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50.聽董大彈胡笳弄兼寄語房給事(청동대탄호가롱겸기어방급사)-李頎(이기)

耽古樓主 2023. 11. 3. 00:40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聽董大彈胡笳弄兼寄語房給事(청동대탄호가롱겸기어방급사)
-李頎(이기)

 

蔡女昔造胡笳聲一彈一十有八拍.
그 옛날 蔡女가 胡笳聲에 정통하여胡笳十八拍을 한 번 연주하니

胡人落淚沾邊草漢使斷腸對歸客.
胡人은 눈물 흘려 변방의 풀을 적시고한나라 사신도 애끊는 마음으로 돌아가는 蔡女를 바라보는데

古戍蒼蒼烽火寒大荒沈沈飛雪白.
蒼然한 옛 수자리에 봉화대는 싸늘하고침침한 황야엔 흰 눈이 휘날렸네.

先拂商絃後角羽四郊秋葉驚摵摵.
먼저 商絃을 뜯은 후 角絃 羽絃을 뜯으니사방에 가을 낙엽이 놀라 우수수 떨어진다.

董夫子通神明深松竊聽來妖精.
董夫子는 神明과 통하여깊은 솔숲 요정이 몰래 와 엿듣다.

言遲更速皆應手將往復旋如有情.
느렸다가 다시 빠름에손이 모두 따르고 가려다 다시 돌아옴에 마치 을 품은 듯

空山百鳥散還合萬里浮雲陰且晴.
빈 산의 뭇 새들 흩어졌다 다시 모여들고만 리에 뜬 구름은 흐렸다 또 개인다.

嘶酸雛雁失群夜斷絶胡兒戀母聲.
떼를 잃은 아기 기러기 밤에 슬피 우는 듯오랑캐 아이 어미 그려 애간장 끊는 소리.

川爲靜其波鳥亦罷其鳴.
그 소리에 하천은 물결을 조용히 하고새들도 울음소리를 그친다.

烏孫部落家鄕遠邏娑沙塵哀怨生.
烏孫 마을에서 머나먼 고향 집을 생각하는 듯邏娑城의 모래먼지에서 哀怨이 솟아나는 듯.

幽音變調忽飄灑長風吹林雨墮瓦.
그윽한 소리 가락이 바뀌니 홀연히 비바람이 뿌리고긴 바람 숲에 불고 빗줄기가 기와에 떨어지는 듯.

迸泉颯颯飛木末野鹿呦呦走堂下.
콸콸 뿜는 샘물이 나무 끝에 날리고들 사슴은 울어대며 뜰아래로 달리는 듯.

長安城連東掖垣鳳凰池對靑瑣門.
長安城은 東掖垣으로 이어지고鳳凰池와 마주한 靑瑣門에서

高才脫略名與利日夕望君抱琴至.
높은 재주로 名利에서 벗어난 이가밤낮 그대가 칠현금 안고 오길 기다린다네.

 
 

2.通釋

 

그 옛날 흉노족에게 잡혀갔던 蔡文姬는 북방 오랑캐 악기인 胡笳의 소리에 정통하였다.
그녀가 그것을 琴曲으로 편곡한 胡笳十八拍을 한번 연주할 때면 胡人들도 눈물 흘려 풀잎을 적시고한나라 사신도 애끊는 마음으로 귀향하는 채문희를 바라보았으리라.
그때 蒼然한 옛 수자리에 급박한 전장의 소식을 알리던 봉화대는 쓸쓸히 퇴락해 있고적막하고 침침한 광야엔 흰 눈만이 휘날리고 있었을 것이다.
이제 董庭蘭이 먼저 商音을 치고이어 角音羽音을 치니 사방의 가을 낙엽이 우수수 떨어진다동정란이 을 타는 솜씨는 神明과 통하니깊은 솔숲의 요정이 엿듣는 듯하다.
느렸다가 다시 빨라졌다하는 곡조에 따라 손이 따라서 움직이고앞으로 나아가려다 다시 되돌아오는 가락은 마치 情을 품은 듯하여 빈 산의 뭇 새들은 흩어졌다 다시 모이고만 리에 뜬 구름은 흐렸다 다시 개인다.
또 그 소리무리를 잃은 아기 기러기가 밤에 슬피 우는 듯채문희가 흉노에 두고 온 아들이 엄마를 찾아 우는 듯하니이 때문에 시내의 물결도 고요해지고새들도 소리를 멈춘다.
烏孫國으로 시집간 王細君이 異域萬里 타향에서 고향 집을 그리워하는 듯邏娑城의 모래먼지 속에 吐藩國으로 시집간 文成公主와 金成公主의 哀怨이 일어나는 듯연주 소리가 울린다그 그윽한 소리의 가락이 바뀌니 홀연히 비바람 뿌리고긴 바람 숲에 불고 빗줄기 기와에 떨어지고물을 뿜는 샘물은 콸콸 나무 끝에 날고들사슴이 삐익삐익 울며 뜰아래로 달아나는 듯하다.
황제가 계신 長安城과 이어져있는 東掖垣鳳凰池와 靑瑣門를 마주한 그곳에서큰 재능으로 名利에서 벗어나 있는 방관은 밤낮 동정란이 칠현금을 안고 오길 기다린다.

 

 
 

3.解題

 

이 작품은 唐代 殷璠이 편찬한 《河嶽英靈集》에 선집되어 있는 李頎의 대표작이다작품의 정황으로 보아 李頎가 46세 즈음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방관이 開寶 5년(746)에 給事職을 하사 받고 바로 이듬해에 宜春太守로 좌천되기 때문이다이 작품은 음악소리에 대한 묘사가 뛰어난데邊塞詩의 분위기를 끌어들이며 다양한 전거와 비유로 형상화하고 있다.

 

 

 

4.集評

 

 ○ 此因房琯好董之調琴 而盛美其曲以戱之也
이 작품은 房琯이 董庭蘭의 琴 연주를 좋아했기 때문에그 곡을 찬미하여 그를 희롱한 것이다.
飜笳調以入琴 自文姬始 故先狀其曲之悲 而後敍董音律之妙
호가의 음조를 바꾸어 琴調로 연주한 것이 채문희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먼저 그 곡의 비애를 묘사하였고이후에 동정란이 연주한 音律의 오묘함을 서술하였다.
言其聲之通靈 其能感鬼神 下飛鳥而遏行雲矣
그 소리가 신령과 통하여 능히 귀신을 감동시킬 수 있으며날던 새도 내려앉게 하고 흘러가는 구름도 멈추게 한다고 말하고 있다.
復爲雛雁胡兒分別之音 而川靜其波
다시 어린 기러기와 (채문희가 두고 온오랑캐 아이들이 헤어질 때 울던 소리를 내어 시냇물이 물결을 잦아들게 하고 새들도 울음소리를 그치게 한다고 하였다.
鳥收其響 烏珠之類 咸起鄕土之思也
烏珠(서역 변방국의 군왕)類의 이야기는 모두 고향을 그리워하는 생각을 일으킨다.
及其變調促節 大逞厥聲 則若風雨之猋疾 水泉之飛灑 野獸感之而游于堂廡矣
변조에 이르러서는 음절이 빨라지고 그 소리가 더욱 커져 마치 비바람이 빠르게 몰아치고 샘물이 공중에 날리고들판의 짐승들이 그 소리에 감흥하여 건물 아래에서 뛰어노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其技如此 是以給事居森嚴之地 處淸要之職 方脫略名利而望其抱琴來過也
동정란의 기예가 이와 같으니이로 인해 방급사가 삼엄한 지역에 거처하고 있고 청요의 직책을 맡고 있지만 名利를 벗어버리고 동정란이 금을 안고 오기를 바란다고 한 것이다.
此雖弄之 而無譏刺意 明 唐汝詢《唐詩解》 卷17
이 작품은 비록 희롱한다고 하였지만 풍자의 뜻이 없다.

 

 

 

5.譯註

 

▶ 聽董大彈胡笳弄 兼寄語房給事 원래 제목은 〈동대가 호가를 타는 소리를 듣고 겸하여 말을 전하여 방급사를 놀리다[聽董大彈胡笳聲 兼寄語弄房給事]〉인데이 제목에는 이견이 있다兪守眞이 《唐詩三百首詳析》에서, “唐史를 살펴보니董庭蘭이 琴을 잘 연주하였는데房琯의 門客이 되었다일찍이 으로 胡笳의 소리를 연주하고 ‘胡笳弄’이라고 하였다제목 중에 ‘弄’자는 ‘胡笳’의 아래 있어야 한다. ‘弄’자가 琴曲의 다른 이름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여제목이 〈聽董大彈胡笳弄 兼寄語房給事〉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 董大 동씨 형제들 중의 첫째를 일컬은 것으로 董庭蘭(695~765)을 지칭한다동정란은 隴西人으로 開元‧天寶 년간의 유명한 琴師이다《新唐書》 〈房琯傳〉에는 동정란이 房琯의 문객으로 있으면서 뇌물을 받았고 이로 인하여 방관이 좌천되었다는 기록이 전하는데政敵의 악의적 비방에 의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 胡笳弄 琴曲의 이름이다蔡女가 歸國할 때 胡笳의 곡조를 琴曲으로 번안한 것으로, ‘胡笳十八拍’을 지칭한다胡笳는 북방 이민족이 불던 피리의 일종으로갈잎으로 만들었다는 설이 있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 房給事 房琯(697~763)을 지칭한다방관은 河南人으로 는 次律이다玄宗과 肅宗 代에 걸쳐 宰相을 지냈으며李頎孟浩然王維儲光羲綦毋潛高適杜甫 등과 교유하였다. 757년 두보가 拾遺의 벼슬을 얻게 된 것도 방관의 추천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당시 벼슬이 給事中이었으므로 ‘房給事’라 칭하였다.
▶ 蔡女 後漢시대 蔡邕의 딸로蔡琰을 지칭한다가 文姬이므로 일반적으로 ‘채문희’라 칭한다董卓의 을 만나 남흉노에게 끌려가 左賢王의 첩이 되어 아들 둘을 낳고 12년간 억류되었다그 뒤 曹操에 의해 獻帝 建安 13년(208) 에 다시 중원으로 돌아와 董祠에게 시집갔는데 박식하고 재주가 뛰어났다고 한다자신의 기구한 운명을 〈悲憤歌〉라는 시로 남겼다.
▶ 一十有八拍 채염이 지은 ‘胡笳十八拍’을 지칭한다.
▶ 漢使 조조가 채염을 송환하기 위하여 흉노로 파견한 사신을 가리킨다.
▶ 歸客 채염이 흉노에서 조국인 한나라로 돌아오기 때문에 ‘歸客’이라 하였다.
▶ 先拂商絃後角羽 먼저 商絃을 뜯은 후 角絃 羽絃을 뜯는다는 五音에 속한다《三禮圖》에 의 첫 번째 줄은 그 다음은 小宮小商 등 모두 七絃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 摵摵 낙엽이 떨어지는 소리이다.
▶ 松 : ‘山’으로 되어 있는 本도 있다.
▶ 斷絶胡兒戀母聲 채염이 한나라로 돌아올 때 흉노에서 낳은 두 아들을 두고 왔는데이 아이들이 엄마를 그리워 우는 소리를 연상케 한다는 뜻이다.
▶ 烏孫部落家鄕遠 : ‘烏孫部落’은 중국 서역의 新疆省에 있던 烏孫國을 지칭한다나라 武帝 때 和親을 도모하기 위하여 江都王 劉建의 딸 細君을 烏孫國王에게 시집보냈는데이때 고향을 떠나 異域萬里로 시집가는 왕세군의 슬픔을 연상케 한다는 뜻이다. ‘烏孫’이 ‘烏珠’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邏娑沙塵哀怨生 : ‘邏娑’는 지금의 西藏 라싸市로서 티베트의 옛 수도이다당나라 초기 강성해진 藏族의 吐藩國과 정략결혼을 위하여 文成公主와 金成公主를 이곳으로 시집보냈는데그녀들의 哀怨을 연상케 한다는 뜻이다.
▶ 颯颯 바람소리 또는 물소리이다여기서는 샘물소리를 형용하였다.
▶ 呦呦 사슴의 울음소리이다.
▶ 東掖垣 門下省을 지칭한다당나라 때 문하성은 中書省과 더불어 각기 皇宮의 동서 양쪽에 있었으므로 사람의 겨드랑이와 같다는 의미에서 ‘東掖垣’, ‘西掖垣’이라 불렀다.
▶ 鳳凰池 中書省 안에 있는 못으로 중서성을 지칭한다.
▶ 靑瑣門 門下省의 宮門이다당시 房琯의 관직인 給事中은 문하성 소속이었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