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蒙求(몽구)258-董生下帷(동생하유) 본문

蒙求(몽구)

蒙求(몽구)258-董生下帷(동생하유)

구글서생 2023. 4. 7. 01:45

蒙求(몽구) 董生下帷(동생하유)

by 耽古書生

董生下帷- 董仲舒가 휘장을 내리고 제자들에게 講誦하다. 

 

前漢董仲舒廣川人.
前漢董仲舒廣川人이다.

 

少治春秋. 孝景時爲博士.

젊어서 春秋를 익히어 孝景王 博士가 되었다.

 

下帷講誦 弟子傳以久次相授業.

휘장을 내리고 소리 내어 읽고 외면, 제자들이 전하여 오래인 차례로 修業하였다.

 

或莫見其面.

동중서의 얼굴을 보지 못한 자도 있었다.

 

蓋三年不窺園. 其精如此.

대략 3년 동안 동산의 경치를 감상하지 않았으니 그 精慮함이 이와 같았다.

 

進退容止非禮不行. 學士皆師尊之.

나아가고 물러감과 의표와 행동에 예가 아니면 행하지 않으니 배우는 선비들이 모두 스승으로 존경했다.

容止: 儀容擧止

 

武帝擧賢良 對策爲江都相 事易王.

武帝 賢良으로 뽑혀 對策으로 江都의 정승이 되어 易王을 섬겼다.

賢良: 在古代贤良乃古代选拔统治人才的科目之一以至于人们习惯于把贤良一词比作最忠诚聪慧的大臣此外还有同名专辑和地名等

江都: 扬州的别名

對策: 古时就政事经义等设问由应试者对答. 自汉起作为取士考试的一种形式

 

王帝兄 素驕好勇. 仲舒以禮誼正. 王敬重焉.

易王은 황제의 형으로서 본래 교만하고 용맹을 좋아했으나, 동중서가 禮誼로써 바로잡으니, 왕은 공경하며 소중히 여겼다.

 

治國以春秋災異之變 推陰陽所以錯行.

나라 다스리는 방법은 <春秋>天變地異變事를 예로 삼되, 陰陽二氣가 교체하는 원리를 적용하였다.

 

求雨閉諸陽縱諸陰. 其止雨反是.

예컨대 비를 구하는 데는 모든 은 닫고 모든 을 풀어 놓는다. 비를 그치게 하려면 그와 반대로 하였다.

 

行之得所欲.

실행하는 대로 원하는 바를 얻었다.

 

公孫弘治春秋 不如仲舒.

公孫弘<春秋>를 배웠지만 동중서만 못하였다.

: 从事研究

 

希世用事 位至公卿.

세속에 영합하여 권력을 잡았고 지위가 公卿에 이르렀다.

希世: 世所罕有 . 迎合世俗;迎合统治者的意志

用事:當權執政 =行事, 爲事

 

仲舒以弘爲從諛 弘嫉之. 乃言之於上 使相膠西王.

동중서가 공손홍이 아첨한다고 하자, 공손홍은 그를 미워하여 황제에게 말하여 그를 膠西王의 정승이 되게 했다.

 

王亦帝兄 尤縱恣. 聞仲舒大儒 善待之.

교서왕도 역시 황제의 형으로서 더욱 방자했으나, 동중서가 大儒라는 말을 듣고 잘 대우하였다.

 

凡相兩國驕主 正身而率下 數上疏諫爭 敎令國中 所居而治.

무릇 두 나라의 교만한 임금에게 정승을 지냈으나, 몸을 바르게 하여 아랫사람을 거느리고, 자주 를 올려 諫爭하고 나라에 명령을 내리니, 그가 가는 곳마다 잘 다스려졌다.

 

及去位 不問家産業 以修學著書爲事.

지위에서 떠나게 되자 집의 産業을 돌보지 않고, 학문을 닦고 책을 저술하는 데 종사하였다.

 

朝廷有大議 使使者就問之. 其對皆有明法.

조정에 큰 의논이 있으면 使者를 보내어 묻게 하였는데, 그 대답에 모두 법을 밝힘이 있었다.

 

自魏其武安侯爲相 而隆儒 及仲舒對冊 推明孔子 抑黜百家.

魏其侯 竇嬰武安侯 田蚡이 승상이 되자 선비를 높이 대접하였고, 동중서가 對策함에 이르러서는 孔子를 올려 밝히고 百家를 억제해서 내쫓았다.

 

立學校之官 州郡擧茂才孝廉 皆自仲舒發之.

학교와 관청을 세워 州郡에서 茂才孝廉을 천거했는데 이것은 모두 동중서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以壽終家. 徙茂陵 子及孫皆至大官.

를 다하고 집에서 생을 마쳤는데 그의 집은 茂陵으로 옮겼고 아들 및 손자가 모두 大官에 이르렀다.

 

[註解]

前漢- <한서> <열전> 26에 있는 이야기임. <史記>열전61 儒林傳에도 있음.

春秋- 孔子가 저술한 나라 역사책.

易王- 나라 황제의 형.

公孫弘- 漢代의 재상. 山東 菑川사람.

對冊- 對策. 과거에서 정치 또는 經義에 대하여 문제를 내어 답안을 쓰게 하는 일. 漢武帝董仲舒를 시험한 데서 시작됨.

茂才- 재주가 뛰어남. 後漢의 관리 등용 과목의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