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200.同題仙游觀〈동제선유관〉-韓翃(한굉)

耽古樓主 2023. 12. 5. 08:13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同題仙游觀〈仙游觀에 함께 題하다〉
-韓翃(한굉)

 

仙臺下見五城樓 風物淒淒宿雨收.
仙臺에서 五城十二樓를 내려다보니 景物이 청초한 것은 간밤의 비가 그쳐서인가.

山色遙連秦樹晩 砧聲近報漢宮秋.
산 빛은 멀리 저물녘 秦 땅 나무에 이어져 있고 다듬이질 소리 가까이서 漢宮의 가을을 알려주누나.

疎松影落空壇靜 細草香閑小洞幽.
성긴 소나무 그림자 드리운 곳에 텅 빈 제단 고요하고 가는 풀 향기 그윽한 곳에 작은 골짝이 깊숙하다.

何用別尋方外去 人間亦自有丹丘.
어찌 따로 方外를 찾아 떠나리오 인간 세상 이곳에도 丹丘가 있는 것을.

 
 

2.通釋

 

仙臺에서 五城十二樓를 내려다보니어젯밤에 내리던 비가 그친 후 景物이 청초한 모습을 드러냈다.
저녁 무렵 푸른 산 빛과 秦 땅 나무가 서로 이어져 있는데다듬이질 소리 들려오니 漢宮에 가을이 저물고 있음을 또한 알려주는 것이다.
道觀의 祭壇은 참으로 고요한데 다만 드문드문 소나무의 그림자만이 있고작은 골짜기에는 가느다란 풀이 그윽한 향기를 내어 閑適한 느낌을 준다.
어찌 꼭 다시 世外의 淨土를 찾아 떠나리오인간 세상에도 丹丘 仙境이 있는 것을.

 
 

3.解題

 

이 작품은 寺觀에 題한 시이다.
仙游觀은 일설에 지금의 河南省 登封縣 북쪽 嵩山 기슭에 있었다고 한다.
初唐 때 道士 潘師正이 逍遙谷에 살았는데 唐 高宗이 그를 매우 존경하여 반사정이 살던 곳에 崇唐觀을 짓도록 명하였고또 逍遙谷에다 문을 세워 ‘仙游’라고 이름하였으며훗날 ‘숭당관’의 이름을 고쳐 ‘선유관’이라 했다는 것이다또 다른 설에는 陝西省 麟游縣 성 북쪽 교외에 있다고 하는데여기서는 후자를 따랐다.
시인은 道觀 주변의 풍경이 지니고 있는 맑음과 그윽함고요함을 묘사하는 데 주력하였는데이는 인간 세상에도 仙境이 있는데 어찌 꼭 이것을 버려두고 세상 밖의 虛無한 지경을 찾으려 하는가.’라는 깨달음을 독자에게 주기 위해서이다.
전체 시는 ‘宿雨’로부터 ‘秦樹’의 저녁까지하루 동안의 경물의 변화를 그린다.
5‧6구에서는 法壇과 洞室의 풍경을 묘사하였고, 7‧8구에서는 선유관의 閑靜함을 극단적으로 묘사하여 그것이 인간세계의 淨土임을 보여준다.
시 자체에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지는 않지만對句가 정교하고 音韻이 조화로우며 언어가 매우 아름답다는 평을 듣는다.

 

 

 

4.集評

 

 

 

5.譯註

 

▶ 仙游觀 唐 高宗 때 건립한 道觀으로 陝西省 麟游縣 城 북쪽 교외에 있다전설에 의하면 赤脚仙이 일찍이 이곳에서 노닐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명명하였다고 한다.
▶ 仙臺下見五城樓 : ‘仙臺’는 道觀 앞의 高臺이다. ‘下見’이 ‘初見’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五城樓’는 ‘五城十二樓’라고도 하는데전설상의 神仙이 사는 곳이다.
▶ 風物 風景이다.
▶ 秦樹 秦 땅의 나무이다은 지금의 陝西省 關中 일대이다.
▶ 漢宮 洛陽의 唐나라 궁궐을 가리킨다.
▶ 香閑 그윽한 향기이다. ‘春香’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閑’이 ‘生’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方外 世外의 뜻으로신선이 사는 곳을 가리킨다.
▶ 丹丘 神仙이 살고 있는 곳이다《楚辭》 〈遠遊〉에 “丹丘로 仙人에게 나아가 죽지 않는 옛 고향에 머무르리.[仍羽人於丹丘兮 留不死之舊鄕]”라고 하였다여기서는 선유관을 가리킨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