자기 재능을 세상이 알아주기를 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感遇2>-張九齡
 

6.引用

이 자료는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