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269)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정의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열다섯 번째 절기. 내용 처서와 추분 사이에 들며, 양력 9월 9일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165°에 올 때이다.이때쯤이면 밤에 기온이 내려가고, 대기 중의 수증기가 엉켜서 풀잎에 이슬이 맺혀 가을 기운이 완전히 나타난다.옛 중국 사람들은 백로입기일(白露入氣日)로부터 추분까지의 시기를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그 특징을 말하였는데,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중후(中候)에는 제비가 강남으로 돌아가며, 말후(末候)에는 뭇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고 하였다.이 때 우리 나라에는 장마도 걷히고 중후와 말후에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된다.간혹 남쪽에서 불어오는 태풍이 곡식을 넘어뜨리고 해일(海溢)의 피해를 가져오기도 한다. 백로가 음력 7월 중에 드는 수도 ..
입추(立秋) 정의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열세 번째 절기. 내용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에 들어 있으며, 음력 7월, 양력 8월 8일경이 된다. 태양의 황경이 135°에 있을 때이다.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다는 뜻으로, 화성(火星)은 서쪽으로 흘러 있고 미성(尾星)은 중천에 떠 있다. 어쩌다 늦더위가 있기도 하지만, 칠월칠석을 전후하므로 밤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따라서, 이때부터 가을채비를 시작하여야 한다.특히, 이때에 김장용 무·배추를 심고 9, 10월 서리가 내리고 얼기 전에 거두어서 겨울김장에 대비한다. 김매기도 끝나가고 농촌도 한가해지기 시작하니 ‘어정 7월 건들 8월’이라는 말이 거의 전국적으로 전해진다.이 말은 5월이 모내기와 보리수확으로 매..

“때아닌 때에 먹지 말라(不非時食)" 때아닌 때라는 것은 오정(午正)을 지나면 스님들이 밥 먹는 때가 아니라는 것이다. 제때 아니면 먹지 말라. 천신들은 가볍고 맑아 아침에 먹고, 짐승은 둔탁해서 오후에 먹으며, 귀신은 겁이 많아 밤에 먹는다. 그러나 부처님 법은 중도(中道)이니 정오에 먹는다. 많이 먹으려 하지 말고 맛을 탐해 먹으려고도 하지 마라. 오후에 먹지 않으면 여섯 가지 복이 생긴다. 아귀들은 항상 주려 바리 소리만 들어도 목구멍에서 불이 일어난다는데 어찌 제때도 아닌데 먹을 것인가. 이 사미의 계를 범하면 사미가 아니다.이것리 사미십계(沙彌十戒) 중 아홉 번째 계율이다.옛날 어떤 큰스님은 곁방에서 오후에 밥 짓는 것을 보고 눈물을 흘리면서 불법이 쇠퇴하는 것을 걱정하였다 한다.지금 사람들은..

張猛龍碑 해설 장맹룡비는 그보다 3년 전 세워진 賈思伯碑(519)와 유사하여 동일 서단자로 보는데, 청의 康有為는 廣藝舟雙楫 에서 “魏碑가 있으면 南朝 · 齊朝 · 周朝의 비문이 모두 없어도 좋다”라고 했는데, 그러면서도 특히 장맹룡비와 가사백비를 “마치 周公이 예법을 만든 것처럼 일일이 모든 것들이 아름답다(如周公制禮, 事事皆美善)”고 했으며, “정자체의 변화된 모습에서 종주가 된다(正體變化之宗)”고 극찬했고, 필법이 위씨의 근원으로 소급하니 결구가 매우 뛰어나 변화에 끝이 없다(導源衛氏 而結構精絶, 變化無端)"고 하여 장맹룡비를 북위의 諸碑 중 높이 평가하면서 결론으로 광예주쌍즙의 ‘餘論’편에 “나는 행서로써는 蘭亭序가 가장 낫고 해서로써는 장맹룡비가 가장 낫다고 생각 한다”고 극찬했다. 장맹룡비..

뱃살이 가장 늦게 빠지는 살일까?전체적인 체형에서 유독 신경 쓰이는 부위가 하나 있으니, 그건 바로 ‘배’인데요. 특히 앉아서 대화를 할 때 배 부분이 접혀 뱃살이 나온 것처럼 보인다면 앉아있는 내내 신경 쓰이기도 합니다. 또 다른 곳은 비교적 슬림한데, ’뱃살‘만 유독 나와있는 체형을 가진 분들도 있습니다.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의 논문*에 따르면 성인의 뱃살의 종류는 크게 4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뱃살 종류에 따라 빼는 방법도 모두 달랐는데요. 사회적인 모습을 위한 외모관리를 위해서도, 나의 건강을 위해서도 반드시 관리가 필요한 뱃살! 오늘은 뱃살은 왜 유독 더디게 빠지는 것처럼 느껴지는지 그 이유와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논문에 기재된 뱃살 빼는 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출처 :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뱃..
정의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열두 번째 절기. 내용 小暑와 立秋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6월에 들고, 양력으로는 7월 23일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120°가 되는 때이다. 이 시기는 대개 중복(中伏) 때이며 더위가 심한 시기이다. 옛날에는 논의 김을 매어주었으나 지금은 제초제를 뿌리고 논김은 매지 않는다.그러나 밭김은 매어주고 논밭두렁의 잡초베기와 퇴비장만 등이 이 무렵에 계속된다. 옛날 중국에서는 대서입기일(大暑入氣日)로부터 입추까지의 기간을 5일씩 끊어서 삼후(三候)로 하였는데, 초후(初候)에는 썩은 풀이 변하여 반딧불이 되고, 중후(中候)에는 흙이 습하고 무더워지며, 말후(末候)에는 큰비가 때때로 내린다고 하였다. 이 무렵은 몹시 더우며, 소서 때부터 장마전선이 한반도에..
정의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열한 번째 절기. 내용 하지와 대서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6월에 들며, 양력으로는 7월 7일이나 8일께가 된다. 태양이 황경 105°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이 시기에는 장마전선이 우리 나라에 오래 자리잡아 습도가 높아지고, 장마철을 이루는 수가 많다.예전에는 한 절기 앞선 하지 무렵에 모내기를 끝내고, 모를 낸 20일 뒤 소서 때는 논매기를 했으나, 지금은 제초제를 뿌리고 논김은 매지 않는다. 팥·콩·조들도 가을보리를 한 하지 무렵에 심고, 소서 무렵에 김을 매준다. 또, 이때 퇴비(堆肥) 장만과 논두렁의 잡초깎기도 한다. 소서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므로 온갖 과일과 소채가 풍성해지고 밀과 보리도 먹게 된다. 특히, 음력 5월 단오를..

헬스장에는 러닝머신만큼이나 남녀노소 꾸준한 사랑을 받는 운동이 몇 가지 있다. 대표적으로 팔뚝살을 위한 '킥 백', 어깨 운동인 사이드 '래터럴 레이즈', 허벅지 안쪽을 단련하는 '힙 어덕션'과 엉덩이 운동인 '사이드 레그 레이즈' 등이다. 이런 운동들은 비슷한 점이 있는데 첫째는 힘이 많이 안든다는 점, 둘째는 해당 운동이 많은 이들이 컴플렉스로 느끼는 부위의 운동이라는 것이다. 이번 회차에서는 이 가운데서 여성들에게 특히 사랑받는 운동인 사이드 레그 레이즈에 대해 알아본다.난이도는 매우 낮다.순서대로 따라한다면 중둔근(엉덩이 근육)에 정확히 콕콕 박히는 자극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1. 운동방법사이드 레그 레이즈를 할 땐 옆으로 반듯하게 누워야 한다. 중심을 잡기 힘들 땐 손으로 땅을 짚어도 된다. ..
티스토리를 하면서 서식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그때 중복되는 단어를 한꺼번에 바꿔주는 기능이 절실했습니다.한글이나 스크리브너 등 문서 편집 프로그램에서는 Ctrl+F로 바꿀 단어를 찾아 한꺼번에 바꿔주는 게 가능한데, 웹창에서는 방법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하여 그동안은 Ctrl+F로 바꿀 단어를 찾아 일일이 수동으로 '복붙'해 바꿨었는데, 이번에 이 문제를 해결해 줄 앱을 찾았습니다. 크롬 확장프로그램 'Find & Replace for Text Editing'입니다. 웹에서 글 쓸 때 글자를 한꺼번에 바꿔줄 수 있는 프로그램 'Find & Replace for Text Editing' 앱은 일명 '텍스트 편집을 위한 찾기 및 바꾸기' 프로그램으로서 구글 웹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글 쓰는 ..

건강의 敵 '내장지방'을 빼려면? 肥滿은 심뇌혈관질환 등 致命的인 질병을 誘發할 수 있다. 같은 肥滿이라도 체지방이 어디에 많이 분포해 있느냐가, 體重이나 체지방량보다 疾病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뱃속 내장 사이에 끼어있는 내장지방은 혈관과 心臟 · 腦 등의 장기를 망가뜨린다.◇내장지방의 주범은 과식 · 음주내장지방은 뱃속에 蓄積된 지방이다. 체지방에서 내장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남성 20%, 여성 6%로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다. 그러나 여성이 폐경이 되면 내장지방 축적을 막는 여성호르몬이 부족해지면서 내장지방 축적이 가속화된다. 내장지방은 왜 생길까? 과식 · 음주 · 신체활동 부족 등이 원인이다. 특히 술은 내장지방 축적의 주범이다. 동국대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팀이 건강한 남성 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