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題目 作者 原文 解釋
長沙過賈誼宅〈長沙에서 賈誼의 옛 집을 지나며 〉 -劉長卿(유장경) |
三年謫宦此棲遲 萬古惟留楚客悲.
삼 년의 적거생활 이곳에 머무니 만고토록 楚客의 슬픔만 남아 있구나.
秋草獨尋人去後 寒林空見日斜時.
가을 풀 속에 홀로 찾았건만 사람은 가고 난 뒤 찬 숲에 그저 바라보니 해가 비끼는 때라.
漢文有道恩猶薄 湘水無情弔豈知.
漢 文帝는 도가 있어도 은혜는 박했고 湘水는 무정하니 조문하는 마음 어찌 알까.
寂寂江山搖落處 憐君何事到天涯.
적막한 강과 산, 황량한 곳에 가엾은 그대, 어인 일로 하늘 끝까지 왔는가.
2.通釋
그대는 세상을 떠나가고 옛 집만 남았는데, 가을 풀 자라 있는 그곳, 나 홀 로 찾아와 배회하고 있다.
寒氣 어린 가을 숲에서, 멍하니 고택을 바라보다 보니 어느덧 해는 기울어져 갈 때가 되었다.
漢 文帝는 英明한 군주였으나 그대를 중용하지 않았으니 그 은혜가 미치지 못한 셈이다.
저 무심히 흘러가는 상수는, 그대가 屈原을 위해 조문하는 글을 써 슬퍼했던 것을 알기나 할는지 모르겠다.
강산은 쓸쓸하여, 곳곳이 凋落한 景色을 띠고 있으니 그대는 무엇 때문에 이렇게 먼 곳까지 왔는지, 안타깝기만 하다.
3.解題
이는 가의의 고택을 지나면서 지은 懷古詩이다.
唐代의 장사 지역에는 漢나라 賈誼가 살았던 유적지가 있는데, 시인은 이곳을 지나다가 가의의 처지와 자신의 처지가 비슷하다는 감정이 촉발되어 시를 지었다.
시에서 비록 옛일을 빌어 가을의 풍경과 가의의 悲哀感을 말하였지만, 기실은 스스로를 가엾게 여긴 것이라 보인다.
1‧2구에서는 먼저 가의가 장사로 폄적되었던 옛일을 말하여 제목을 설명하였다.
3‧4구에서는 눈앞에 펼쳐진 가을날의 쓸쓸하고 영락한 풍경을 묘사하였는데, 이는 한 폭의 蕭條한 그림을 감상하는 듯하다.
5‧6구에서는 다시 〈弔屈原賦〉를 지은 가의의 심정을 빌어 자신의 처지를 드러냈다.
마지막 7‧8구에서는 다시 가을의 경치를 묘사하며 가의의 고사를 끌어와 자신을 가련히 여기는 말로 끝을 맺었다.
4.集評
5.譯註
▶ 長沙過賈誼宅 : ‘長沙’는 지금의 湖南省 長沙市이다. ‘過’는 여기서 방문하다[訪]의 의미이다. ‘賈誼宅’은 가의의 고택이다. 西漢 賈誼가 대신들의 모함을 받아 長沙王 太傅로 폄직되었기 때문에 장사에 고택이 남아 있는 것이다. 《元和郡縣志》에 “강남도 담주 장사현에, 가의의 고택은 현 남쪽 40보쯤에 있다.[江南道潭州長沙縣 賈誼宅在縣南四十步]” 하였다.
▶ 三年謫宦此棲遲 : ‘謫宦’은 貶謫, 혹은 좌천의 의미이다. 賈誼는 3년 동안 장사에 폄적되어 있었다. ‘此棲遲’는 이곳에서 나그네 생활을 한다는 뜻이다. ‘此’는 長沙이며, ‘棲遲’는 居留의 의미이다.
▶ 楚客 : 가의를 지칭한다. 여기서는 시인 자신과 더불어 옛 楚나라 땅이었던 長沙 지역의 遊客들을 가리키기도 한다.
▶ 人去後 : 가의가 일찍 세상을 떠나, 고택만 빈 채로 남아 있음을 말한다. 이는 가의의 〈鵩鳥賦〉 가운데 ‘들새가 집에 들어오니, 주인은 장차 떠나가려 하는구나.[野鳥入室兮 主人將去]’ 구절의 뜻을 인용한 것이다.
▶ 日斜時 : 가의의 고택에서 머문 시간을 의미한다. 이는 〈鵩鳥賦〉 가운데 ‘경자일 해 저무는 때 복조가 내 집에 머무네.[庚子日斜兮 鵩集予舍]’ 구절에서 인용한 것이다. 복조는 올빼미와 비슷한 새로 불길한 妖鳥이다.
▶ 漢文有道恩猶薄 : ‘漢文’은 漢 文帝를 지칭한다. ‘有道’는 英明하다는 의미이다. ‘恩猶薄’은 한 문제가 가의를 重用하지 않고, 장사로 폄적시켜 뜻을 펼치지 못하게 한 것을 말한다.
▶ 湘水無情弔豈知 : ‘湘水’는 湘江으로, 廣西省 壯族 자치구 興安縣에서 시작하여 湖南으로 유입된다. 東北으로 衡陽을 거쳐 長沙에 이르러 洞庭湖로 들어간다. ‘弔’는 賈誼가 長沙王 太傅가 되어 湘水 지역을 경유할 때 〈弔屈原賦〉를 지어 屈原을 조문한 일을 들어 말한 것이다. 楚 懷王에게 배척당한 屈原을 추모하며 자신의 처지를 빗대어 〈弔屈原賦〉를 지어 보내지만 상수는 무정하고, 屈原도 그의 심정을 이해할 수 없다고 여겨 ‘豈知’라 말한 것이다.
▶ 寂寂江山搖落處 : ‘寂寂’은 寂廖하고 소슬한 것이다. ‘搖落’은 零落하고 荒凉한 것이다.
▶ 憐君何事到天涯 : ‘君’은 여기서 賈誼를 지칭한다. ‘天涯’는 天邊과 같은데, 여기서는 장사와 장안의 거리가 매우 멀다는 것을 의미한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8.贈闕下裴舍人〈증궐하배사인〉-錢起(전기) (0) | 2023.12.05 |
---|---|
197.自夏口至鸚鵡洲 夕望岳陽 寄源中丞〈자하구지앵무주 석망악양 기원중승〉-劉長卿(유장경) (0) | 2023.12.05 |
195.江州重別薛六柳八二員外〈강주중별설륙류팔이원외〉-劉長卿(유장경) (0) | 2023.12.05 |
194.詠懷古跡 其五〈영회고적 기오〉-杜甫(두보) (0) | 2023.12.05 |
193.詠懷古迹 其四〈영회고적 기사〉-杜甫(두보) (1) | 2023.12.05 |